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문학의 특성과 '인민성'의 문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는 김일성의 개인 영웅화로 인하여 점차 인민의 본래 궤도에서 벗어나는 '인민성'을 문제삼고자 한다. 김일성의 영웅화는 민중 주체의 자기 결정을 외면하여 인민성을 왜곡하고, 최고 시혜자로서 '어버이'로 표상하는 충효일치 사상으로 나아갔다. 최근에 발표된 한 단편소설을 보면 이런 문제를 그대로 보여준다.
그렇다. 인민이 하늘이라면 우리 수령님은 하늘의 하늘이시다!
) 김명회,「만민의 하늘」,『조선문학』,1996.4. 18쪽.
이 인용은 농업위원회 한 책임일군 채국룡의 독백이다. 이와 같은 감탄을 하면서, 그는 자신이 인민을 대하는 태도가 얼마나 잘못되었는가를 통렬하게 반성한다. 직접 농사 현장 지도를 하면서 보여준 수령의 경우는 온 나라 인민의 식생활까지 염려하고 있었는데, 이에 비해 채국룡은 온 나라 인민은 고사하고 고장의 인민들만을, 아니 제 아버지만을 위하지도 못했다고 자책한다. 이렇듯, 수령은 하늘 같은 은덕을 베풀어 주고, 인민들은 하해 같은 은총을 받았다고 생각함으로써 둘 사이에는 굳은 충성의 의리가 맺어진다. 말하자면, 아버지와 아들 관계의 효를 '하늘 위의 하늘'과 같은 극단적인 수직 관계로 집단화한 셈이다.
이와 같은 충성의 의미 가운데 내재한 '인민성'은 '어버이'의 가부장성의 문제로 포착할 수 있다. 수령으로서 어버이, 사회원로 지도자로서 아바이, 가정의 질서를 세우는 표상으로서의 아버지로 이어지는 효의 의미가 북한 인물의 전형을 이루고 있는 점을 주목해야 할 것이다.
북한 사회에서 충효의 윤리의식은 주체사상의 인간학을 실질적으로 지배함으로써, 인간학이 표방한 인민의 자주성과 주체성의 의미를 희석시켰다고 볼 수 있다. 결국, 북한의 유일사상은 충효의 강조로 인하여 더욱 남성 중심의 가부장의 성격을 띠게 했다. 이 문제는 또한 인민성을 왜곡하는 '관료주의'와도 관련된 것이다.
백남룡(白南龍,1949- )
) 함남 함흥에서 태어남. 고교 졸업 후 1966년부터 10년 동안 장자강 기계공장에서 노동자로 일함. 그 후 김일성대학을 졸업하고, 1979년 『조선문학』에 「복무자」를 발표하면서 작가 활동 시작. 현재《4·15창작단》소속으로 확동. 단편「생명」은 '1985년도 성과작'으로 표창. 장편 『60년후』(1985), 단편 「퇴근길에서」(1985) 등 20여편의 작품을 발표.(이명재 편,『북한문학사 전』 참조)
의 중편 「벗」(1988)은 이런 두 측면을 동시에 살펴볼 수 있는 작품이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09.23
  • 저작시기2004.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84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