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2.본론
-정의
-원인
-위험인자
-증상
-골밀도 측정
-치료
3.결론
2.본론
-정의
-원인
-위험인자
-증상
-골밀도 측정
-치료
3.결론
본문내용
피부와 간, 신장에서 활성 비타민 D가 만들어지는 것이 감소하게 되므로 보충해 주는 것이 도움이 되기도 한다. 권장량은 400∼800 IU 이다.
4. 알렌드로네이트
이 약제는 뼈의 미네랄 성분과 결합하게 되는데, 골밀도도 높이고 뼈의 분해 작용에 더 잘 견디게 하는 작용을 나타낸다. 대개 골다공증이 이미 있는 환자에서 사용되는데 매일 복용하여 3년 정도 사용했을 때 척추뼈의 골절 발생이 90% 감소하였고 비척추뼈의 골절 발생이 30%정도 감소하였다고 보고되고 있다.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은 식도 손상이다.
이 부작용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복용법에 주의하여야 한다.
1. 아침에 일어나 공복에 복용한다.
2. 물을 머그컵으로 가득 함께 복용한다.
3. 일단 복용하면 30분간 눕지 않는다. 앉거나 서 있는다.
4. 복용후 30분이 지나서 아침 식사를 한다.
5. 만약 약을 복용하기 전에 다른 음식을 먹었다면 그날은 복용하지 않고
다음날 원칙대로 복용한다.
5. 기타 약제들
칼시토닌 - 코에 뿌리는 제제이다. 특히 골다공증으로 통증이 심한 경우 증상 완화에 도움 이 된다. 그러나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플루오라이드
띠아자이드계 이뇨제
성장 호르몬
그러나 이런 기타의 약제들은 잘 사용하지 않는 추세이다.
6. 생활 습관의 변화
호르몬 치료를 병행하면 치료 효과가 더 커진다.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는 것은 골다공증 예방에 효과가 크다. 특히 체중 부하 운동이 좋은데, 걷기, 계단 오르기, 죠깅, 자전거 타기 등은 유산소 운동도 되면서 체중부하 운동도 되므로 적극 추천하는 종목들이다. 일주일에 3일 이상해야 효과가 있다.
흡연과 음주는 골다공증을 일으키는 큰 적이다. 특히 흡연을 하는 경우 엉치뼈의 골절 발생률이 거의 50%나 증가하였다고 한다. 게다가 호르몬 치료의 효과가 감소하기 때문에 금연과 금주를 해야 한다.
카페인 섭취는 골다공증을 일으키므로 섭취를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신 우유 섭취를 더 많이 하도록 하자.
Ⅲ. 결 론
골다공증의 예방
골다공증의 원인은 유전적 요인을 비롯하여 영양 섭취 특히 칼슘 섭취의 부족, 운동부족 등이 깊은 관련이 있으며 이밖에도 호르몬 이상, 위장관의 질환, 스테로이드 등의 약물복용, 술, 흡연 등이 중요한 요인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골다공증의 증상은 초기에는 특별한 증상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점차로 등이나 허리에 둔한 동통 및 피로감이 있을 수 있고, 뼈가 더욱 약해지면 골절이 생길 수 있습니다.
골다공증의 진단은 우선 환자가 느끼는 자세한 병력 증상, 특히 나이가 45세 이상 된 여성으로 키가 2∼3cm이상 감소하거나 작년에 입었던 옷이 이상하게 느껴지는 경우 의심해 볼 수 있으며, 엑스레이 촬영을 시행하기도 합니다. 그 결과 뼈가 비정상적으로 약하다고 판단되면 치료에 들어가기에 앞서 골밀도 검사를 합니다. 골밀도 측정은 통증이 전혀 없고 안전한 방사선 검사인데 환자의 골밀도를 객관적인 수치로 나타내므로 골다공증의 정도와 치료 효과를 판단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이밖에도 질병의 원인 규명을 위해 필요한 경우 혈액검사를 비롯한 여러 가지 검사가 시행되기도 합니다.
골다공증을 완전히 고칠 수 있는 획기적인 치료법은 아직 없습니다. 그러므로 예방이 매우 강조되는 질환입니다. 골다공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첫째, 하루 1,000mg∼1,500mg의 칼슘과 비타민 D(간, 간 유구, 생선, 계란, 일광욕 등)의 섭취가 매우 중요합니다. 둘째, 규칙적인 운동이 꼭 필요합니다. 처음에는 체중 부담이 적은 수영, 자전거 타기 등으로 시작하다가 익숙해지면 체중이 부과되는 걷기, 조깅, 계단 오르기, 에어로빅 등으로 옮겨가면서 강도를 높이는 것이 좋습니다. 과도하거나 갑작스런 운동은 관절 등에 오히려 해가 될 수 있습니다. 셋째, 좋지 않은 생활 습관을 고치는 것이 필요합니다. 술, 담배, 카페인이 함유된 음식은 골다공증을 촉진시키므로 알코올 섭취를 금하고, 금연해야 하며 카페인이 많이 함유된 커피, 콜라, 홍차 등을 많이 먹지 말아야 합니다.
한편, 약화된 뼈를 다시 회복시켜 주는 특수한 치료법은 아직 없습니다. 그러므로 골다공증에 대한 치료는 더 이상 뼈가 약해지는 것을 막는데 주로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규칙적인 운동과 충분한 영양 섭취 등 기본적인 치료 외에 전문적인 치료제로는 골대사 호르몬인 칼시토닌제제, 그리고 폐경과 관련된 여성의 골다공증에서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젠을 투여하는 법 등이 있습니다.
4. 알렌드로네이트
이 약제는 뼈의 미네랄 성분과 결합하게 되는데, 골밀도도 높이고 뼈의 분해 작용에 더 잘 견디게 하는 작용을 나타낸다. 대개 골다공증이 이미 있는 환자에서 사용되는데 매일 복용하여 3년 정도 사용했을 때 척추뼈의 골절 발생이 90% 감소하였고 비척추뼈의 골절 발생이 30%정도 감소하였다고 보고되고 있다.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은 식도 손상이다.
이 부작용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복용법에 주의하여야 한다.
1. 아침에 일어나 공복에 복용한다.
2. 물을 머그컵으로 가득 함께 복용한다.
3. 일단 복용하면 30분간 눕지 않는다. 앉거나 서 있는다.
4. 복용후 30분이 지나서 아침 식사를 한다.
5. 만약 약을 복용하기 전에 다른 음식을 먹었다면 그날은 복용하지 않고
다음날 원칙대로 복용한다.
5. 기타 약제들
칼시토닌 - 코에 뿌리는 제제이다. 특히 골다공증으로 통증이 심한 경우 증상 완화에 도움 이 된다. 그러나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플루오라이드
띠아자이드계 이뇨제
성장 호르몬
그러나 이런 기타의 약제들은 잘 사용하지 않는 추세이다.
6. 생활 습관의 변화
호르몬 치료를 병행하면 치료 효과가 더 커진다.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는 것은 골다공증 예방에 효과가 크다. 특히 체중 부하 운동이 좋은데, 걷기, 계단 오르기, 죠깅, 자전거 타기 등은 유산소 운동도 되면서 체중부하 운동도 되므로 적극 추천하는 종목들이다. 일주일에 3일 이상해야 효과가 있다.
흡연과 음주는 골다공증을 일으키는 큰 적이다. 특히 흡연을 하는 경우 엉치뼈의 골절 발생률이 거의 50%나 증가하였다고 한다. 게다가 호르몬 치료의 효과가 감소하기 때문에 금연과 금주를 해야 한다.
카페인 섭취는 골다공증을 일으키므로 섭취를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신 우유 섭취를 더 많이 하도록 하자.
Ⅲ. 결 론
골다공증의 예방
골다공증의 원인은 유전적 요인을 비롯하여 영양 섭취 특히 칼슘 섭취의 부족, 운동부족 등이 깊은 관련이 있으며 이밖에도 호르몬 이상, 위장관의 질환, 스테로이드 등의 약물복용, 술, 흡연 등이 중요한 요인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골다공증의 증상은 초기에는 특별한 증상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점차로 등이나 허리에 둔한 동통 및 피로감이 있을 수 있고, 뼈가 더욱 약해지면 골절이 생길 수 있습니다.
골다공증의 진단은 우선 환자가 느끼는 자세한 병력 증상, 특히 나이가 45세 이상 된 여성으로 키가 2∼3cm이상 감소하거나 작년에 입었던 옷이 이상하게 느껴지는 경우 의심해 볼 수 있으며, 엑스레이 촬영을 시행하기도 합니다. 그 결과 뼈가 비정상적으로 약하다고 판단되면 치료에 들어가기에 앞서 골밀도 검사를 합니다. 골밀도 측정은 통증이 전혀 없고 안전한 방사선 검사인데 환자의 골밀도를 객관적인 수치로 나타내므로 골다공증의 정도와 치료 효과를 판단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이밖에도 질병의 원인 규명을 위해 필요한 경우 혈액검사를 비롯한 여러 가지 검사가 시행되기도 합니다.
골다공증을 완전히 고칠 수 있는 획기적인 치료법은 아직 없습니다. 그러므로 예방이 매우 강조되는 질환입니다. 골다공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첫째, 하루 1,000mg∼1,500mg의 칼슘과 비타민 D(간, 간 유구, 생선, 계란, 일광욕 등)의 섭취가 매우 중요합니다. 둘째, 규칙적인 운동이 꼭 필요합니다. 처음에는 체중 부담이 적은 수영, 자전거 타기 등으로 시작하다가 익숙해지면 체중이 부과되는 걷기, 조깅, 계단 오르기, 에어로빅 등으로 옮겨가면서 강도를 높이는 것이 좋습니다. 과도하거나 갑작스런 운동은 관절 등에 오히려 해가 될 수 있습니다. 셋째, 좋지 않은 생활 습관을 고치는 것이 필요합니다. 술, 담배, 카페인이 함유된 음식은 골다공증을 촉진시키므로 알코올 섭취를 금하고, 금연해야 하며 카페인이 많이 함유된 커피, 콜라, 홍차 등을 많이 먹지 말아야 합니다.
한편, 약화된 뼈를 다시 회복시켜 주는 특수한 치료법은 아직 없습니다. 그러므로 골다공증에 대한 치료는 더 이상 뼈가 약해지는 것을 막는데 주로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규칙적인 운동과 충분한 영양 섭취 등 기본적인 치료 외에 전문적인 치료제로는 골대사 호르몬인 칼시토닌제제, 그리고 폐경과 관련된 여성의 골다공증에서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젠을 투여하는 법 등이 있습니다.
추천자료
비만과 체중관리
무중력 상태에서 인체는 어떻게 변하는가?
노화의 정상변화 및 간호적용
생활스포츠지도사 (보디빌딩) 구술,실기 실제 나온 문제들로 구성된 족보
기타무기질(망간, 코발트, 아연)
뇌성마비(뇌성마비아동, 뇌성마비장애인) 적응행동, 뇌성마비(뇌성마비아동, 뇌성마비장애인)...
우리나라 웰빙의 실태
상완골 골절 (폐쇄성골절) Case study
노인간호학)활동과 운동 PPT
사회인지이론이란,상호결정론,자기효능이론,환경의 영향,자기규제 행동,사회인지론
[골격계 질환] 근골격계 질환(골관절염, 류마티스관절염, 통풍)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방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