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심전도
● 심장의 근육세포는 심장이 혈액을 내보내기 위해 수축할 때마다
● 심전도(ECG, EKG)는 그래프의 횡축을 1초 동안에 25mm
● 심전도 검사의 목적
● 심전도 검사 방법
● 심전도의 파형
● 부정맥
- 동성자극 생성 이상 부정맥
-이소성 부정맥: 동방결절 이외의 곳에서 자극이 발생한다
·● 심근경색
24시간 혈압검사
● 정의
● 목적
● 원리
● 주의사항
부하 심전도
● 정의
● 목적
● 부하 심전도 양성 판정기준
●운동부하 중지기준
● 답차 운동부하 검사(Tredmill exercise test, TMT)
● 24시간 심전도(24 Hr Holter monitoring)
폐기능 검사
● 폐기능 검사의 종류
● 기체 표시법
● 잔기량, 기능적 잔기용량 측정법
1) 체적 기록법- 환기기능 검사
● 폐확산능 검사
● 심장의 근육세포는 심장이 혈액을 내보내기 위해 수축할 때마다
● 심전도(ECG, EKG)는 그래프의 횡축을 1초 동안에 25mm
● 심전도 검사의 목적
● 심전도 검사 방법
● 심전도의 파형
● 부정맥
- 동성자극 생성 이상 부정맥
-이소성 부정맥: 동방결절 이외의 곳에서 자극이 발생한다
·● 심근경색
24시간 혈압검사
● 정의
● 목적
● 원리
● 주의사항
부하 심전도
● 정의
● 목적
● 부하 심전도 양성 판정기준
●운동부하 중지기준
● 답차 운동부하 검사(Tredmill exercise test, TMT)
● 24시간 심전도(24 Hr Holter monitoring)
폐기능 검사
● 폐기능 검사의 종류
● 기체 표시법
● 잔기량, 기능적 잔기용량 측정법
1) 체적 기록법- 환기기능 검사
● 폐확산능 검사
본문내용
중등도 판막 또는 심근질환
절해질 불균형
중증 고혈압
빈맥성 부정맥 서맥성 부정맥 등
● 24시간 심전도(24 Hr Holter monitoring)
·정의: 환자가 일상 생활을 하면서 활동 중에 심전도를 기록하는 방법으로 환자의 가슴벽에 전극(쌍극가슴유도: 유도전극은 4개 또는 6개와 접지전극 1개)을 부착한 후 휴대용 기록기에 연결하여 보통 24시간 동안의 심전도를 기록하여 분석한다. 일과성 부정맥이나 일상생활에서 허혈성 심장질환추적에 가장 효과적이다.
·검사 목적
-간헐성 부정맥의 진단
-부정맥과 일상생활과의 연과성 유무
-항부정맥 약제의 치료효과 확인 판정
-인공심장 박동조율기의 기능을 평가하고자 할 때
-급성 심근경색증 회복기에 24시간 심전도를 실시하여 향후 발생 가능한 돌연 심장 사의 위험성 예측
-허혈성 심장병이 있거나 의심이 될 때 ST분절 변화를 관찰하고자 할 때
·검사방법
-3 채널 부착법: 쌍극가슴유도로 유도전극 6개와 접지전극 1개를 부착한다.
·환자 숙지사항
-환자는 검사 중 메모장에 시간, 활동종류, 증상을 정확히 기록하게 숙지 시킬 것
-증상이 있을 시에 메모장에 기록할 것
-전기장판, 자석요 사용을 금한다.
-사워를 금하고 세수로 인한 물의 침입을 금한다.
-부착된 전극을 만지지 않도록 한다
·결과 판독
-환자가 메모장에 기록한 시간, 행동, 증상을 심전도와 대조해서 판독에 이용 한다.
-24시간 동안 기록된 data를 일차적으로 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제대로 분석하지 못한 나머지 부분은 하나하나 다시 분석한다. 이때 24시간 중 최대 심장박동수, 최소 심장박동수, 조기심방수축, 조기심실수축, 휴지기, ST분절 의 변화, 기타 부정맥들을 분석할 뿐만 아니라 환자가 자각 증상을 느끼고 메모한 경우를 분석한다.
폐기능 검사
● 폐기능 검사의 종류
환
기
기
능
검
사
폐기량 측정
·폐활량(VC) ·들숨예비량(IRV)
·날숨예비량(ERV) ·들숨용량(IC)
·잔기량(RV) ·기능적잔기용량(FRC)
·총폐용량
노력성 호출곡선
·노력성 폐활량(FVC) ·시간폐활량(FEVt)
·1초율(FEV1.0%) ·최대날숨중간유량(MMF)
·공기흡입지수(ATI) ·유량기량곡선
환기량 측정
·일회호흡량(TV) ·최대환기량(MVV)
·예비환기량(BR) ·예비환기량(VR)
·허파꽈리환율 ·분당환기량
환기역학 검사
·정폐탄성(Cst) ·동폐탄성(Cdyn)
·기도저항(Raw) ·폐점성저항(RI)
·호흡저항(Rrs) ·기타
폐
포
기
능
검
사
기체상
·폐내가스분포 ·O2섭취량(율)
·CO2배출량 ·폐쇄용적(RI)
·폐확산능(DLco)
·허파꽈리공기의 O2,CO2분압
혈액상
·동맥혈의 O2, CO2 함량 및 분압
·동맥혈 pH ·동맥혈 O2포화도
허파순환기능검사
·허파 순환 시간 ·허파 순환계
·혈액량 ·기타
-환기기능 검사
공기를 흡입하여 폐포에 도달하고 다시 배출하는 과정의 검사로 페포로 환기되어 들어간 공기의 양과 분포가 포함되며, 가장 기본적인 검사이다.
-확산기능 검사
폐포와 모세혈관 사이에서 산소와 탄산가스의 교환이 이루어지는 단계를 검사하는 것으로 폐포벽이 두꺼워 지거나 모세혈관 사이에서 산소와 탄산가스의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폐순환계를 혈액이 흐르는 단계를 검사한다.
관류 혹은 폐세포 혈류
폐의 혈관에 혈액을 공급하는 기능과 몸의 전체에 산소를 공급하는 혈액 순환기능,세포에 서 산소를 이용하는 세포와 모세혈관 사이에서 산소와 탄산가스의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 도록 폐순환계를 혈액이 흐르는 단계를 검사한다.
● 기체 표시법
-보일_샤를의 법칙: 기체의 압력은 용적에 반비례하고, 온도에 비례한다는 법칙
① STPD(standard temperature, standard pressure, dry)
: 표준온도 0℃, 표준기압(1기압, 760torr), 건조상태를 표시
② ATPS(ambient temperature, ambient pressure, saturated with water)
: 실온, 대기압, 수증기 포화상태를 표시
③ BTPS(body temperature, 므퍄둣 pressure saturated with water)
: 체온 37℃, 대기압, 수증기 포화상태를 표시
● 잔기량, 기능적 잔기용량 측정법
1) 체적 기록법- 환기기능 검사
-불활성 가스법은 허파의 수포뿐 아니라 폐쇄성 폐질환의 경우에도 환기가 원활하지 않 아 폐용적이 낮게 측정되는 단점이 있다.
-이방법은 피검자로 하여금 밀폐된 큰 상자 안에 앉힌 후 취입구를 통하여 상자 밖으로 호흡을 시키다가 날숨 혹은 들숨시 취입구를 막으면서 구강의 압력과 상자 안의 압력을 측정한다.
-상자의 용적변화에 따른 압력변화의 상관관계를 미리 알고 있으면 폐용적을 계산 할 수 있다.
-측정시에는 흉식호흡으로 하고 가로막의 운동을 억제해야 하면 입안내의 기량을 일정 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뺨을 부풀리지 않도록 하는 주의가 필요하다.
● 폐확산능 검사
폐확산능의 측정은 가스가 허파꽈리에서 허파꽈리 모세혈관으로 얼마나 용이하게 이동하는 가를 측정하는 지표로서 원래 허파꽈리 모세혈관막의 비후에 의한 가스이동장애를 진단하 기 위하여 고안되었다. 산소의 경우 허파꽈리 모세혈관의 산소 분압 측정이 어렵기 때문에 모세혈관에 거의 존재하지 않는 일산화탄소 가스로 대치하여 측정하고 있다.
-측정방법
·약 0.3%의 CO, 5.5%의 He, 21%의 O2와 평형농도 N2 70%를 혼합한 혼합가스를 사용한 다.
·혼합 가스를 한번에 최대 들숨위치까지 흡입시킨 상태에서 10초간 호흡을 멈추게 한다
·벨브를 폐활량계와 연결되도록 회전 시키고 급속히 최대 날숨위치까지 호출시킨다.
-임상적 의의
·간질성 폐질환, 폐기종 및 폐혈관 질환 등에서 주로 시행된다.
·허파꽈리 모세혈관막의 두께, 허파꽈리의 총면적, 모세혈관내 혈액량 및 혈색소 농도에 의 해서 영향을 받는다.
·폐확산능 감소:
폐간질에 섬유조직의 증식이 초래되는 여러 간질성 폐질환, 허파꽈리벽이 파괴되는 폐기종, 폐절제술 후 및 빈혈 등이다.
·폐확산능 증가:
폐내 출혈, 폐모세혈관내 혈액량이 증가하는 초기의 울혈성 심질환, 원인을 모르는 천식
절해질 불균형
중증 고혈압
빈맥성 부정맥 서맥성 부정맥 등
● 24시간 심전도(24 Hr Holter monitoring)
·정의: 환자가 일상 생활을 하면서 활동 중에 심전도를 기록하는 방법으로 환자의 가슴벽에 전극(쌍극가슴유도: 유도전극은 4개 또는 6개와 접지전극 1개)을 부착한 후 휴대용 기록기에 연결하여 보통 24시간 동안의 심전도를 기록하여 분석한다. 일과성 부정맥이나 일상생활에서 허혈성 심장질환추적에 가장 효과적이다.
·검사 목적
-간헐성 부정맥의 진단
-부정맥과 일상생활과의 연과성 유무
-항부정맥 약제의 치료효과 확인 판정
-인공심장 박동조율기의 기능을 평가하고자 할 때
-급성 심근경색증 회복기에 24시간 심전도를 실시하여 향후 발생 가능한 돌연 심장 사의 위험성 예측
-허혈성 심장병이 있거나 의심이 될 때 ST분절 변화를 관찰하고자 할 때
·검사방법
-3 채널 부착법: 쌍극가슴유도로 유도전극 6개와 접지전극 1개를 부착한다.
·환자 숙지사항
-환자는 검사 중 메모장에 시간, 활동종류, 증상을 정확히 기록하게 숙지 시킬 것
-증상이 있을 시에 메모장에 기록할 것
-전기장판, 자석요 사용을 금한다.
-사워를 금하고 세수로 인한 물의 침입을 금한다.
-부착된 전극을 만지지 않도록 한다
·결과 판독
-환자가 메모장에 기록한 시간, 행동, 증상을 심전도와 대조해서 판독에 이용 한다.
-24시간 동안 기록된 data를 일차적으로 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제대로 분석하지 못한 나머지 부분은 하나하나 다시 분석한다. 이때 24시간 중 최대 심장박동수, 최소 심장박동수, 조기심방수축, 조기심실수축, 휴지기, ST분절 의 변화, 기타 부정맥들을 분석할 뿐만 아니라 환자가 자각 증상을 느끼고 메모한 경우를 분석한다.
폐기능 검사
● 폐기능 검사의 종류
환
기
기
능
검
사
폐기량 측정
·폐활량(VC) ·들숨예비량(IRV)
·날숨예비량(ERV) ·들숨용량(IC)
·잔기량(RV) ·기능적잔기용량(FRC)
·총폐용량
노력성 호출곡선
·노력성 폐활량(FVC) ·시간폐활량(FEVt)
·1초율(FEV1.0%) ·최대날숨중간유량(MMF)
·공기흡입지수(ATI) ·유량기량곡선
환기량 측정
·일회호흡량(TV) ·최대환기량(MVV)
·예비환기량(BR) ·예비환기량(VR)
·허파꽈리환율 ·분당환기량
환기역학 검사
·정폐탄성(Cst) ·동폐탄성(Cdyn)
·기도저항(Raw) ·폐점성저항(RI)
·호흡저항(Rrs) ·기타
폐
포
기
능
검
사
기체상
·폐내가스분포 ·O2섭취량(율)
·CO2배출량 ·폐쇄용적(RI)
·폐확산능(DLco)
·허파꽈리공기의 O2,CO2분압
혈액상
·동맥혈의 O2, CO2 함량 및 분압
·동맥혈 pH ·동맥혈 O2포화도
허파순환기능검사
·허파 순환 시간 ·허파 순환계
·혈액량 ·기타
-환기기능 검사
공기를 흡입하여 폐포에 도달하고 다시 배출하는 과정의 검사로 페포로 환기되어 들어간 공기의 양과 분포가 포함되며, 가장 기본적인 검사이다.
-확산기능 검사
폐포와 모세혈관 사이에서 산소와 탄산가스의 교환이 이루어지는 단계를 검사하는 것으로 폐포벽이 두꺼워 지거나 모세혈관 사이에서 산소와 탄산가스의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폐순환계를 혈액이 흐르는 단계를 검사한다.
관류 혹은 폐세포 혈류
폐의 혈관에 혈액을 공급하는 기능과 몸의 전체에 산소를 공급하는 혈액 순환기능,세포에 서 산소를 이용하는 세포와 모세혈관 사이에서 산소와 탄산가스의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 도록 폐순환계를 혈액이 흐르는 단계를 검사한다.
● 기체 표시법
-보일_샤를의 법칙: 기체의 압력은 용적에 반비례하고, 온도에 비례한다는 법칙
① STPD(standard temperature, standard pressure, dry)
: 표준온도 0℃, 표준기압(1기압, 760torr), 건조상태를 표시
② ATPS(ambient temperature, ambient pressure, saturated with water)
: 실온, 대기압, 수증기 포화상태를 표시
③ BTPS(body temperature, 므퍄둣 pressure saturated with water)
: 체온 37℃, 대기압, 수증기 포화상태를 표시
● 잔기량, 기능적 잔기용량 측정법
1) 체적 기록법- 환기기능 검사
-불활성 가스법은 허파의 수포뿐 아니라 폐쇄성 폐질환의 경우에도 환기가 원활하지 않 아 폐용적이 낮게 측정되는 단점이 있다.
-이방법은 피검자로 하여금 밀폐된 큰 상자 안에 앉힌 후 취입구를 통하여 상자 밖으로 호흡을 시키다가 날숨 혹은 들숨시 취입구를 막으면서 구강의 압력과 상자 안의 압력을 측정한다.
-상자의 용적변화에 따른 압력변화의 상관관계를 미리 알고 있으면 폐용적을 계산 할 수 있다.
-측정시에는 흉식호흡으로 하고 가로막의 운동을 억제해야 하면 입안내의 기량을 일정 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뺨을 부풀리지 않도록 하는 주의가 필요하다.
● 폐확산능 검사
폐확산능의 측정은 가스가 허파꽈리에서 허파꽈리 모세혈관으로 얼마나 용이하게 이동하는 가를 측정하는 지표로서 원래 허파꽈리 모세혈관막의 비후에 의한 가스이동장애를 진단하 기 위하여 고안되었다. 산소의 경우 허파꽈리 모세혈관의 산소 분압 측정이 어렵기 때문에 모세혈관에 거의 존재하지 않는 일산화탄소 가스로 대치하여 측정하고 있다.
-측정방법
·약 0.3%의 CO, 5.5%의 He, 21%의 O2와 평형농도 N2 70%를 혼합한 혼합가스를 사용한 다.
·혼합 가스를 한번에 최대 들숨위치까지 흡입시킨 상태에서 10초간 호흡을 멈추게 한다
·벨브를 폐활량계와 연결되도록 회전 시키고 급속히 최대 날숨위치까지 호출시킨다.
-임상적 의의
·간질성 폐질환, 폐기종 및 폐혈관 질환 등에서 주로 시행된다.
·허파꽈리 모세혈관막의 두께, 허파꽈리의 총면적, 모세혈관내 혈액량 및 혈색소 농도에 의 해서 영향을 받는다.
·폐확산능 감소:
폐간질에 섬유조직의 증식이 초래되는 여러 간질성 폐질환, 허파꽈리벽이 파괴되는 폐기종, 폐절제술 후 및 빈혈 등이다.
·폐확산능 증가:
폐내 출혈, 폐모세혈관내 혈액량이 증가하는 초기의 울혈성 심질환, 원인을 모르는 천식
추천자료
COPD(만성 폐쇄성 폐질환) 성인간호학
만성 폐쇄성 폐질환 (COPD) 케이스 스터디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각각의 질환
신생아 지속성 폐동맥 고혈압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간호학]폐혈관질환 간호
[간호학]ICU-심폐 소생술과 간호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만성 폐쇄성 폐질환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만성 폐쇄성 폐질환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종류 비교
[질환별 물리치료]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간질 성 폐질환 ILD : Interstitial lung disease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간호 케이스 copd 만성폐쇄성 폐질환
중환자실 폐려, 폐부종 간호과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