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의 모델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 3 장 교회의 모델
제 4 장 공동체적인 교회 이해

본문내용

예수님이 제정하신 대로 집행되는 그 곳에 성령이 임재하여 은혜를 베푸신다고 가르친다. 말씀과 성례를 통하여 우리와 그리스도의 인격적 교제를 갖게 하시는 성령의 역사는 언제든지 제도적인 교회의 콘텍스트에서만 가능하다.
2. 교회제도 갱신을 위한 제안
1)교회의 방향 결정
교회의 방향설정에 교회의 모든 기관 단체들이 참여하여 그 목표가 목사 개인의 목표이거나 당회 등 소수 엘리트의 결정으로 남아서는 안 된다. 심지어 교회의 보살핌을 받는 교인들도 돌보는 방법과 성격 결정에 동참하여야 한다.
2)목표 달성을 위한 기구 조직
기구조직은 여러 가지 다양한 교역을 실천하는데 필요한 사람들과 자원들을 배열하여 최대의 효과를 얻으려는 것이다. 이것을 위하여 지도자는 교회 안에 잠자는 자원을 개발하여 활용하며, 교회 전체가 그리스도의 사명을 수행하는 그 한 가지 목표를 위해서 모든 기구조직이 움직일 수 있어야 한다.
3)변화와 커뮤니케이션
교회의 모든 정보전달과정은 열린 구조로 되어야 한다. 그리고 교회의 모든 의사결정과정에는 정직성이 있어야 하며 쌍방통행의 정보전달과정이 개발되어야 한다. 모든 조직의 움직임은 개방되어 누구나 볼 수 있게 투명하여야 한다.
4)변화를 위한 지도력
지도자에게 교회의 기구조직, 결정과정, 정보전달과정, 상호관계 과정, 신학적 성찰 등의 방법을 구체적으로 훈련받아야 한다. 그러나 지도자는 머리가 아니다. 머리이신 그리스도가 교회안에서 가시화 될 수 있도록 돕는 자이다. 교회의 지도자는 협력자이지 통치자는 아니다. 그리스도인의 신앙헌신을 구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게 촉매자로서 남아야 한다.

키워드

교회,   모델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2.10.08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59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