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찬양시 - 찬양시는 여호와에 대한 찬양의 소스가 듬뿍 묻어있다. 이 찬양시는 경배라는 열기로 그 소스를 익혀 나간다. 그 후 이렇게 찬양의 소스와 경배의 열기로 하나님을 찬양해야 하는 이유를 길게 설명하며 ‘찬양하라.’는 요청과 함께 끝을 맺는다.
2)탄식시 - 이 시를 살펴보면 우리는 하나님과 우리의 관계의 절정에서 그 심연으로 내려가는 경험을 하게 된다. 다 타버려 먹을 수 없는 음식을 대했을 때 느끼는 그 허무함이 이 안에 배어져 있다. 이것은 시편기자가 커다란 재난에 빠져 하나님 외에는 하소연 할 곳이 없는 상황에서 울부짖는 것이다. 그러나 탄식시의 마지막은 거의 찬양시로 마무리 지어진다. 3)감사시 - 암울한 상황에서 하나님이 응답하실 때 시편 기자는 다시 한번 목소리를 높여 감사를 올린다. 이것은 탄식이 응답된 것에 대한 반응이라고 볼 수 있다.
4)신뢰시 - 시편기자가 기쁨의 찬송을 노래하거나 한탄할 때 그곳에는 시편기자의 하나님에 대한 신뢰가 나타난다. 신뢰시에서는 대적이나 위험이 자신의 주변에 있음에도 자신이 하나님을 신뢰한다. 어떠한 상황 속에서도 하나님이 함께 계시니 그는 평안할 수 있다.
5)회상시 - 회상시는 하나님이 과거에 이루신 구속행위들에 집중적으로 초점을 맞추고 있는 시들이다. 이것은 역사를 기술하려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을 찬양하게 하기 위해 그분의 행위를 열거할 뿐이다.
6)지혜시 - 악인과 의인, 지혜로운 자와 어리석은 자의 대조 속에서 지혜로운 자는 어느 길에 서게 되는 가를 두고 고민하는 문제를 다룬다.
7)제왕시 - 첫째그룹은 인간 왕에 대한 다룸이 기술되어져 있으며 다른 제왕시는 하나님을 왕이라고 선포한다. 대부분의 시편은 이 장르의 이면 저면을 다 가지고 있다. 시편은 그 하나하나가 완전히 분리된 것이 아니다.
2)탄식시 - 이 시를 살펴보면 우리는 하나님과 우리의 관계의 절정에서 그 심연으로 내려가는 경험을 하게 된다. 다 타버려 먹을 수 없는 음식을 대했을 때 느끼는 그 허무함이 이 안에 배어져 있다. 이것은 시편기자가 커다란 재난에 빠져 하나님 외에는 하소연 할 곳이 없는 상황에서 울부짖는 것이다. 그러나 탄식시의 마지막은 거의 찬양시로 마무리 지어진다. 3)감사시 - 암울한 상황에서 하나님이 응답하실 때 시편 기자는 다시 한번 목소리를 높여 감사를 올린다. 이것은 탄식이 응답된 것에 대한 반응이라고 볼 수 있다.
4)신뢰시 - 시편기자가 기쁨의 찬송을 노래하거나 한탄할 때 그곳에는 시편기자의 하나님에 대한 신뢰가 나타난다. 신뢰시에서는 대적이나 위험이 자신의 주변에 있음에도 자신이 하나님을 신뢰한다. 어떠한 상황 속에서도 하나님이 함께 계시니 그는 평안할 수 있다.
5)회상시 - 회상시는 하나님이 과거에 이루신 구속행위들에 집중적으로 초점을 맞추고 있는 시들이다. 이것은 역사를 기술하려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을 찬양하게 하기 위해 그분의 행위를 열거할 뿐이다.
6)지혜시 - 악인과 의인, 지혜로운 자와 어리석은 자의 대조 속에서 지혜로운 자는 어느 길에 서게 되는 가를 두고 고민하는 문제를 다룬다.
7)제왕시 - 첫째그룹은 인간 왕에 대한 다룸이 기술되어져 있으며 다른 제왕시는 하나님을 왕이라고 선포한다. 대부분의 시편은 이 장르의 이면 저면을 다 가지고 있다. 시편은 그 하나하나가 완전히 분리된 것이 아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