목차
1. 왜 단편소설을 이용한 경제교육인가?
2. Zero-sum game 이란 무엇인가?
3. 소설을 통해 본 제로섬 이론
4. 소설의 공통경제원리 찾기
5. 참고문헌
2. Zero-sum game 이란 무엇인가?
3. 소설을 통해 본 제로섬 이론
4. 소설의 공통경제원리 찾기
5. 참고문헌
본문내용
공통경제원리 찾기
지금까지 살펴본 이 세 소설에서의 발췌부분을 살펴보면 잃고 얻음에 대한 결과적 총 합이 0에 대한 이야기이다. 제로섬에 관한 두 가지 정도의 짧은 글을 보면,
「 "외할머니 지금은 참 편안하실 거야. 그지? 오랜 세월 동안 혼자 계셨던 외할머니였는데 이제 외할아버지 곁으로 보내 드리고 나니 엄마도 더 마음 편하시지요?" 그러자 어머니는 기다렸다는 듯 또 눈물을 흘리셨다. 어머니는 말씀하셨다. "넌 아직 모른다. 어머니란 존재는 특별한 거야. 이렇게 나이가 들었어도 어머니가 살아 계셨기에 이 늙은 가슴 한구석에 어른이 되지 않은 한 어린애가 있을 수 있었던 거야."」
셰익스피어도 바퀴벌레를 보고 웃었을 거야 문혜영
「 아들아, 너는 만년필을 아느냐. 만년필 잉크 냄새를 맡으며 코를 벌름거려 보았느냐. 내가 지금의 너만한 아이였을 적에 나에게는 만년필이 없었다. 돈이 없어 그걸 사지 못한 게 아니다. 나는 너무 어려서 만년필을 사용할 자격이 없었던 거야. 어린 것들은 연필로 글씨를 써야 한다는 게 어른들의 생각이었다. 연필은 글씨를 썼다가도 마음대로 지울 수가 있는 필기도구다. 하지만 만년필 글씨는 한 번 쓰면 더 이상 고칠 수 없다. 고쳐 쓸 수 없다는 것, 그것은 자신의 행위에 대해 책임을 지라는 소리다. 글씨도 삶도 책임을 질 줄 알아야 한다는 거다. 책임을 지지 못하면 만년필을 쓰지 말라는 뜻이기도 하다.」
사람 안도현
어머니란 존재가 있어 왔기에 마음 한구석에 어린 마음이 있을 수 있었지만 어머니란 존재의 부재로 마음속의 어린아이는 사라져 버리고 만다. 그리고 연필을 쓸 때에는 나의 주위 사람들이 지우개가 되어주었는데 , 만년필을 쓸 때에는 자신의 잘못을 지워줄 누군가가 바로 자신이 되어야 한다.
잃음에 대한 상실감에 얻음에 대한 기쁨으로 우리가 느끼는 느낌은 무념의 상태와 평정의 상태가 아닐까 생각한다. 경제원리에 대한 논의가 어느새 사람에 대한 것으로 넘어왔지만 이것이 소설에서 느낄 수 있었던, 그리고 피부로 와 닿은 제로섬의 법칙이었다.
5.참고 자료
<사다리 아래에서의 미소> 헨리 밀러 2001
<흙과 재> 아티크 라히미 2002
<하치 이야기> 신도 가네토 2002
야후>경제용어사전
네이버>지식검색소
진실로, 사람이 빛을 발견하는 것은 어둠 속에 있을 때이다. 그리고 우리가 슬픔 가 운데 있을 때 무엇보다도 이 빛이 우리에게 가장 가까이 다가와 있다 (마이스터)
지금까지 살펴본 이 세 소설에서의 발췌부분을 살펴보면 잃고 얻음에 대한 결과적 총 합이 0에 대한 이야기이다. 제로섬에 관한 두 가지 정도의 짧은 글을 보면,
「 "외할머니 지금은 참 편안하실 거야. 그지? 오랜 세월 동안 혼자 계셨던 외할머니였는데 이제 외할아버지 곁으로 보내 드리고 나니 엄마도 더 마음 편하시지요?" 그러자 어머니는 기다렸다는 듯 또 눈물을 흘리셨다. 어머니는 말씀하셨다. "넌 아직 모른다. 어머니란 존재는 특별한 거야. 이렇게 나이가 들었어도 어머니가 살아 계셨기에 이 늙은 가슴 한구석에 어른이 되지 않은 한 어린애가 있을 수 있었던 거야."」
셰익스피어도 바퀴벌레를 보고 웃었을 거야 문혜영
「 아들아, 너는 만년필을 아느냐. 만년필 잉크 냄새를 맡으며 코를 벌름거려 보았느냐. 내가 지금의 너만한 아이였을 적에 나에게는 만년필이 없었다. 돈이 없어 그걸 사지 못한 게 아니다. 나는 너무 어려서 만년필을 사용할 자격이 없었던 거야. 어린 것들은 연필로 글씨를 써야 한다는 게 어른들의 생각이었다. 연필은 글씨를 썼다가도 마음대로 지울 수가 있는 필기도구다. 하지만 만년필 글씨는 한 번 쓰면 더 이상 고칠 수 없다. 고쳐 쓸 수 없다는 것, 그것은 자신의 행위에 대해 책임을 지라는 소리다. 글씨도 삶도 책임을 질 줄 알아야 한다는 거다. 책임을 지지 못하면 만년필을 쓰지 말라는 뜻이기도 하다.」
사람 안도현
어머니란 존재가 있어 왔기에 마음 한구석에 어린 마음이 있을 수 있었지만 어머니란 존재의 부재로 마음속의 어린아이는 사라져 버리고 만다. 그리고 연필을 쓸 때에는 나의 주위 사람들이 지우개가 되어주었는데 , 만년필을 쓸 때에는 자신의 잘못을 지워줄 누군가가 바로 자신이 되어야 한다.
잃음에 대한 상실감에 얻음에 대한 기쁨으로 우리가 느끼는 느낌은 무념의 상태와 평정의 상태가 아닐까 생각한다. 경제원리에 대한 논의가 어느새 사람에 대한 것으로 넘어왔지만 이것이 소설에서 느낄 수 있었던, 그리고 피부로 와 닿은 제로섬의 법칙이었다.
5.참고 자료
<사다리 아래에서의 미소> 헨리 밀러 2001
<흙과 재> 아티크 라히미 2002
<하치 이야기> 신도 가네토 2002
야후>경제용어사전
네이버>지식검색소
진실로, 사람이 빛을 발견하는 것은 어둠 속에 있을 때이다. 그리고 우리가 슬픔 가 운데 있을 때 무엇보다도 이 빛이 우리에게 가장 가까이 다가와 있다 (마이스터)
키워드
추천자료
리카도의 경제학 및 과세의 원리
경제학의 10대 기본원리
소설로 읽는 경제학 1 : 수요공급 살인사건
시장경제의 기초와 원리
문화산업의 경제성 ( 방송연예, 소설, 스포츠, 영화, 게임)
[OECD][뇌물방지협정]OECD(경제협력개발기구) 뇌물방지협정 제정배경,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복지경제학]시장원리와 한국 경제의 과제
[소설창작론]이태준 단편 작품의 줄거리와 문학사적 의미 - <해방전후>
경제학의 10 대 기본원리
(경제서평) 소설로 읽는 경제학-(무차별 곡선위의 살인자) 를 읽고
[경제]경제학의 10대 기본원리
[기업이윤][기업이윤 의의][기업이윤 원천][기업이윤 극대화 원리][기업이윤과 경제위기][이...
신인 선수 지명에서 적용되는 경제 원리
[자본주의 경제시스템] 자유기업제도의 특징(경제활동·영리추구·경쟁분위기 자유보장), 자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