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실험
4. 결과 및 고찰
5. 결론
2. 이론적 배경
3. 실험
4. 결과 및 고찰
5. 결론
본문내용
pH변화>
처음의 EDTA 용액의 pH는 2.32였다. EDTA 용액의 농도를 0.01M로 낮추었기 때문에 0.1M의 KOH를 첨가했을 때 10배의 적정효과를 가지게 된다. KOH가 1㎖씩 증가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중성에 가까워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론적으로는 KOH가 25㎖가 들어가야 적정이 되는것인데 8㎖정도로 측정된 것은 EDTA용액을 0.01M로 낮추는 과정에서 용질이 다 녹지 못하고 상당수 남았기 때문에 정확히 0.01M용액이라 말할 수는 없다. 그리하여 이런 오차가 발생한 것이다. 이 측정 결과대로 농도를 측정하면 대략 0.004M정도가 나올 것이다.
결론
figure2를 보면 중성이 되는 점이 KOH 7.5㎖정도를 넣었을 때 중성이 됨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1. Empas 백과사전(http://100.empas.com/entry.html/?i=125818&Ad=photorental)
2. Empas 백과사전(http://100.empas.com/entry.html/?i=96714&Ad=Encyber)
3.유만형, 송희열, 유인상 : 화학공학실험, 삼광출판사, p99∼p103, (1995)
처음의 EDTA 용액의 pH는 2.32였다. EDTA 용액의 농도를 0.01M로 낮추었기 때문에 0.1M의 KOH를 첨가했을 때 10배의 적정효과를 가지게 된다. KOH가 1㎖씩 증가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중성에 가까워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론적으로는 KOH가 25㎖가 들어가야 적정이 되는것인데 8㎖정도로 측정된 것은 EDTA용액을 0.01M로 낮추는 과정에서 용질이 다 녹지 못하고 상당수 남았기 때문에 정확히 0.01M용액이라 말할 수는 없다. 그리하여 이런 오차가 발생한 것이다. 이 측정 결과대로 농도를 측정하면 대략 0.004M정도가 나올 것이다.
결론
figure2를 보면 중성이 되는 점이 KOH 7.5㎖정도를 넣었을 때 중성이 됨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1. Empas 백과사전(http://100.empas.com/entry.html/?i=125818&Ad=photorental)
2. Empas 백과사전(http://100.empas.com/entry.html/?i=96714&Ad=Encyber)
3.유만형, 송희열, 유인상 : 화학공학실험, 삼광출판사, p99∼p103, (1995)
키워드
추천자료
[대기실험] 분석화학 기초실험 (산염기 적정법)
pH 측정 Conductivity 측정
PH 측정 실험
완충액의 제조와 산도측정
pH 측정 실험
실험보고서(황산화물-중화) - 황산화물(SOx) 측정 중화 적정법
[일반화학 및 실험] 여러 가지 물질의 pH 측정과 자연 지시약의 제조 -주변 물질을 pH 시험지...
[환경공학 실험] pH meter(pH 미터, pH계) 측정 실험
1. Chemical Unit & Concentration Titration(적정실험)
PH미터에 의한 수소 이온 농도의 측정 [결과]
[식품분석실험보고서] HCI 제조 및 표정 (원리, 목적, 실험과정, 결과, 고찰과의견)
황산암모늄 - 암모니아 정량 실험 : 황산암모늄과 수용액에 수산화나트륨 표준액을 가해서 암...
[고분자 공학 실험] 산 염기 적정 실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