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의 발로는 무척 자연적인 것이라 볼 수 있다. 그러나 아무나 이처럼 종교적인 혼란기에 스스로 자청해서 예언자가 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의 걸어온 인생경로를 되짚어 보면 그는 시대적 예언자의 사명을 감당하기 위해 스스로를 훈련하고 준비시킨 것을 볼 수 있게 된다. 일찍이 사제가 되기로 결심한 칼빈은 사제 훈련 교육을 받았고, 법학으로 전공을 바꾸어 법을 공부하였으며, 성서의 의미를 더욱 깊이 연구하기 위해 고전어를 연구하였다. 그는 또한 개인적 신앙의 회심의 계기를 통해 하나님의 절대주권을 다시금 발견하고 당시 혼란상태에 놓여 있던 카톨릭을 비판하였다. 나아가 그는 기독교 강요를 출간함으로써 그의 개인적 신앙의 고민의 지평을 확대하여 많은 신도들과 공유를 하였다. 칼빈의 이러한 행보는 종교개혁을 통해 결실을 맺고 그의 예언자적 정신은 오늘날 개혁교회 전통에도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황정욱 교수의 칼빈의 초기사상 이해를 통해 지금껏 깨닫지 못했던 칼빈의 진면목을 발견할 수 있었다. 고난과 어려움을 스스로 감래하며 미래지향적인 메시아 사상을 품고 어려운 시대에 <창조적 수고자>創造的 受苦者가 되었던 칼빈과 대면할 수 있었다는 것에 큰 보람을 느낀다.
황정욱 교수의 칼빈의 초기사상 이해를 통해 지금껏 깨닫지 못했던 칼빈의 진면목을 발견할 수 있었다. 고난과 어려움을 스스로 감래하며 미래지향적인 메시아 사상을 품고 어려운 시대에 <창조적 수고자>創造的 受苦者가 되었던 칼빈과 대면할 수 있었다는 것에 큰 보람을 느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