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비문학론-민담의 개념과 구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민담의 개념과 구조
2. 민담의 예와 작품분석
<콩쥐팥쥐>
<호랑이와 곶감>
3. 정리하며...
《참고문헌》

본문내용

르지만 아마도 Marchen이라고 부르는 게 더 합당한 것으로 본다. Marchen은 그림(Grimm) 형제의 <어린이와 가정의 동화(Kinder und Haus Marchen)>에서 온 말이다. 이곳의 동화라는 단어는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이야기라는 뜻, 또 초자연적인 어떤 힘과 동물, 곤충 등에 의해 도움을 받고 있는 이야기라고 언급하고 있다.
대개 이야기는 선. 악이라는 대립과 반복의 이원론을 이루며 진행되어 간다. 이를테면 양반 대 평민이라든가 선인 대 악인이라든가 선인 대 괴물, 전처의 딸 대 계모간의 갈등이 이야기 줄거리로 전개된다. 사건전개에 있어서 주인공은 대개 세 가지의 시험을 통과한다든가 세 가지 수수께끼를 풀어야만 한다든가 '삼 세 번'이 반복된다. 때로는 한 주인공의 고난과 행운이 계기적으로 반복되기도 한다.
민담의 대립은 선의 승리로 끝나고 선인이 부를 누리고 행복을 차지하도록 되어 있으니 결국 민담이 지향하는 의지는 선의 승리에 있다 하겠다. 선은 악의 대립적 관념일 뿐 아니라 진리, 진실, 정의를 대별한다. 선과 악의 대립이 아니라 '세상에서 격리된(abseits und welt)'것이란 뜻으로 사용되었다.
대개 서두부에서 '옛날 옛적에'로 시작해서 결말부에 '그렇게 하여 그들(주인공)은 오래도록 행복하게 잘 살았다더라'고 하는 공식성을 지니기도 한다. 스티스 톰슨(Stith Tompson)은 민담을 folktale로 번역하고 영웅들의 초자연적 적들과의 투쟁을 묘사하고 있다고 논급하고 있는데 민담은 인류의 역사와 더불어 존속되어 온 제반 역사의 모습이기도 했다. 선의 승리는 결국 민중의 꿈의 실현이었고 위안이기도 했다.
민담의 유형화된 서두인 '옛날, 옛날하고도 아주 오랜 옛날, 호랑이 담배 먹던 시절에...'는 아예 구연자가 이 이야기는 꾸며낸 거짓말이라고 처음부터 선언하는 수사나 기법인 것이다. 대개 결말부분에 가서는 '아들낳고 오래오래 잘 살았더래요'라고 끝난다. 또 우스개말로 '어저께 장터에 갔다가 그분을 만났다구요'라고 끝맺고 웃어버림으로써 이상의 목적이 성취되었음을 암시하기도 한다.
《참고문헌》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구전문학, 대산출판사, 2000.
이부영, 한국민담의 심층분석, 집문당, 1995
www.home.hanmir.com/~ourboros
1. 민담의 개념과 구조
2. 민담의 예와 작품분석
<콩쥐팥쥐>
<호랑이와 곶감>
3. 정리하며...
《참고문헌》

키워드

  • 가격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10.06
  • 저작시기200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96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