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차 교육과정 체육의 편재및 문제점 분석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7차 교육과정 체육의 편재및 문제점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들어가는 글 -------------- 1

이 론 편 --------------- 3~5
(간략 소개, 세부 사항, 지도시 유의점, 문제점)

실 기 편 --------------- 6~19
(간략 소개, 세부 사항, 지도시 유의점, 문제점)

보 건 편 ---------------20~22
(간략 소개, 세부 사항, 지도시 유의점, 문제점)

맺는 글 ---------------- 23

(보고서를 마치고.)
(참고문헌)

본문내용

분야에 대한 지나친 편중은 다른 분야의 실용성을 의심케 하며 편중된 활동으로 전락시킬 가능성이 있다. 體育은 앞에서도 언급했다시피 전인적 성장을 목표로 한다. 학교 교육중 전인적 성장을 위한 중심에 서있는 것이 體育교과이며 體育교과가 하는 일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體育교과의 막중한 임무에 비추어볼 때 실기에 대한 편중은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 體育교육과정을 살펴보면서 찾아낸 가장 커다란 문제점은 이론, 실기, 보건으로 나뉘어진 교육과정 자체에 있다고 생각한다. 이렇게 3가지 분야를 나눔으로써 얻게 되는 이득은 가르치기가 편하고 내용전달이 비교적 쉽다는 것 밖에는 없는 것 같다. 그러나 體育은 전인적 성장을 목표로 하는 교과이다. 전인적 성장은 하루아침에 이루어지는 것도 아니며, 지식을 주입 시키고 행동만의 변화만을 일으키는 것이 전부가 아니다. 이론과 실기, 보건이 하나로 통합되어 진행속도는 느리더라도 인간의 전인적 성장을 추구해야 한다. 이론, 실기, 보건 이렇게 떨어져있는 교육과정 속에서는 이루어질 수 없다. 실기에 이론이 녹아들어가고 이론에 보건이 녹아들어가는 형태의 통합적인 실기 수업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수업에 대한 硏究가 일선 교사들에 의해 시도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몇십년 동안 내려오던 편의적인 분류방법을 빠른 시일내에 통합하기란 쉽지 않을 것이며 상당한 노력이 필요한 작업이 될 것이다. 그러나 학교교육에서 주변교과로 전락하고 있는 體育교과를 학교교육의 정상에 우뚝서게 할 그날을 기다리며 끊임없이 硏究되고 개선되어야한다.
이를 위해서는 교사의 노력이 절실히 필요하다. 교사는 교과서에 실린 내용을 먼저 이해해내고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지를 파악한 후, 그것을 중심으로 그것보다 쉬운 활동과 어려운 활동을 구안해낸다. 이 과정에는, 교사에게 명시적으로 의식되지는 않지만, 體育교육과정에 기술된 목표와 내용에 관한 교사 자신의 개인적 해석이 가해진다. 역시 마찬가지로, 이념적 수준에 대한 자신의 개인적 철학이나 사고가 반영된다. 이 때 體育교사가 머리 속에서 진행시키는 지적 과정은 단순한 전달, 즉 교과서에 있는 것을 그대로 머리 속에 떠올림으로써 눈으로 교과서를 보지 않고도 외워서 바로 실행에 옮기는 과정이 아니다. 이 과정은 교과서에 가사상태로 냉동되어 보존되어 있는 교육내용을 적극적이고 창의적인 방식으로, 자신의 교육철학을 바탕으로 본인이 가지고 있는 모든 전문지식과 교양지식을 동원하여 새롭게 구성하고 재구성해내는 역동적인 과정이다. 실천을 위해서 體育교사는 體育교육과정을 수동적으로 받아들이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풀어내야 한다.
이 후에 體育교육과정의 실천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해석의 과정이 이루어졌을 때만이 교육과정의 실행이 토씨하나 틀리지 않고 대본을 그대로 몸동작으로 옮겨놓는 단순한 전달에 그치지 않고 교육내용의 ‘창의적 지도’로 의미 있게 되는 것이다. 體育교육과정의 실행이 창의적 지도과정이 되기 위해서는 교육내용에 대한 풀이에 더하여, 가르치는 학급학생의 身體 발달적 특성, 이용 가능한 시설용구의 종류와 수량, 남녀학생의 비율, 학생의 운동능력 수준과 장애학생의 특성 등에 대한 파악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사항들에 대한 파악이 이루어진 후, 실질적으로 시범을 정확히 보이고 설명을 분명히 할 수 있는 능력, 학생들의 통제와 관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능력, 학생 개개인의 연습에 대한 날카로운 관찰을 통하여 올바른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능력 등등이 덧붙여져 體育교육과정의 현장실행이 펼쳐지게 된다. 그러므로 이 과정도 단순하고 기계적이고 타성적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이 아니라, 복잡하고 유기적이고 반성적으로 진행되는 과정임을 알 수 있다.
體育교육과정의 해석과 실행을 이렇듯 구성적이고 반성적으로 간주하게 되면, 자연히 마지막 ‘개선’ 과정이 절실히 요청되게 된다. 단순한 암기로서의 해석과 기계적 전달로서의 실천을 통해서는 보다 나은 상태를 만들어야 한다는 개선의 요망이 기대되지 않는다. 개선은 실천적 수준에 대한 참되고 적극적인 관여가 이루어졌을 때에만 요구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의 개선 요청은 그 성격상 외부로부터 부과되는 것이 아니라 體育교사 자신으로부터 자연스럽게 솟아오르게 된다. 體育교사가 행하는 교육내용에 대한 구성적 해석과 교육방법에 대한 반성적 실천은 자신의 이해능력과 자신의 실천능력의 결과에 대하여 평가해볼 것을 강하게 요청한다. 이 평가는 실천적 수준에서의 體育교육과정의 개선을 위한 것이다. 體育교사 자신의 體育수업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體育교사는 해석과 실천의 과정에서와 동일하게, 자신의 힘으로 개선을 주관해야 한다. 개선을 주관하되 비판적으로 해야 하며, 평가를 실시하되 경험적 자료를 수집해서 해야 한다. 내가 하는 일을 고치기 위해서는, 내가 무엇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를 가시적으로 정확히 알아야 하는 것이 우선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교사는 수업을 ‘硏究’해야 하는 것이다. 개선의 과정은 硏究로 시작되기 때문이다.
보고서를 마치고.
이번 보고서를 통해 體育교육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훑어보게 되었다. 그러한 과정에서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찾아봄으로써 훗날 교단에 섯을 때 어떠한 철학을 가지고 어떠한 방식으로 학생을 가르쳐야 하는지 조금이나마 느끼게 되었으며 體育교과를 주변교과로 인식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떳떳하게 體育교과를 자랑할 수 있는 일에 일조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참고문헌
중학교 體育 교육과정 해설서(교육부)
體育과 교육과정(교육부)
최의창(2004) 體育교육탐구
강창구(2001) 體育수업의 개선 방안에 관한 고찰 : 제 7차 體育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998년 제5권, 제1호 page 69-81
http://www.greenvi.or.kr/main1/info/classrm/class5-19.htm
http://www.kotri.re.kr/journal/36/article7.htm
http://www.elitesports.co.kr/el_infoH/sub_h06_SW05.asp
http://classroom.kice.re.kr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04.11.02
  • 저작시기200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19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