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의 전쟁사 다시보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서론
1. 백제사 연구에 있어서 ‘삼국사기’인정의 의미
2. 기존 사료들의 한계성
3. 백제사 연구 경향

Ⅱ본론
1. 백제 대외전쟁의 성격
1) 기존 백제사에 대한 편견
2) 백제사에 있어서 전쟁의 중요성
3) 전쟁 기사를 통해 기존에 인식했던 백제사 있어서 제기할 수 있는 두 가지 의문점
2. 전쟁을 위한 명분
1) 백제가 벌인 대고구려 전쟁원인에 대한 기존의 시각
2) 대고구려 전쟁 원인에 대한 새로운 접근
(1) 부여 계승의식의 발현
a. 대외적 명분
b. 대내적 명분
(2) 소금 산지 확보와 그 통로
a. 대외적 명분
b. 대내적 명분

Ⅲ. 결론
1. 백제에 대한 새로운 이해의 필요성
2. 백제 민중에게 전쟁의 의미
3. 전쟁을 통해본 백제사회의 모습

본문내용

려의 남쪽 변경을 쳤다.
아신왕 4년 (395)
가을 8월에 왕은 좌장 진무에게 명하여 고구려를 쳤는데
개로왕 15년 (469)
가을 8월에 장수를 보내어 고구려의 남쪽 변방을 침략했다.
무령왕
겨울 11월에 달솔 우영을 보내어 군사 5000명을 거느려 고구려의 수곡성을 습격했다.
무령왕 2년 (502)
봄에 백성들이 굶주렸고, 또한 역질이 번졌다. 겨울 11월에 군사를 보내어 고구려의 변경을 침범했다.
성왕 28년 (550)
봄 정월에 왕은 장군 달기를 보내어 군사 1만 병을 거느리고 나가, 고구려의 도살성을 쳐서 빼앗았다.
위의 표 이재호 “삼국사기2” -백제본기- pp279-424
는 삼국사기 본기의 내용을 바탕으로 고구려를 먼저 쳐들어간 기록들을 발췌한 것이다. 모두 12번의 기록이 있는데 이는 백제가 대고구려와의 전쟁의 총 횟수가 36번이라는 것을 감안하면 결코 적은 숫자가 아님을 알 수 있다. 특히, 백제본기에서 고구려와의 맨 처음 전쟁은 바로 고이왕 13년에 백제가 먼저 고구려를 침공한 사건이라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겠다. 여기서 우리는 백제가 고구려의 침략을 방어하기만 했던 수동적인 약소국이 아니라 고구려를 침략하기도 했던 군사적으로 막강한 나라였음을 살펴 볼 수 있다. 즉, 세 번째 원인은 원인으로 볼 수 없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그리고 감히 백제의 전성기였던 4세기를 백제의 북진정책 시기라 정의 내려보고자 한다.
그렇다면 우리는 대고구려와의 전쟁에 대한 일반적인 원인으로 앞의 2가지로만 압축시켜 볼 수 있겠다.
2) 대고구려 전쟁 원인에 대한 새로운 접근
(1) 부여 계승의식의 발현
a. 대외적 명분
b. 대내적 명분
(2) 소금 산지 확보와 그 통로
a. 대외적 명분
b. 대내적 명분
Ⅲ. 결론
1. 백제에 대한 새로운 이해의 필요성
2. 백제 민중에게 전쟁의 의미
3. 전쟁을 통해본 백제사회의 모습
토론
백제의 발전
1) 한강 유역에 유이민인 온조가 건국(B.C. 18)
2) 고이왕(234-286)-중앙 집권 국가의 체제 마련
3) 근초고왕(346-375)
(1) 마한 정복(369), 고구려 공격(371)
(2) 요서산동일본에 세력권 형성
4) 침류왕(384-385)-불교 수용(384)
5) 개로왕-고구려의 침입으로 한성 함락전사→한강 유역 상실
6) 문주왕-웅진성 천도(475), 나제 동맹→고구려에 대항
7) 무녕왕(501-523)-전제 왕권 수립, 중국 남조와 교섭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11.12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31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