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전도(Electrocardiogram, EKG, ECG)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심전도(Electrocardiogram, EKG, ECG)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심장의 구조와 기능
2. EKG의 정의와 목적 및 그 외
3. 심전도의 측정 방법
3. 심전도의 측정 방법
4. 정상과 비정상의 리듬

본문내용

혹은 알코올 섭취, 불안, 스트레스, hypokalemia
② 치료
- 임상증상을 유발하지 않으며 치료도 불필요. 1분간 6회 이상 빈번히 나타나면 anti-arrhythmics를 처방
2-2) Paroxysmal Atrial Tachycardia
. 심방의 한 세포가 흥분하여 1분간 150-250회의 심방수축 자극을 규칙적으로 내보냄. 갑작스럽게 나타났다 사라짐
2-3) Atrial Flutter(심방조동)
. SA node 대신 심방의 한 세포가 흥분하여 수축자극은 내보내고, 심방을 탈분극 시킨 뒤,
이 자극이 P파를 만든 다음. SA node에서 His bundle로 전도되지 못하고, 다시 심방의 흥분
세포로 되돌아 온 자극은 다시 AV node로 되돌아가는 순환과정을 거치면서 P파가 톱니모양
으로 빠르게 나타남
2-4) Atrial Fibrillation(심방세동)
. 심방의 여러 세포가 동시에 흥분하여 P파가 분당 350-600회로 매우 빠르게 나타나 기저선이 거의 직선으로 보이며, QRS 파형은 대부분 정상이나 리듬은 불규칙적.
2-5) Wandering Atrial pacemaker(유주성 심방심박조율 리듬)
.SA node, 심방 또는 AV node의 여러 세포가 ectopic beat를 유발하여 P파의 모양이 다르고 RR 간격이 약간 차이가 나는 부정맥으로 QRS파는 정상인 부정맥
3) Junctional Arrhythmia(방실 접합부 부정맥)
3-1) Junctional Premature Contraction(방실접합부 조기수축)
. sinus rhythm 중 때때로 AV Junction에서 먼저 수축을 시작함
. Pacemaker 부위 : AV node
3-2) Junctional Escape Beats(방실접합부 보충박동)
- pacemaker 부위 : AV node
- SA node가 기능하지 않거나 속도가 너무 느릴 때, AV node에서 SA node 대신 심장수축 자극을 내보냄
3-3) Junctional Rhythm(방실접합부 리듬)
- pacemaker 부위 : AV node
3-4) Nonparoxysmal Junctional Tachycardia(비발작성 방실 접합부 빈맥)
- nonparoxysmal Junctional tachycardia에서 규칙적으로 자극을 내보내어 생긴 부정맥
- pacemaker 부위 : AV node
3-5) Paroxysmal Junctional Tachycardia(발작성 방실접합부 빈맥)
- 방실접합부의 빠른 reentry circuit가 기전에 의해 부정맥이 발생됨, 재발하는 것이 특징으로 수분에서 수시간 동안 지속될 수 있고 carotid massage에 의해 갑작스럽게 정상으로 회복되기도 함
.pacemaker : AV node
.p wave, PR interval, QRS complex 등은 junctional beats와 동일한 특징을 가짐. 시작과 종료가 급격하게 일어나며, 조기심박수축에 의해 종종 시작됨.
4) Atrioventricular Conduction Defeat(방실결절 전도장애)
- SA node에서 발생한 전기충격을 AV node에서 정상적으로 전도하지 못하는 상태
4-1) First-degree AV block(1도 방실차단)
4-2) Second-degree AV block
동방결절의 자극이 AV node에서 한번씩 차단되는 부정맥으로 type I, type II가 있음
4-3) Third-degree AV block. Complete AV block(3도 발실차단, 완전방실차단)
전기적 충격의 전도가 AV node에서 완전히 차단되어 심방과 심실이 완전히 독립적으로 수축함
5) Ventricular Arrhythmias(심실 부정맥)
심근세포의 자동성(automaticity)이 증가하여 SA node 대신 심실에서 pacemaker 역할을 하여 심장을 수축시키는 부정맥으로 생명에 치명적일 수 있음.
5-1) Premature Ventricular Contraction(PVCs, 심실조기 수축)
- 기존 리듬의 주기보다 조기에 심실에서 수축을 시작하는 부정맥
5-2) Ventricular Tachycardia
- 심실의 ectopic pacemaker 지점에서 심장수축이 빠르게 유발되는 부정맥으로 QRS complex가 넓고 비정상적인 모양을 보임
5-3) Torsades de points(다형핵 심실빈맥)
- 지점이 계속 뒤뜰린다는 뜻으로 ventricular tachycardia가 뒤틀려서 나타나는 것
5-4) Ventrilcular Fibrillation(VF ; 심실세동)
- 심실의 여러 세포가 이소성 pacemaker로 작용하여 심실이 매우 빠르게 꿈틀거리는 것으로 QRS complex가 없음. 이는 초응급상황으로 바로 치료하지 않을 경우 4-6분 내에 치명적인 뇌손상 초래.
5-5) Ventricular Escape rhythm(심실보충리듬, 심실고유리듬)
- 심실수축이 너무 느릴 때, 심실의 한 세포가 ectopic pacemaker로 작용하여 분당 40회 이하의 속도로 수축을 시작하는 부정맥
5-6) Accelerated Ventricular rhythm(가속성 심실고유리듬)
- 심실수축 수가 너무 느릴 때, ectopic pacemaker에서 심실고유리듬의 수를 초과하여 분당 40-100회의 속도로 심실 수축을 유발하는 부정맥
5-7) Ventricular Asystole(심정지)
- 심실내의 모든 전기적 활동이 없는 상태로 심실이 조직적으로 탈분극(수축)하지 못하고, 그 결과로 심박출도 되지않음. cardiac arrest가 계속되면 syncope에 이어 수초안에 의식불명, 발작, adams-strokes syndrome으로 이어지고 즉각 치료하지 않으면 사망함.
① 특징 : HR, pacemaker, P wave, QRS rhythm : 모두 없음
② 원인 - cardiac arrest - Failure of the SA node & AV node
③ 치료 - 최대한 빨리 치료시작 - CPR 실시 - iv line 확보, Intubation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4.09.18
  • 저작시기2004.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76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