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제목
2. 요약
3. 서론
4. 재료 및 방법
5. 결과 및 토의
6. 참고문헌
2. 요약
3. 서론
4. 재료 및 방법
5. 결과 및 토의
6. 참고문헌
본문내용
그러나 실험의 오차가 조금 크므로 실험 결과로 유지의 지방산을 구하기는 힘들 것으로 생각된다. 실제 자료에 있는 요오드가로 유지의 평균분자량을 구해보면 대두유는 866~889g, 팜유는 820~840g 정도가 나온다. 지방이나 오일은 triglyceride 형태이고 비누화 반응을 하여 3개의 지방산을 생성하므로 지방산 하나의 분자량은 대두유는 대략 276~284g이고 팜유는 대략 260~267g 정도이다. 대두유의 경우 요오드가가 높은 것으로 보아 대부분이 불포화지방산으로 구성되어있고 지방산의 분자량으로부터 지방산의 종류를 추측해보면 대두유는 oleic acid(M.W:282.47)나 linoleic acid(M.W:280.45), linolenic acid(M.W:278.43)로 구성되어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팜유의 경우는 요오드가가 대두유에 비해 낮으므로 포화지방산이 많이 함유되어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지방산의 분자량으로 그 종류를 추측해보면 팜유는 포화지방산인 palmitic acid(M.W:256.43)와 불포화지방산인 oleic acid로 구성되어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요오드가는 유지 중의 글리세린의 구성지방산의 불포화도의 지표로 볼 수 있다. 요오드가에 따라 지방산을 분류할 수 있는데, 요오드가가 130이상인 것들을 건성유라고 하며 글리세린을 주성분으로 한다. 여기에는 아마인유, 대마유, 오동나무유 등이 있다. 요오드가 90-130의 유지로는 올레인산, 리놀산이 많고 반건성유라고 한다. 면실유, 낙화생유, 콩기름, 유채씨유 등의 식용유가 이것에 속한다. 동백기름, 피마자기름, 야자유 등은 요오드가 90이하로 불건성유라고 한다. 불건성유는 포화지방산을 많이 함유하여 산화, 열 중합을 받기 어렵다. 대두유의 요오드가는 실험결과 147.1533이 나왔는데 이는 건성유에 속한다. 그러나 실험의 오차로 인해 조금 요오드가가 높은 값이 나왔다. 자료에 의한 대두유의 요오드가는 112~134로 실제로는 글리세린을 많이 함유한 반건성유에 속한다. 또한 팜유의 요오드가는 49.4245가 나왔는데 이는 포화지방산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불건성유에 속한다.
6. 참고문헌 (Reference)
1. Hart. H 원저 - 유기화학 교보문고(1999) p. 315
2. 이영근 외 多 - 식품분석법 형설출판사(1998) p. 115~119
3. 남관석, 김재웅 - 최신식품화학실험 신광출판사(2000) p. 155~158
요오드가는 유지 중의 글리세린의 구성지방산의 불포화도의 지표로 볼 수 있다. 요오드가에 따라 지방산을 분류할 수 있는데, 요오드가가 130이상인 것들을 건성유라고 하며 글리세린을 주성분으로 한다. 여기에는 아마인유, 대마유, 오동나무유 등이 있다. 요오드가 90-130의 유지로는 올레인산, 리놀산이 많고 반건성유라고 한다. 면실유, 낙화생유, 콩기름, 유채씨유 등의 식용유가 이것에 속한다. 동백기름, 피마자기름, 야자유 등은 요오드가 90이하로 불건성유라고 한다. 불건성유는 포화지방산을 많이 함유하여 산화, 열 중합을 받기 어렵다. 대두유의 요오드가는 실험결과 147.1533이 나왔는데 이는 건성유에 속한다. 그러나 실험의 오차로 인해 조금 요오드가가 높은 값이 나왔다. 자료에 의한 대두유의 요오드가는 112~134로 실제로는 글리세린을 많이 함유한 반건성유에 속한다. 또한 팜유의 요오드가는 49.4245가 나왔는데 이는 포화지방산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불건성유에 속한다.
6. 참고문헌 (Reference)
1. Hart. H 원저 - 유기화학 교보문고(1999) p. 315
2. 이영근 외 多 - 식품분석법 형설출판사(1998) p. 115~119
3. 남관석, 김재웅 - 최신식품화학실험 신광출판사(2000) p. 155~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