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역사유적 및 음식문화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의 역사유적 및 음식문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1.중국문화의 핵심 - 紫禁城
2.인류최대의 건축물 - 만리장성(萬里長城)
3.중국의 요리
4.중국요리 3대 요소 - 色/香/味
5.8대 名酒
6.요리에 반영된 중국인의 실리성

결론

본문내용

통틀어 부르는 말로 증류주이기 때문에 알콜도수가 보통 30도 이상이나 되는 매우 독한 술이다. 고량주/대국주/마오타이주가 이에 속한다. 황주는 우리의 탁주에 행당되지만 탁주만큼 흐리지는 않다. 즉 우리의 막걸리처럼 발효주로서 그다지 독하지는 않다. 소흥주가 대표적인 황주, 노주는 美酒라고도 하는데, 술에다 각종의 식물이나 약재를 넣고 함께 증류시켜 독특한 맛과 향기를 내게 한 술, 죽엽청주와 오가피주가 대표적이다.
흔히들 중국술 중에서 8대 명주를 꼽는데, 워낙 종류가 많아 사람마다 다소 차이는 있으나 보통 마오타이, 소흥주, 분주, 화조주, 죽엽청주, 대국주, 靑島맥주, 오가피주 등을 들 수 있다. 이중에서도 가장 유명한 중국술은 마오타이, 茅香이라는 독특한 향기로 유명한데 주산지는 귀주성 仁懷鄕의 茅臺鎭으로, 1953년 제1차 전국주류품평회에서 1위를 한 마오타이는 中·日수교시 다나카 일본수상이, 그리고 美·日수교시 닉슨과 모택동이 마셨다고하여 더욱 유명해졌다. 소홍주는 절강성 소홍에서 빚은 술로 역사가 가장 오래됐다. 중국인들은 老酒라고도 한다. 적황색의 옅은 색깔을 띠고 있는데 15-20도로 우리의 청주와 비슷하다. 주원료는 찹쌀과 짠호수물이며 데워서 마신다. 화조주는 소홍주의 일종으로, 소홍주를 10년 정도 숙성시켜 만든 것이다. 독특한 향기와 함께 술독에 꽃무늬가 배어난다고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분주는 산서성 汾陽현에서 나는 명주로 무색투명한게 특징이다. 원료는 고량이며 주정은 60도지만 그다지 자극적이지 않고 특히 향기가 일품이다. 죽엽청은 국내에서도 인기있는 술로 역시 소홍주의 일종. 소홍주에다 연한 대나무잎을 넣고 빚은 술로 독특한 향기가 난다. 현재 중국대륙이나 대만에서도 널리 팔리고 있는데, 분주의 명산지이기도한 산서성 행화촌의 죽엽청이 가장 유명하다. 대국주는 백주의 일종으로 60도다. 대국은 밀이나 보리 완두 등을 이용해 만든 누룩을 말한다. 대국주중에는 四川省 成都의 全興대국주가 유명하다. 청도맥주는 우리나라 서해안에서 가까운 청도에서 생산되는 술, 19세기 무렵 청도가 독일의 조차지였던 까닭에 맥주산업이 발달했다. 수질이 좋은 이곳에 1903년 중국최초의 맥주공장이 세워졌기 때문이다. 오가피주는 五加樹라는 나무의 뿌리와 껍질이 주원료다. 이 술은 독특한 한약맛이 나는 게 특징이다 광동성 廣州의 오가피주가 가장 유명하다.
<요리에 반영된 중국인의 실리성>
실용성을 존중하는 중국인의 사고가 식생활에 잘 반영되어 있는 예는 구정전야의 풍속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즉 구정 전야에는 반드시 온 가족이 한자리에 모여 통째로 조리한 생선요리와 물만두를 저녁식사로 먹는다. 중국인에게 있어서 생선과 물만두는 모두 재물을 상징하고 있기 대문이다. 특히 생선은 반드시 자정이 지나 새해가 되고 나서야 먹는 풍속이 있는데 이는 '생선을 남긴다(有魚)'는 중국어 발음이 '남음이 있다(有餘)'와 동일한 데에서 비롯된 것이다. 물만두 역시 그 모양이 청대에 사용했던 은화와 유사하기 때문에 재물을 상징하는 음식으로 차리는 것이다. 결국 생선 또는 물만두는 재물의 상징이고, 이를 남긴다는 것은 재물을 남겨 새해로 이월한다는 뜻이다. 이는 모두 '發財(돈 버는 것)'를 중시하고 있는 중국인의 실리위주의 사고를 잘 반영해주는 것으로써, 여기에서도 중국문화의 한 단면을 엿볼 수 있다. 재물을 중시하는 중국인의 실리위주의 사고는 음식의 색깔에도 반영되어 있다. 중국인은 붉은색을 매우 선호하는데 우리 나라와는 달리 그들에게 있어서 붉은색은 財富와 吉兆의 상징이다. 따라서 요리에서도 붉은색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이 때문에 처음 보는 사람들에게는 간혹 혐오감을 불러 일으키기도 한다. 북경요리에서 유명한 오리구이나 광동요리의 훈제오리구이가 그 대표적인 예이고, 심지어는 만터우(饅頭)에 붉은색을 사용하기도 한다.
실리위주의 사고는 또한 검약정신과 편리주의와도 결부되어 음식문화에 반영되고 있다. 중국인은 식사를 할 때 반드시 개인접시를 사용하여 먹을 만큼씩만 덜어 먹을 뿐만 아니라 식탁 역시 여러 사람들이 덜어먹기 쉽도록 회전식으로 되어 있는 것이 특색이다. 이러한 검약과 실용정신은 특히 외식할 때 음식점이나 심지어 호텔에서 조차도 주문한 음식이 남았을 경우에 반드시 포장하여 가지고 오는 것에서도 잘 알 수 있다. 이는 체면을 중시하는 중국인의 또 다른 일면이라고 할 수 있는데, 실리추구의 정신이 검약정신으로 이어져 나타나는 단면이라 하겠다.
실리위주의 사고에 입각한 검약정신과 편리주의는 결혼식 피로연에서도 쉽게 엿볼 수 있다. 특히 대만의 경우 결혼식 피로연에서는 하객들에 대한 답례로써, 음식을 대접하는 것(일반적으로 식당에서 한다)과 함께 신랑 신부가 각 식탁을 돌면서 건배를 통해 인사를 대신하고 있다. 여기서 특히 주목되는 것은 피로연이 파하고 하객이 돌아갈 때 신랑 신부가 하는 답례품에 있다. 이들은 지위의 고하, 빈부의 차이를 막론하고 남성에게는 신랑이 담배, 여성에게는 신부가 사탕이나 케이크를 직접 선물하고 있다. 이러한 풍습은 비록 고대로부터 내려온 전통은 아니지만 시대에 따라 이를 실리적이고도 편리하게, 그리고 절약하는 방향으로 적용하고 있는 단적인 실례라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중국요리는 모든 다른 민족과 나라와 마찬가지로 중국인의 고유한 문화를 반영하는 것으로, 그 특징은 현살적인 실리위주, 합리성, 편리주의, 검약정신, 실속을 그 내용으로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중국요리는 이상의 여러 특징으로 인해 세계 각국에서 뛰어난 적응력을 발휘하여 그 지역 나름대로의 중국요리를 재창출하고 있다. 이 때문에 중국요리는 단순히 중국인의 식성에만 맞는 요리가 아니라 각 민족과 나라 사람들의 식성에 맞게 적응, 개조함으로써 세계적인 요리로 자리잡고 있는 것이다.
이상으로 중국의 역사 유적인 자금성, 만리장성을 살펴보았고 중국의 음식문화를 살펴보았다. 자금성이나 만리장성의 건립이 의미하는바와 중국의 음식에 나타난 중국인의 사고방식은 중국인을 이해하는데 나아가서 중국의 문화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간단하면서도 명확한 방법이 아닐까하며 자료조사를 마치고자 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4.10.04
  • 저작시기200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94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