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레닌과 철학
레닌과 철학
1. '철학적'인 '철학'은 없다?
2. 철학과 과학
3. 레닌과 철학
3.1. 레닌의 철학적 명제들
3.2 레닌과 철학적 실천
3.3 철학에 있어서의 당파성
레닌과 철학
1. '철학적'인 '철학'은 없다?
2. 철학과 과학
3. 레닌과 철학
3.1. 레닌의 철학적 명제들
3.2 레닌과 철학적 실천
3.3 철학에 있어서의 당파성
본문내용
역 내에서보다 정확히 말해, 과학 곁에서 정치를 대변한다. 그리고 역으로, 철학은 계급투쟁에 참가한 계급 곁에서 정치의 과학성을 나타낸다.
알뛰세는 레닌이 철학을 계급투쟁과 과학사이에 놓인 것으로 파악했다고 보았다. 그리고 마르크스의 포이에르바흐에 관한 열한번째 테제에 대해 '철학적 실천'이라는 방식으로 반응했으며, 헛점이 있기는 하지만 그것이 마르크스철학의 시작이라고 보았다. 그는 레닌의 오류나 미완성이 철학의 사후적인 속성으로 불가피하며, 하지만 이러한 시작이 마르크스철학의 '새로운 실천'이라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고 주장한다. 결국 알뛰세의 이러한 주장들은 과학성과 이론, 이데올로기가 혼재 되어있는 마르크스의 사유들에서 '과학성'을 징후적 독해로 추출하려는 프로젝트의 일환이라고 볼 수 있다.
알뛰세는 레닌이 철학을 계급투쟁과 과학사이에 놓인 것으로 파악했다고 보았다. 그리고 마르크스의 포이에르바흐에 관한 열한번째 테제에 대해 '철학적 실천'이라는 방식으로 반응했으며, 헛점이 있기는 하지만 그것이 마르크스철학의 시작이라고 보았다. 그는 레닌의 오류나 미완성이 철학의 사후적인 속성으로 불가피하며, 하지만 이러한 시작이 마르크스철학의 '새로운 실천'이라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고 주장한다. 결국 알뛰세의 이러한 주장들은 과학성과 이론, 이데올로기가 혼재 되어있는 마르크스의 사유들에서 '과학성'을 징후적 독해로 추출하려는 프로젝트의 일환이라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