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 색으로 살펴 본 광주 민주화 운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문
(주제 선정 동기)

2. 본문
(주제에 개연성 부여)

⑴ 광주에 투영된 적색 이미지
(교과서 내용)
⑵ 붉은 색이 주는 이미지
(붉은 색이 갖는 효과)
⑶ '빨갱이' 이미지
(반공 이데올로기)
① 김대중 내란음모사건
② 독침사건
⑷ 프로야구 속의 붉은 색
(국민의 정치적 무관심 조장)

3. 결문
(내용 요약)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작된 독침 사건을 통해 간첩이 광주사태에 연관되어 있다는 그들의 발표를 더욱 신빙성 있어 보이도록 날조했다. 호남지역과 김대중이라는 인물의 급진적인 이미지로 인해 이러한 정치공작은 더욱 수월하게 진행될 수 있었다.
우민화정책인 3S 정책의 일환으로 출범된 프로야구에 있어서도 이러한 붉은 색의 이미지는 반영되었다. 우선 프로야구의 지역 연고제는 '스포츠의 정치화'를 통해 지역감정을 조장했다. 게다가 다른 5개 구단의 청색계통 유니폼과 대비되는 해태의 붉은 유니폼은 이러한 갈등을 더욱 심화시키고 호남지역에 반영된 붉은 색 이미지를 더욱 고착화 시켰다. 구단들의 유니폼 색상을 지정하는데 정부가 관여했다는 객관적인 자료는 남아있지 않다. 하지만 각 지역별로 야구단을 운영할 기업을 찾는 과정에서 호남지역에서 야구단을 운영하겠다고 나서는 기업이 나타나지 않자 정부에서는 반강제로 호남 연고 기업인 해태가 야구단을 운영하도록 압력을 넣어 굳이 호남을 연고로 한 팀을 만들었던 일을 생각할 때 정부가 구단들의 유니폼 색상 지정에 관여하여 지역감정 조장을 의도했을 가능성 또한 충분히 생각해 볼 수 있다. 우리나라의 지역감정의 경우 호남지방과 영남지방, 혹은 호남지방과 특정지방간의 갈등이 아니라 호남권과 비호남권이 대립하는 양상을 띠고 있다.
김종철 외, <<지역감정연구>> (학민사, 1991) 180쪽
유니폼에서 나타나는 청과 적의 색상 대비는 우리나라의 지역갈등의 형태와도 일치하기에 이러한 가능성을 더욱 제고시킨다.
위에서 서술한 사실을 통해 광주 민주화 운동과 이를 은폐, 왜곡하기 위해 출범한 프로야구에 이르는 일련의 사건들에는 붉은 색의 이미지가 반영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전두환 정부는 무력진압을 정당화하는데 있어서 국민의 레드콤플렉스를 자극하는 것 이상 효과적인 방법을 찾기 힘들었을 것이다.
김대중 외, <<김대중 내란음모의 진실>> (문이당, 2000) 493쪽.
이에 따라 호남지역에 대한 선입견과 국민의 레드콤플렉스를 연관시켜 광주에서의 만행을 은폐하려 했던 것이다. 그리고 더 나아가, 이러한 호남에 대한 붉은 색의 이미지는 호남권과 비호남권의 갈등을 조장하여 자신들의 정치적 기반인 대구경북을 중심으로 그들의 지지기반을 확장하고 정적 김대중을 제거하기 위한 전두환 정부의 정치공작의 진행에도 상당히 기여했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Eva Heller, 이영희 역, <<색의 유혹>> (예담, 2002)
강준만, <<한국 현대사 산책 1권, 2권>> (인물과 사상, 2003)
김대중 외, <<김대중 내란음모사건의 진실>> (문이당, 2000)
김종철 외, <<지역감정연구>> (학민사, 1991)
김진국, 정창현, <> (민연, 2000)
최영재, <태생부터 '파울 플라이' : 5공 신군부, 민주화 열기 잠재우려 프로야구 밀어붙여>, <<시사저널>>, 2000년 2월 24일 40면
최영진, <<한국 지역주의와 정체성의 정치>> (오름, 1999)
한국현대사사료연구소, <<광주5월민중항쟁사료전집>> (풀빛, 1990)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4.09.13
  • 저작시기2004.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66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