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개토왕릉비는 변조되었는가?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비문 변조설의 내용

2.비의 재발견과 ‘신묘년’ 기사

3.비문 변조설의 진위

4.비석의 상태와 비문의 내용

5.신묘년조의 해석

본문내용

왜냐하면 고구려인의 관념 속에서 백제는 이미 고구려를 중심으로 한 질서 속에 편입된 속국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왜가 한반도 남부에 침입하여 그 질서를 범하였기 때문에 이를 응징하려고 백제를 정복하였다고 비약시켜 말했던 것이다.
신묘년조는 액면 그대로의 사실은 아니며, 단순한 허구도 아니다. 당시 왜라는 존재가 있었고, 이들이 때때로 한반도 남부에 출몰했던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당시의 왜는 백제나 신라를 정복할 만한 힘이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능비를 세운 고구려인들은, 광개토왕이 백제를 정복하고 신라가야지역에 군대를 보낸 조치를 정당화하려고 왜의 존재를 과장함으로써 마치 이들이 백제나 신라를 ‘정복’한 것처럼 비문에 새겨놓았던 것이다. 어쩌면 왜를 고구려가 중심이 된 질서 밖에있는 존재로 간주하여 신속시켜야 할 대상에서 아예 제외하고 있었기 때문에 나올 수 있었던 표현인지도 모른다.
결국 글자 몇 자가 바뀌었다고 비문이 전하는 역사상 전체가 뒤바뀌는 것은 아니다. 제국주의자들의 음모가 깔려 있지만, 진실은 결코 묻혀질 수 없다. 광개토왕릉비에는 아직도 많은 진실이 숨겨져 있을 것이며 그것을 제대로 찾는 것은 우리의 몫이 되어야 한다.
  • 가격1,3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4.10.01
  • 저작시기200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90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