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을 찾아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말을 찾아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1. 작가 약력
2. 작품 소개

본론
1. 작품의 줄거리
2. 작품의 서사구조
3. 작품의 이해
4. 그레이마스 분석

결론

참고 -메밀꽃 필 무렵과 연관지어서..

본문내용

있다는 점과 수호와 아부제와의 대화를 통해 동질감을 회복한다는 것에서 그것과는 다른 묘미와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또 그냥 읽을 때와는 달리 「말을 찾아서」란 작품을 서사구조를 통해 재구성해 보고 그레이마스 분석을 해보니 그 주제와 의미가 더 확실히 전달이 되었다. ‘말을 찾아서’란 주제가 언뜻 어렵게 느껴졌던 것은 사실이다. 그것이 말(馬)과 함께, 무의식 안에 숨어 있어 의미 있게 드러나기를 꺼리는 말(言語)를 찾아가는 이야기라는 것을 알고, 이 말의 중의성을 너무 잘 드러낸 작품이라는 점에서 감탄을 했다. 이런 점을 볼 때 서사의 진정한 핵심은 내포적 의미인 것 같다. 실로 자신의 마음속 깊이 숨겨져 있는 부끄러운 일을 대면하는 것은 정말 쉽지 않은 일인 것 같다. 이 글을 읽는 독자도 그렇고 나에게도 그럴 것이다. 그러나 이 글 마지막 부분에 나타나 있듯 언젠가는 자유로워 질 것이다. 언젠가는 말(言語)을 통해 삶의 진정성을 찾아갈 수 있을 것이다.
【참고】
▶ 메밀꽃 필 무렵과 연관지어서...
「말을 찾아서」가 이효석의 「메밀꽃 필 무렵」을 연상시킨다.
‘말을 찾아서’에서 수호는 아부제와 함께 <메밀꽃 필 무렵>의 허생원이 조선달과 동이와 걸었던 봉평에서 대화로 가는 그 길을 되짚어 집으로 돌아온다. '말을 찾아'와 <메밀 꽃 필 무렵>의 절정은 귀가하는 도중에 걷게되는 그 80리 길에서 드러난다. <메밀 꽃 필 무렵>이 시적 정서에 의한 감성 표출이었다면 '말을 찾아서'의 그것은 수호와 아부제와의 대화를 통해 동질감을 회복한다는 것이다.
패러디는 원형을 모방한다는 점에서 원형의 감정을 모조리 복제하는 능력을 갖고 있다. 이 소설은 아버지와 아들의 끈적거리는 혈연의 감정을 바닥으로 깔고 있는 한 <메밀 꽃 필 무렵>의 정서가 철저하게 복제되어 있다고 말할 수가 있다. 작가는 이효석의 ‘메밀꽃 필 무렵’을 패러디하면서 봉평에서 이목정을 거쳐 대관령에 이르는 산길을 노새와 함께 걸으며 아버지와 아들이 이야기하는 장면으로 압권을 만들었다. 작가는 <메밀꽃 필 무렵>이라고 하는 작품을 해석하는 사람으로 개입되어 있진 않지만 ‘소설 속의 작가’를 통해 <메밀꽃 필 무렵>의 ‘봉평’을 분위기 있게 재연함으로써 상호텍스트성을 확대하고 있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그 소설의 독자이면서 동시에 자신이 써낸 이야기의 주체자가 되어버리는, 그러면서 봉평과 노새의 의미를 원전으로부터 새롭게 부활시키고 있는 것이다.
  • 가격1,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10.19
  • 저작시기200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09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