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왜 협동학습이 필요한가?
2. 협동학습이란 무엇인가?
3. 긍정적인 상호의존성
4. 개별 책무성
5. 집단 과정(Group Processing)
6. 협동학습의 가치를 가르칠 것
7. 협동학습에 필요한 기술도 가르칠 것
협동학습을 위한 지침
8. 협동학습 수업의 단계
1) 교사의 설명
2) 집단탐구
3) 평가
2. 협동학습이란 무엇인가?
3. 긍정적인 상호의존성
4. 개별 책무성
5. 집단 과정(Group Processing)
6. 협동학습의 가치를 가르칠 것
7. 협동학습에 필요한 기술도 가르칠 것
협동학습을 위한 지침
8. 협동학습 수업의 단계
1) 교사의 설명
2) 집단탐구
3) 평가
본문내용
되라
18. 모두들 잘 보이는지, 필요한 자료를 가지고 있는지, 공간이 충분한지, 진전을
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라.
19. 구성원의 답이 일치하는지 물어 보라.
20. 모두 이해하는지 물어 보라.
21. 과거에 배운 것도 구성원과 의논하고, 확인하라.
좋은 교사가 되라
22. 문제를 어떻게 풀었는지 설명하라.
23. 답이 옳은지를 어떻게 알 수 있었는지 설명하라.
24. 중요한 사실이나 절차를 기억할 방법을 생각하고, 동료에게도 말해 주라.
25. 어려움을 겪는 구성원을 위하여 쉬운 문제나 다른 문제를 만들어 풀어보게 하고, 정답을 찾아낸 후에도 3-4개의 연습문제를 풀도록 돕는다.
26. 구성원들이 주제를 자신의 말로 설명하고, 요약하고, 예 들도록 돕는다.
27. 구성원이 어떻게 하고 있는지를 서로 알게 하라.
좋은 지도자가 되라
28. 딴 짓을 하는 구성원에게는 무엇을 해야 하는지 말하라.
29. 구성원이 바보처럼 보이지 않게 주의하라.
30. 구성원의 의견을 물어서 참여하도록 도우라.
31. 이견은 투표가 아니라 논리에 근거하도록 한다.
32. 토론 후에는 구성원이 결정한 것을 요약하라.
33. 구성원이 최선을 다하도록 목표를 세우고 독려하라.
34. 집단의 규칙과 절차를 제안하라.
35. 어려워하는 구성원을 격려하라.
36. 좋지 않은 감정으로 떠나는 일이 없도록 교정하고, 좋은 말로 맺는다.
참고문헌
변영계, 김광휘 (1999). 협동학습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Shepardson, R. D.(1985). Cooperative learning activities. Note for class.
18. 모두들 잘 보이는지, 필요한 자료를 가지고 있는지, 공간이 충분한지, 진전을
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라.
19. 구성원의 답이 일치하는지 물어 보라.
20. 모두 이해하는지 물어 보라.
21. 과거에 배운 것도 구성원과 의논하고, 확인하라.
좋은 교사가 되라
22. 문제를 어떻게 풀었는지 설명하라.
23. 답이 옳은지를 어떻게 알 수 있었는지 설명하라.
24. 중요한 사실이나 절차를 기억할 방법을 생각하고, 동료에게도 말해 주라.
25. 어려움을 겪는 구성원을 위하여 쉬운 문제나 다른 문제를 만들어 풀어보게 하고, 정답을 찾아낸 후에도 3-4개의 연습문제를 풀도록 돕는다.
26. 구성원들이 주제를 자신의 말로 설명하고, 요약하고, 예 들도록 돕는다.
27. 구성원이 어떻게 하고 있는지를 서로 알게 하라.
좋은 지도자가 되라
28. 딴 짓을 하는 구성원에게는 무엇을 해야 하는지 말하라.
29. 구성원이 바보처럼 보이지 않게 주의하라.
30. 구성원의 의견을 물어서 참여하도록 도우라.
31. 이견은 투표가 아니라 논리에 근거하도록 한다.
32. 토론 후에는 구성원이 결정한 것을 요약하라.
33. 구성원이 최선을 다하도록 목표를 세우고 독려하라.
34. 집단의 규칙과 절차를 제안하라.
35. 어려워하는 구성원을 격려하라.
36. 좋지 않은 감정으로 떠나는 일이 없도록 교정하고, 좋은 말로 맺는다.
참고문헌
변영계, 김광휘 (1999). 협동학습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Shepardson, R. D.(1985). Cooperative learning activities. Note for class.
키워드
추천자료
[탐구학습]탐구(탐구활동)의 개념, 탐구(탐구활동)의 특징, 탐구(탐구활동)의 과정과 국어과...
토의학습(토론식학습, 토의수업)의 유형과 의의, 토의학습(토론식학습, 토의수업)의 준비와 ...
[순환학습모형][순환수업모형]순환학습(순환수업모형)의 정의, 순환학습(순환수업모형)의 특...
프로젝트기반학습(프로젝트중심수업, PBL)의 전제조건과 과정, 프로젝트기반학습(프로젝트중...
[체육교육]체육과 기능수업(운동기능학습)의 개념과 원리, 체육과 기능수업(운동기능학습)의 ...
경험학습(경험수업모형)의 의의와 특징, 경험학습(경험수업모형)의 적용조건, 경험학습(경험...
[도덕과교육][도덕교육][도덕수업]도덕과교육(수업) 학습지도, 도덕과교육(수업) 협동학습지...
[도덕교육][도덕교육자료]도덕과 이야기교육자료(수업자료), 도덕과 통일교육자료(수업자료),...
도덕과(교육) 가치갈등수업모형(가치갈등학습)의 의의와 학습단계, 도덕과(교육) 가치갈등수...
[수업관찰][자료수집][기록][국어교육][영어교육]수업관찰 필요성, 수업관찰 접근법 분류, 수...
[학습전략]학습(교육, 수업)전략의 개념, 언어학습(교육, 수업)전략, 개별화학습(교육, 수업)...
개별화학습(개별화수업, 교육)의 정의, 필요성, 전제조건, 개별화학습(개별화수업, 교육)의 ...
PBL(프로젝트학습, 프로젝트수업)의 원리와 특징, PBL(프로젝트학습, 프로젝트수업)의 목적과...
도덕과교육(학습, 수업)의 성격과 창의성, 도덕과교육(학습, 수업)의 원칙과 내용, 도덕과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