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음 체계, 모음 체계, 문법의 변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자음 체계의 변천
1) 고대 국어의 저음체계의 변천.
2) 전기 중세 국어의 자음체계.
3) 후기 중세 국어의 자음체계.
4) 근대 국어의 자음체계.
5) 현대 국어의 자음체계.

2. 모음 체계의 변천.
1) 고대 국어의 모음체계
2) 전기 중세 국어의 모음체계.
3) 후기 중세 국어의 모음체계.
4) 근대 국어의 모음 체계
5) 현대 국어의 모음체계.

3. 문법의 변화.

본문내용

경우, 객체를 높일 필요가 있을 때에 '여쭈다'라는 동사를 사용하는데, 이것이 객체 높임법이 남아 있는 한 예이다.
다음에는 사동법의 예를 들어 보기로 하자. 다음 문장은 중세 국어와 현대 국어에서 사동 표현이 나타난 문장이다.
중세 국어 : ?-오-시고 ? 깊-이-시니 (용비어천가 20)
현대 국어 : 얕-게 하-시고 또 깊- 게 하- 시니 '깊다'의 경우, 중세 국어에서는 파생 접미사 '-오-,-이-'등을 결합하여 사동을 표현하였으나, 현대 국어에서는 '-게 하-'와 같은 구성에 의해 표현한다. 이런 점을 볼 때, 중세 국어에서는 현대 국어보다 파생 접미사를 훨씬 더 많이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 역시 문법 현상이 역사적으로 변화한 예이다.
중세 국에서 의문문은 물음말의 존재 여부에 따라 '-遁가', '-?가'와 같은 '아'형 어미와 '-遁고', '-?고'와 같은 '오'형 어미를 구별하여 사용하였다. '아'형은 물음말이 없는 의문문에 사용되고, '오'형은 물음말이 있는 의문문에 사용되었다. 그리고 주어가 2인칭인 의문문에는 '-遁다'가 사용되었다. 다음이 그 예들이다.
西京은 편안한가 몬한 가? (두시 언해 18·5)
故園 랸 이제 엇더한고? (두시 언해 25·24)
네 엇뎨 안다? (월인석보 23·74)
그러나 현대 국어에 이르러서는 의문문에 물음말이 있든 없든, 주어의 인칭이 어떠하든 의문형 어미를 구분하지 않게 되었다. 이것은 문법 현상이 사라진 예이다.
문법 현상은 사라진 것만 있는 것이 아니고, 새로 나타난 것도 있다. 예를 들어, 주격 조사는
원래 '?' 밖에 없었으나, 차츰 '가'가 사용되기 시작하여 근대 국어부터는 본격적으로 이 두 형태가 함께 사용되었다. 또, 중세 국어에서 현대 국어로 오면서 시간 표현의 선어말 어미 '-었-'이나 '-겠-'이 새로이 쓰이게 된 것도 문법 현상이 새로 나타난 예이다. '-었-'은 원래 중세 국어의 '-어 잇-'이라는 구성이 축약되어 새로 생겨난 선어말 어미이다.
이상에서 우리는 음운, 어휘, 문법 부문에 걸쳐서 우리말이 변화해 온 모습을 살펴보았다. 우리말의 역사를 이해하는 것은 우리 민족의 뿌리를 이해하기 위한 일이다. 우리의 역사를 정확히 알아 두어야만, 그것을 교훈으로 삼아 과오를 되풀이하지 않을 수 있듯이, 우리말의 역사를 잘 알아 두면 우리말의 발전을 위하여 바람직한 방향을 설정하는 데 커다란 도움이 될 것이다.
우리말의 역사에 대한 이해는 또한 우리의 문화를 깊이 이해하는 일이기도 하다언어가 단순히 우리의 생각을 전달하는 수단에 불과한 것만은 아니라는 사실을 잘 알려져 있거니와, 언어는 민족 문화를 형성하는 구심체(球心體)로서 다른 어떤 것보다도 중요한 구실을 한다. 우리말과 우리 문화를 더 깊이 이해하기 위해서는 현대 국어의 특성뿐만 아니라, 우리말이 역사적으로 변화해 온 과정에 대해서도 잘 알아 두어야 한다.
<참고문헌>
. 국어학개론. 이석주, 이신행.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4.
.
주제 ; 자음체계, 모음체계, 문법체계의 변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5.26
  • 저작시기2004.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69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