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균형발전을 위한 서울의 흡인요인, 배출요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론 : 도시화의 실태와 원인

II. 본 론
1. 배출요인 (push factor)
2. 흡입요인 (pull factor)
3.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배출요인(push factor), 흡입요인(pull factor)

III. 결 론

* 참고문헌 *

본문내용

우선순위가 주어졌기 때문이다. 1986년 아시안 게임, 1988년의 올림픽 게임, 그리고 이외의 크고 작은 국제행사가 여전히 서울에서 개최되고, 행사준비 차원에서 사회간접자본의 투자가 서울에 집중되는 상황에서 서울의 집중도와 인구흡입력은 결코 감소하지 않았다. 또한 서울의 주택난을 해결한다는 차원에서 추진된 최근의 주택 200만호 건설과 맞물린 분당, 일산, 평촌, 중동, 산본의 대규모 아파트 단지의 건설 등 수도권 거주환경 개선은 수도권으로의 인구흡입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지금껏 정부는 지방도시의 육성과 편의시설의 확장을 통해 사람들이 지방으로 이주하도록 자발적 동기와 유인을 제공하지 않은 채 서울로의 이주만을 억제하는 식으로 정책을 펼쳐 왔기 때문에 실효를 얻지 못한 것으로 생각된다. 최근에 정부는 정보화 시대에서 서울이 국제도시로서의 위상과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첨단 전자, 정보산업분야의 육성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서울지역에 이 분야 공장 신설을 허가하였다. 그 대신 공해산업이라고 불릴 수 있는 제조업 공장들은 계속해서 지방으로 이주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발상은 지극히 지역 이기주의적이며, 이러한 비일관적이고 근시안적인 정책이 인구분산정책을 실패할 수밖에 없게 만든 근본 원인중의 하나라는 생각이 든다.
지역균형발전과 지방분권의 목표아래서 추진 중인 신행정수도건설을 포함한 앞으로의 정책들은 겉보기적 배출요인과 흡입요인이 아니라, 공평한 국가를 위한 진정한 정책이 되었으면 한다.
* 참고문헌 *
김용웅, 2003, "시론: 지방분권형 국가전략," 대한매일 2003.01.11자.
권태환·김두섭. 1991. "인구의 이해".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이정식, 2001. "국토균형발전과 지방분권," 지방분권 정책대안 학술심포지엄 자료, 대구사회연구소.
최진호. 1997. "인구이동 패턴의 변화: 1960∼1990." 인구변화와 삶의 질. 서울: 일신사, pp. 63-89.
최진호·고성호. 1996. "대도시지배와 한국의 도시체계." 한국사회학 제30집: 703-730.
통계청. 1991. 『장래인구추계(1990-2021)』. 서울: 통계청.
______. 1998. 『1998 한국의 사회지표』서울: 통계청.
http://naver.com/news
네이버 뉴스
http://seoul600.visitseoul.net/seoul-history/sidaesa/txt/6-10-1-2-1.html
서울육백년사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10.25
  • 저작시기200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12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