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본론
1. 현대교회에 대한 몰트만의 도전
2. 현대교회의 모습
3. 역사 속에서 살펴본 개혁파 교회관
⑴ 키프리안의 교회관
(2) 어거스틴의 교회관
(3) 요한 칼빈의 교회관
(4) 메이천의 교회관
Ⅲ 나가는 말
Ⅱ. 본론
1. 현대교회에 대한 몰트만의 도전
2. 현대교회의 모습
3. 역사 속에서 살펴본 개혁파 교회관
⑴ 키프리안의 교회관
(2) 어거스틴의 교회관
(3) 요한 칼빈의 교회관
(4) 메이천의 교회관
Ⅲ 나가는 말
본문내용
없이 하나님의 말씀으로 선포되는 교회, 그리고 성경에서 계시한 나를 위해 죽으시고 다시 살아나신 그리스도에게 온전히 복종하는 교회, 그리고 교회의 사역 자들이 그들이 임직시 서약한대로 장로교 표준문서에 충실하게 서약하는 교회의 모습은 오늘 우리가 본받고 지향해야 할 교회의 모습임에 틀림이 없다.
Ⅲ 나가는 말
역사적으로 중요한 교부들의 교회관을 통하여 또한 칼빈과 메이천의 교회관을 통하여 개혁파 교회관을 정립해보려고 시도해 보았다. 칼빈의 제자 베자에 따르면 「개혁파 교회는 끊임없이 개혁하는 교회」라고 했다. 과연 오늘 나에게는 개혁할 부분이 없는지, 개혁은 바로 나에게서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하는 사실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니케아-콘스탄티노플 신조(AD 381)는 교회에 대해 4가지 중요한 것을 고백하고 있다.
① 하나의 교회, 곧 예수 그리스도를 머리로 그리스도의 몸을 이룬 교회를 고백하고 있다.
② 거룩한 교회를 고백하고 있다.
③ 보편적 교회를 고백하고 있다.
④ 끝으로 우리는 사도적 교회를 고백하고 있다.
오직 성경만이 교회를 지도하고 현대교회의 표준이라고 고백하는 것이 개혁파 교회, 정통 칼빈주의 교회의 바른 고백이 될 것이다.
Ⅲ 나가는 말
역사적으로 중요한 교부들의 교회관을 통하여 또한 칼빈과 메이천의 교회관을 통하여 개혁파 교회관을 정립해보려고 시도해 보았다. 칼빈의 제자 베자에 따르면 「개혁파 교회는 끊임없이 개혁하는 교회」라고 했다. 과연 오늘 나에게는 개혁할 부분이 없는지, 개혁은 바로 나에게서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하는 사실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니케아-콘스탄티노플 신조(AD 381)는 교회에 대해 4가지 중요한 것을 고백하고 있다.
① 하나의 교회, 곧 예수 그리스도를 머리로 그리스도의 몸을 이룬 교회를 고백하고 있다.
② 거룩한 교회를 고백하고 있다.
③ 보편적 교회를 고백하고 있다.
④ 끝으로 우리는 사도적 교회를 고백하고 있다.
오직 성경만이 교회를 지도하고 현대교회의 표준이라고 고백하는 것이 개혁파 교회, 정통 칼빈주의 교회의 바른 고백이 될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