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 멸망과 포로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서론

2.본론
2.1.북이스라엘과 유다왕국의 멸망과 포로기
2.1.1 북 이스라엘 멸망
2.1.2 남유다의 멸망

3. 결론

본문내용

하였다. 존브라이트는 아몬에 대한 반란은 친앗시리아 정책을 바꾸려는 반 앗시리아세력에 의해 주도 된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22 요시야의 개혁중(622년경) 앗시리아는 멸망의 단계로 접어들고 주전 612년에 니느웨가 함락됨으로써 앗시리아는 완전히 멸망하고, 요시아는 앗시리아를 치러가는 이집트 왕 느고의 길을 막다가 므깃도에서 전사하였다.(왕하23:29-30) 이로 인하여 요시야의 넷째 아들 여호아하스 즉 살룸이 왕으로 추대되고 이집트의 느고는 그를 잡아다가 왕위를 박탈하고 이집트로 끌고 갔다(왕하23:33-34, 대하36:2-4) 그는 포로신세로 있다가 그곳에서 죽고(왕하23:34, 렘22:10) 요시야의 다른 아들 엘리야김을 왕으로 세우고 그이름을 여호야김으로 바꾸었다. 그는 이집트의 봉신으로서 과중한 조공을 바치고, 공물을 조달키위해 세금을 징수(왕하23:35)하였다.
23 렘46:2절에 의하면 여호야김 제4년에 이집트의 느고와 바벨론의 느브갓네살의 전쟁에서 바벨론의 승리로 끝나고 이 결과로 시리아와 팔레스타인 지역은 바벨론 으로 넘어가게 되었다. 이에 여호야김은 조공을 받치고 그의 봉신이 되었는데 3년후에 반기들 들어(왕하24:1) 이로 인하여 598년경에 바빌론 군대가 유다를 공격하여 에루살렘을 포위하였다. 이후 그의아들 여호야긴은 바벨론에게 항복(왕하24:12)하고, 고위관리들,군인들,기술자들이 바빌론으로 잡혀갔다(왕하24:14-16, 대하36:10)이것이 주전 597년의 제1차 포로다. 그리고 성전의 보물과 왕궁의 보화가 바빌론 군대에게 약탈당하므로 바벨론으로 옮겨졌고 일부는 파괴되었다(왕하24:13, 대하36:10)
24 유대인들은 "여호야긴 왕의 포로된 날"을 연대의 기산점으로 삼고 있기까지(겔1:2)했다. 유다땅의 남아 있는 사람들도 여호야긴의 신속한 귀국을 열망(렘27장 이하)하였다.
25 시드기야가 예언자 예레미야의 말을 듣지 않은 것, 제사장과 백성들이 이방종교 풍속을 성전 제의에 도입한 것, 야훼의 특사들의 말을 무시하고 비웃는 일등이 나열되고 있음
26 유다가 범죄한 결과 하나님의 심판을 받아야하는 현실에서 모면하는 것은 하나님을 거역하는 것이라고는 논리로 바벨론에 항복하라고 권면(렘28:12-14)
27 차준희, 유다왕국의 멸망과 포로기, 논문 p3 재인용
존브라이트에 의하면 "이사야가 예루살렘이 정령되지 않으리라고 히스기야에게 확언한 것이 일련의 사건들과 뒤이어 이사아의 말을 성취라도 하듯 일어난 앗시리아의 붕괴로 말미암아 옳았다는 것이 입증되자, 이는 성전과 국가의 신성 불가침성이 백성들의 마음속에 논란의 여지가 없는 교의로 자리잡게 되었다"고 주장한다.
존브라이트, 이스라엘의 역사, 박문재 역, 그리스챤 다이제스트, 1981년 제3증보판 p456.
28 장일선은 이스라엘 야훼 종교전승이 "부족동맹시대에서 법궤를 통해 중앙성소로 흘러 내려갔다"고 보았다. 다윗이 법궤를 예루살렘으로 옮김에 따라 야웨 종교전승의 주류는 남왕국의 예루살렘 성전을 중심하여 히스기야-요시야 종교개혁까지 이른것으로 본다.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4.09.27
  • 저작시기2004.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86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