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영 미 학자의 공격
a) 캘리오(미국)
b) 엘리(영국)
c) 블랙본(영국)
d) 에반스(영국)
Ⅲ. 독일 역사 학자의 반론
Ⅳ. 결론
Ⅱ. 영 미 학자의 공격
a) 캘리오(미국)
b) 엘리(영국)
c) 블랙본(영국)
d) 에반스(영국)
Ⅲ. 독일 역사 학자의 반론
Ⅳ. 결론
본문내용
국가사이에 무엇이 공통적인가를 밝히는 일이다. 무엇 때문에 늘 서유럽의 국가와 미국이 비교되어야 하는가? 독일인은 전통적으로 어떻게 행동하며, 국민 사회주의의 오랜 기간, 영향을 미친 조건의 비교연구를 위해, 훌륭한 근거를 들어, 어떻게 관습이 되었는가? 등을 밝히지 못했다. 비교국의 선정이 어떤 문제를 먼저 주제로 할 것인가와 자신의 나라의 역사를 결국 어떻게 조명할 것인가를 결정한다.
독일사의 특수성은 영국이나 미국대신 러시아와 비교한다면 매우 다르게 서술된다. 오로지 학문적 기준으로서만 비교국을 선정할 수는 없다. 역사적, 역사 서술적 관습외에 인간이 논쟁하는, 그,러나 다른 곳으로 방향을 옮길 수 없는 규범적 고려가 하나의 역할을 행한다. 또한 국제적 비교는 거의 없고, 지역간의 비교는 많다고 하는 문제의 제기 및 관심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오늘날의 경제사는 물론, 문화사와 생활사에 있어서도, 그러한 방향에로의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오늘날 많은 역사학자의 관심은 여기에서 토론한 비판의 유효한 방법으로서, 특수성 이론으로부터, 지역적, 지방적 발전으로 향하고 있다.
Ⅳ. 결론
독일적 특수성에 대하여 변명적 견해는 더 이상 바르게 주장 될 수 없다. 모든 인간의 개성이 다르듯이 민족과 나라의 역사도 다를 수 밖에 없다. 독일역사만이 특수성을 가지는 것은 아니다. 비극의 역사적 도덕적 감정은 정치적인 의미에서 보다 역사학자의 태도에서 날카로워 질 것이다.
인간은 언제나 동일한 것을 추구는 전제는 옳다. 그러나 인간은 개개인의 특수성을 달리한다는 것 역시 옳은 것으로 받아 들여야 한다. 결론으로 Whlhelm Dilthey의 표현을 인용하겠다. 따라서 인간의 특성 그 자체는 그의 행위에 의해서 조금씩 알게되는 하나의 비밀이다.
● 참고문헌●
1)<韓基榮>, 濟州大學校 論文集, 第29輯 別刷
2).D. Calleo. The German Problem Reconsidered(New York : Cambridge, 1980). P. 57.
3).D. Blackbourn/G. Eley, Mythen deutscher Geschichtsschreibung(Ullstein Materialien 1980) S. 24.
4)R. J. Evans, The Myth of Germany′s Missing Revolution(New Left Review Vol 149 : London, 1985), pp.67∼68.
독일사의 특수성은 영국이나 미국대신 러시아와 비교한다면 매우 다르게 서술된다. 오로지 학문적 기준으로서만 비교국을 선정할 수는 없다. 역사적, 역사 서술적 관습외에 인간이 논쟁하는, 그,러나 다른 곳으로 방향을 옮길 수 없는 규범적 고려가 하나의 역할을 행한다. 또한 국제적 비교는 거의 없고, 지역간의 비교는 많다고 하는 문제의 제기 및 관심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오늘날의 경제사는 물론, 문화사와 생활사에 있어서도, 그러한 방향에로의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오늘날 많은 역사학자의 관심은 여기에서 토론한 비판의 유효한 방법으로서, 특수성 이론으로부터, 지역적, 지방적 발전으로 향하고 있다.
Ⅳ. 결론
독일적 특수성에 대하여 변명적 견해는 더 이상 바르게 주장 될 수 없다. 모든 인간의 개성이 다르듯이 민족과 나라의 역사도 다를 수 밖에 없다. 독일역사만이 특수성을 가지는 것은 아니다. 비극의 역사적 도덕적 감정은 정치적인 의미에서 보다 역사학자의 태도에서 날카로워 질 것이다.
인간은 언제나 동일한 것을 추구는 전제는 옳다. 그러나 인간은 개개인의 특수성을 달리한다는 것 역시 옳은 것으로 받아 들여야 한다. 결론으로 Whlhelm Dilthey의 표현을 인용하겠다. 따라서 인간의 특성 그 자체는 그의 행위에 의해서 조금씩 알게되는 하나의 비밀이다.
● 참고문헌●
1)<韓基榮>, 濟州大學校 論文集, 第29輯 別刷
2).D. Calleo. The German Problem Reconsidered(New York : Cambridge, 1980). P. 57.
3).D. Blackbourn/G. Eley, Mythen deutscher Geschichtsschreibung(Ullstein Materialien 1980) S. 24.
4)R. J. Evans, The Myth of Germany′s Missing Revolution(New Left Review Vol 149 : London, 1985), pp.67∼68.
추천자료
헤르더의 역사인식과 마이네케의 역사주의
역사를 통해 살펴본 미국의 패권전략
서주의 역사와 문화
일본의 역사왜곡에 대한 우리의 대처방안
역사주의 연구
유대인 이미지의 역사를 읽고서-유대인 이미지와 반유대주의 연구의 필요성
[헤겔][법철학][자연철학][역사철학][현실][신학][신 존재 증명]헤겔의 일생, 헤겔의 법철학,...
사회복지의 역사
역사주의의 양면성
한반도 통일, 비용인가 투자인가 _ 독일의 경제통일사례를 중심으로
[현대신학][원은총][창조영성][혼돈][무][자연신학][역사신학]현대신학의 분류, 현대신학의 ...
마르크스주의 역사과학 - 사적유물론에서 비판적 인류학으로
사회복지정책의 역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