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심폐 소생술과 간호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1) 정의
2) 목적
3) 방법
1단계 : 심폐 소생술의 기본적 구급처치로서 수초 내에 중추신경계 산소를 공급하기위함.
2단계 : 심정지후의 의학적 치료로 대상자의 호흡과 순환을 재개하고 유지시킴에 목적을 둠.
3단계 : 심폐 소생술 후 간호에서 자세히 다룸.
4) 간호
1) 정의
2) 목적
3) 방법
1단계 : 심폐 소생술의 기본적 구급처치로서 수초 내에 중추신경계 산소를 공급하기위함.
2단계 : 심정지후의 의학적 치료로 대상자의 호흡과 순환을 재개하고 유지시킴에 목적을 둠.
3단계 : 심폐 소생술 후 간호에서 자세히 다룸.
4) 간호
본문내용
측정으로 심정지로 인한 대사성 산중독증을 발견할 수 있다. 이 때에는 다량의 중조(NaHCO3)를 정맥 주사하여 세포의 무산소 상태 동안에 젖산이 축적되어 생긴 산중독을 제거시킨다.
· 뇌손상이나 산중독증으로 경련이 생긴 경우에는 amobarbital sodium을 정맥으로 투여하며 경련이 계속 되면 dilantin을 투약한다.
· 흉부 x-선 촬영을 하여 심폐 소생술로 인한 늑골골절과 같은 합병증이 발견되면 치료해 준다.
· 의식이 없는 대상자에게는 기도유지를 위해 기도내관을 계속 유지시키며 필요시에는 인공호흡기를 사용한다.
· 심정지 후 소변 배설량은 심맥관계의 상태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이므로 poly cath를 삽입하여 소변양을 정확히 측정하고 30cc/hr이하 이면 의사에게 notify한다.
· 뇌손상이나 산중독증으로 경련이 생긴 경우에는 amobarbital sodium을 정맥으로 투여하며 경련이 계속 되면 dilantin을 투약한다.
· 흉부 x-선 촬영을 하여 심폐 소생술로 인한 늑골골절과 같은 합병증이 발견되면 치료해 준다.
· 의식이 없는 대상자에게는 기도유지를 위해 기도내관을 계속 유지시키며 필요시에는 인공호흡기를 사용한다.
· 심정지 후 소변 배설량은 심맥관계의 상태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이므로 poly cath를 삽입하여 소변양을 정확히 측정하고 30cc/hr이하 이면 의사에게 notify한다.
추천자료
심장수술 환자간호
ER-간호중재
응급간호학- 응급환자
응급전문간호사의 자격, 역할, 전망, 관련법규, 나의의견
호흡장애(폐렴) 대상자 간호실습-환자간호사례 연구
수술주기간호
간호이론 인간기본요구
중환자간호과정
응급간호0
응급간호
성인간호학) 제세동기, 응급약물
고위험 신생아와 가족 간호 (1. 영양 2. 수유저항 3. 에너지 보존 4. 피부간호 5. 약물투여 6...
1. 고위험 신생아의 영양 2. 고위험 신생아의 발달 간호 3. 고위험 신생아의 비외상성 간호
폐렴 케이스 스터디 ( 폐렴 간호과정, 폐렴 케이스 스터디, 폐렴 간호진단, 폐렴 사례연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