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피리, 퉁소 등이 있었다.
-가면극
음악은 가면극과도 밀접한 관계를 가졌다. 고려의 끝 무렵 각본에 따라서 춤과 노래를 연출하는 가면극이 유행하였다. 예종 때부터 연극적 요소가 되어 산대 잡극이라 불렸다. 시간이흐를 수록 산대놀이는 점점 다양해지고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더욱 널리 행해졌다.
-권문세족의 생활
고려 끝 무렵 권무세족들은 튼튼한 경제적 기반을 바탕을 백성들을 위에 군림하였다. 권문세족들은 농장을 넓히면서 자신의 세력을 키워갔다. 권문세족에게 땅을 빼앗긴 농민들은 유랑민이 되어 떠돌아 다녔다.
-사원의 타락
오랫동안 나라의 보호를 받으면 번성하던 불교도 마침내 자신의 본분에서 벗어난 부패하기 시작하였다. 사원 소유의 농장은 점점 넓어져 가고 노비의 수도 많았다.
-신진 사대부의 등장
고려 끝무렵에 권문세족이 강력한 지배세력으로 등장하자, 다른 한편에서 이 권문세족에 도전하는 새로운 사회 세겨이 고개를 들기 시작하였다. 신진 사대부들은 무신 정권이 무너진 후 더욱 활발히 중앙 정계에 나와 큰 세력을 이뤘다. 사대부들이 새로운 힘을 이루며 등장하자 불안을 느낀 권문세가들은 권력을 써서 그들이 더욱 성장하지 못하도록 방해하였다.
-개혁에의 의지
충선왕의 즉위와 더불어 새로운 사회로의 개혁을 시도하였다. 충선왕은 사림원에서 학문에 전념하고 있는 신진 사대부들을 등용하여 개혁을 추진하는 중심세력으로 이끌었다. 충선왕의 개혁에 불만을 품고 있던 사람들은 원나라에게 고하여 충선왕이 폐위한다.
양반나라 조선
-최영과 이성계
조정은 우왕을 등에 업은 이인임 일파가 친원책을 쓰고 있었다. 이인임은 그 지위를 이용하여 쵱영과 이성계의 공을 시기하는 한편, 자기네 패에게 주요한 벼슬자리를 다 주어 권력을 손에 쥐고 재산을 늘리고 있었다. 나라를 위하여 이인임 일파를 없애려는 뜻은 최영과 이성계의 뜻은 같다. 최영은 이성계와 의논을 하여 나라를 망치는 일을 왕에게 전하여 최영과 이성계는 이인임 일파를 해치운다.
-대결단
왕은 최영을 문하시중으로 삼고 이성계를 수문하시중에 정몽주를 삼사좌사에 임명하였다. 그 후 명나라에서는 사신을 보내어 철령 언저리를 돌려 달라고 한다. 하지만 사신을 가두어 버린다. 명나라는 고려를 깔본다. 우왕 때 명나라와 싸움을 위하여 전국에 군 소집령을 내린다. 그러는 가운데에 백성들은 최영을 원망한다. 최영과 이성계를 비롯한 많은 군사, 장군과 같이 간다. 이성계가 위하도에 닿자마자 비가 쏟아진다. 장마에 군사들은 죽어간다. 이성계는 더 이상 군사들을 죽일 수 없다고 생각하고 조민수와 회군을 한다.
-최영 장군
평양에서 이성계의 대군을 당할 수 없어 최영은 우왕을 모시고 급히 개경으로 돌아갔다. 최영은 도성을 방비하기 위하여 나라 군사를 모았지만 5천의 군사밖에 되지 않는다. 이성계는 최영의 죄를 물으라는 말을 사자에게 전하게 한다. 이성계는 선의 문으로 공격해 최영은 열심히 싸우지만 최영은 귀양을 가 죽임을 당한다.
-정몽주의 충성
최영이 죽은 후 고려 조정은 무장으로는 이성계, 문신으로는 정몽주가 기둥격이 되었다. 이성계는 우왕을 왕위에서 끌어내기 위하여 강화도로 보내고 창왕이 왕위에 오른다. 정몽주는 강화도 까지 쫓아가 배웅을 한다. 그 다음 해에 대재학이 되어 일을 한다. 이성계는 정몽주를 불러 속마음을 떠 본다. 이성계는 창왕마저 폐하고 공양왕이 왕위에 오르게 한다. 이어서 변안열, 우현보, 왕안국 등을 귀양을 보낸다. 이성계의 다섯째 아들 이방원은 새 나라를 세우게 하고 자신의 스승이기도 한 정몽주가 자기의 편으로 들어오지 않을 것임을 알고 자기의 집으로 초대하여 술을 마신다. 그 때 정몽주의 단심가라는 시조가 만들어 진다.
-선죽교의 피
조정이 이렇듯 어지러울 때인 1392년에 명나라에서 사신으로 갔던 태자가 고려로 돌아와 이성계가 태자를 맞으러 가다가 다친다. 그 때 김진양은 정몽주를 찾아가 의논하여 이성계파를 없앨 노력하지만 이성계가 황주에서 빨리 돌아온다. 정몽주는 이성계의 병문안을 온다. 이방원은 이 때를 노려 정몽주가 선죽교를 지날 대 정몽주를 죽인다.
-새 나라 새 임금
이성계는 공양왕을 폐하고 이성계가 왕위에 오른다. 국호를 조선으로 바꾼다. 그가 태조 이성계이다. 이로써 왕건이 세운 약 500여년 만에 조선이 세워진다. 이성계에게는 8명의 아들이 있는데 6명의 왕자를 첫째 부인에게 얻고 2명의 아들을 둘째 부인에게 얻는데 세자의 자리는 막내인 방석에게 돌아간다.
-왕씨의 수난
고려의 왕씨 왕조는 망하였지만 아직 왕족은 도성에서 살고 있었다. 이방원의 부하인 이숙번은 화를 많이 낸다. 공양은 반란을 꾀하였다는 모함을 받아 공양왕은 죽게 된다. 이성계는 왕씨 일가족마저 물귀신이 되게 하였다.
-새 도읍 한양
이성계는 도읍을 한양으로 옮긴다. 공사는 급히 진행되었다. 이태조는 새로운 궁궐을 이름을 경복궁이라고 하였다. 이방원은 공이 큰데 세자가 되지 못해 불만이 많았다. 그래서 정도전과 남은은 이방원을 죽이려고 마음먹고 있었다. 그래서 하윤이 이방원의 마음을 잡아 놓기 위하여 연극을 꾸민다. 정도전과 남은은 이방원에게 자객을 보내 죽이려 하지만 들키게 되고 왕궁에 들게 하자 이방원은 갑옷을 입고 간다.
-태조의 노여움
둘째 부인이 죽자 태조는 병에 걸린다. 그 때 이방원은 군사를 일으켜 정도전과 남은을 죽인다. 태조는 화를 내지만 다 이유가 있어서 그랬다는 것을 알았지만 참지 못한다. 방원은 방번을 죽인다.
-왕자의 난
조선 왕조가 세워졌을 무렵 싸움이 시작 되어 제 2의 왕자의 난이 시작된다. 박포는 방간의 마음을 돌리기 위해 애를 써서 군사를 훈련시킨다. 박포는 술대접을 한다고 방원을 불러들인다. 우헌보가 방간이 방원을 죽이려 함을 알고 방언에게 알려 형제끼리 싸운다. 방원과 방간은 싸우지만 정종은 박포의 죄를 물어 박포의 목을 벤다.
-함흥차사
정종은 이방원에게 왕위를 물려준다. 이 사람이 태종이다. 이성계는 함흥에서 쉬고 있다가 이방언의 전갈을 보내어 옥새를 주라고 한다. 하지만 태조는 차사가 오기만 하면 활로 쏘아 죽인다. 무학대사가 가자 태조는 마음이 바뀌어 옥새를 물려준다. 이성계는 74살에 죽는다.
-가면극
음악은 가면극과도 밀접한 관계를 가졌다. 고려의 끝 무렵 각본에 따라서 춤과 노래를 연출하는 가면극이 유행하였다. 예종 때부터 연극적 요소가 되어 산대 잡극이라 불렸다. 시간이흐를 수록 산대놀이는 점점 다양해지고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더욱 널리 행해졌다.
-권문세족의 생활
고려 끝 무렵 권무세족들은 튼튼한 경제적 기반을 바탕을 백성들을 위에 군림하였다. 권문세족들은 농장을 넓히면서 자신의 세력을 키워갔다. 권문세족에게 땅을 빼앗긴 농민들은 유랑민이 되어 떠돌아 다녔다.
-사원의 타락
오랫동안 나라의 보호를 받으면 번성하던 불교도 마침내 자신의 본분에서 벗어난 부패하기 시작하였다. 사원 소유의 농장은 점점 넓어져 가고 노비의 수도 많았다.
-신진 사대부의 등장
고려 끝무렵에 권문세족이 강력한 지배세력으로 등장하자, 다른 한편에서 이 권문세족에 도전하는 새로운 사회 세겨이 고개를 들기 시작하였다. 신진 사대부들은 무신 정권이 무너진 후 더욱 활발히 중앙 정계에 나와 큰 세력을 이뤘다. 사대부들이 새로운 힘을 이루며 등장하자 불안을 느낀 권문세가들은 권력을 써서 그들이 더욱 성장하지 못하도록 방해하였다.
-개혁에의 의지
충선왕의 즉위와 더불어 새로운 사회로의 개혁을 시도하였다. 충선왕은 사림원에서 학문에 전념하고 있는 신진 사대부들을 등용하여 개혁을 추진하는 중심세력으로 이끌었다. 충선왕의 개혁에 불만을 품고 있던 사람들은 원나라에게 고하여 충선왕이 폐위한다.
양반나라 조선
-최영과 이성계
조정은 우왕을 등에 업은 이인임 일파가 친원책을 쓰고 있었다. 이인임은 그 지위를 이용하여 쵱영과 이성계의 공을 시기하는 한편, 자기네 패에게 주요한 벼슬자리를 다 주어 권력을 손에 쥐고 재산을 늘리고 있었다. 나라를 위하여 이인임 일파를 없애려는 뜻은 최영과 이성계의 뜻은 같다. 최영은 이성계와 의논을 하여 나라를 망치는 일을 왕에게 전하여 최영과 이성계는 이인임 일파를 해치운다.
-대결단
왕은 최영을 문하시중으로 삼고 이성계를 수문하시중에 정몽주를 삼사좌사에 임명하였다. 그 후 명나라에서는 사신을 보내어 철령 언저리를 돌려 달라고 한다. 하지만 사신을 가두어 버린다. 명나라는 고려를 깔본다. 우왕 때 명나라와 싸움을 위하여 전국에 군 소집령을 내린다. 그러는 가운데에 백성들은 최영을 원망한다. 최영과 이성계를 비롯한 많은 군사, 장군과 같이 간다. 이성계가 위하도에 닿자마자 비가 쏟아진다. 장마에 군사들은 죽어간다. 이성계는 더 이상 군사들을 죽일 수 없다고 생각하고 조민수와 회군을 한다.
-최영 장군
평양에서 이성계의 대군을 당할 수 없어 최영은 우왕을 모시고 급히 개경으로 돌아갔다. 최영은 도성을 방비하기 위하여 나라 군사를 모았지만 5천의 군사밖에 되지 않는다. 이성계는 최영의 죄를 물으라는 말을 사자에게 전하게 한다. 이성계는 선의 문으로 공격해 최영은 열심히 싸우지만 최영은 귀양을 가 죽임을 당한다.
-정몽주의 충성
최영이 죽은 후 고려 조정은 무장으로는 이성계, 문신으로는 정몽주가 기둥격이 되었다. 이성계는 우왕을 왕위에서 끌어내기 위하여 강화도로 보내고 창왕이 왕위에 오른다. 정몽주는 강화도 까지 쫓아가 배웅을 한다. 그 다음 해에 대재학이 되어 일을 한다. 이성계는 정몽주를 불러 속마음을 떠 본다. 이성계는 창왕마저 폐하고 공양왕이 왕위에 오르게 한다. 이어서 변안열, 우현보, 왕안국 등을 귀양을 보낸다. 이성계의 다섯째 아들 이방원은 새 나라를 세우게 하고 자신의 스승이기도 한 정몽주가 자기의 편으로 들어오지 않을 것임을 알고 자기의 집으로 초대하여 술을 마신다. 그 때 정몽주의 단심가라는 시조가 만들어 진다.
-선죽교의 피
조정이 이렇듯 어지러울 때인 1392년에 명나라에서 사신으로 갔던 태자가 고려로 돌아와 이성계가 태자를 맞으러 가다가 다친다. 그 때 김진양은 정몽주를 찾아가 의논하여 이성계파를 없앨 노력하지만 이성계가 황주에서 빨리 돌아온다. 정몽주는 이성계의 병문안을 온다. 이방원은 이 때를 노려 정몽주가 선죽교를 지날 대 정몽주를 죽인다.
-새 나라 새 임금
이성계는 공양왕을 폐하고 이성계가 왕위에 오른다. 국호를 조선으로 바꾼다. 그가 태조 이성계이다. 이로써 왕건이 세운 약 500여년 만에 조선이 세워진다. 이성계에게는 8명의 아들이 있는데 6명의 왕자를 첫째 부인에게 얻고 2명의 아들을 둘째 부인에게 얻는데 세자의 자리는 막내인 방석에게 돌아간다.
-왕씨의 수난
고려의 왕씨 왕조는 망하였지만 아직 왕족은 도성에서 살고 있었다. 이방원의 부하인 이숙번은 화를 많이 낸다. 공양은 반란을 꾀하였다는 모함을 받아 공양왕은 죽게 된다. 이성계는 왕씨 일가족마저 물귀신이 되게 하였다.
-새 도읍 한양
이성계는 도읍을 한양으로 옮긴다. 공사는 급히 진행되었다. 이태조는 새로운 궁궐을 이름을 경복궁이라고 하였다. 이방원은 공이 큰데 세자가 되지 못해 불만이 많았다. 그래서 정도전과 남은은 이방원을 죽이려고 마음먹고 있었다. 그래서 하윤이 이방원의 마음을 잡아 놓기 위하여 연극을 꾸민다. 정도전과 남은은 이방원에게 자객을 보내 죽이려 하지만 들키게 되고 왕궁에 들게 하자 이방원은 갑옷을 입고 간다.
-태조의 노여움
둘째 부인이 죽자 태조는 병에 걸린다. 그 때 이방원은 군사를 일으켜 정도전과 남은을 죽인다. 태조는 화를 내지만 다 이유가 있어서 그랬다는 것을 알았지만 참지 못한다. 방원은 방번을 죽인다.
-왕자의 난
조선 왕조가 세워졌을 무렵 싸움이 시작 되어 제 2의 왕자의 난이 시작된다. 박포는 방간의 마음을 돌리기 위해 애를 써서 군사를 훈련시킨다. 박포는 술대접을 한다고 방원을 불러들인다. 우헌보가 방간이 방원을 죽이려 함을 알고 방언에게 알려 형제끼리 싸운다. 방원과 방간은 싸우지만 정종은 박포의 죄를 물어 박포의 목을 벤다.
-함흥차사
정종은 이방원에게 왕위를 물려준다. 이 사람이 태종이다. 이성계는 함흥에서 쉬고 있다가 이방언의 전갈을 보내어 옥새를 주라고 한다. 하지만 태조는 차사가 오기만 하면 활로 쏘아 죽인다. 무학대사가 가자 태조는 마음이 바뀌어 옥새를 물려준다. 이성계는 74살에 죽는다.
추천자료
남북국시대론
한말의 민족주의운동
[신화][단군신화][홍익인간][건국신화][단군][단군신화 교육]신화의 개념, 신화의 기능과 단...
[통일정책]힘 우위시기에 따른 남북한 통일논의 및 정책 분석
[통일][남북통일][통일론][통일교육][남북관계][남북분단][대북정책][북한]통일(남북통일)의 ...
동북아 종족 이동 과 갈래
[통일교육][사회통일교육][남북통일교육][남북관계]통일교육의 정의, 통일교육의 중요성, 사...
재중(在中)동포, 조선족 그들은 누구인가 - 재중동포에 대한 인식 재고를 중심으로
이승만의 민족개념
논문요약-아편전쟁과문호개방에대한중국의역사교육과역사인식
‘중상학파’에 대하여
[문화콘텐츠] 치우천황(자오지 환웅 蚩尤天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