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질병병 : 기흉(pneumothorax)
2)정상해부생리
=발생기전에 따른 분류=
◆ 자연기흉(spontaneous pneumothorax)
◆ 긴장성 기흉(tension pneumothorax)
◆개방성 기흉(open pneumothorax)
◆병태생리
■ 진 단
■ 합병증
■ 치 료
흉관삽입 대상자 관리
흉관 관리를 위해 매일 점검할 사항
흉관 관리시 유의사항
흉관 제거시 유의사항
간호중재
간호사례보고서
2)정상해부생리
=발생기전에 따른 분류=
◆ 자연기흉(spontaneous pneumothorax)
◆ 긴장성 기흉(tension pneumothorax)
◆개방성 기흉(open pneumothorax)
◆병태생리
■ 진 단
■ 합병증
■ 치 료
흉관삽입 대상자 관리
흉관 관리를 위해 매일 점검할 사항
흉관 관리시 유의사항
흉관 제거시 유의사항
간호중재
간호사례보고서
본문내용
-4
부) ①쇽, ②과민증, 발진, 두드러기, 소양증, 발적, ③급성신장애, ④과립구, RBC, Hb, Hct감소, 호산구 증다, 혈소판수 변화
⑤GOT, GPT, ALT 상승
⑥위막성 대장염, 설사, 연변, 구여ㄱ, 구토, 복부팽만감, Vit-k 결핍증
주) Vit-k 결핍을 초래한 가능성이 있는 환자
알레르기를 일으키기 쉬운 환자
과민반응 예측을 위해 사전에 피부반응 검사 실시
@ DCFA valentac inj dicldfenac sod.
용) 상용량 : 1일 1 IM 중증 :1 bid IM
효) phenylacetic acid 계 NSAID
propinic acid 유도체와 유사한 약리작용 및 용도를 가짐.
급만성 통증을 수반하는 여러 질환에 대한 진통효과
Tmax : 10-20분(IM)
대사 : 간 배설 : 신장(65%) 담즙(35%)
부) 1-10% :두통, 편기증, 소양증, 발진 - 체액 저류
복부경련, 복통, 변비, 설사, 고창, 소화불량, 도심, 소화성 궤양, 출혈
간기능 효소 수치 상승, 이명
주) 다른 NSAID와의 병용피함
(상호작용)
COMD와 병용시 출혈경향 증가
아스피린 병용시 NSAIDs의 작용저하
C-MTX와 병용시 혈액학적 독성 증가
FSM과 병용시 리듐혈중농도 상승 및 독성 발현
부신피질 호르몬제와 병용시 상호부작용 증가
@ N-PTDA pethidine inj. pethidine(meperidine)Hcl
용) 성인 : 50-150ml q 3-4 hrs IM, IV, SC
마취전 50-100ml IM, SC
효) morphine 과 유사한 작용을 나타내는 합성마약임
CNS의 평활근으로 구성된 기관에 가장 강력히 작용함
주요치료 효과는 진통, 진정작용에 기인함
심한두통, 수술전 투요, 마취보조제, 산과의 진통목적으로 사용
작용발현 : IM. SC 10분 최대효과(IM) : 0.5-1hr
지속시간 : IM, SC, 2-4 hrs
부) 호흡억제, 호흡정지, shock 순환억제, 심박동증지, 어지러움, 진정, 오심, 구토, 발한, 악몽, 경련, 실신
주) 심리적, 신체적의존성 및 내성이 생기므로 주의 할 것
CNS억제제와 병용시
두 개압의 상승시, IV 천천히 할 것, 천식등 호흡장애 환자
분만전 투약시 특히 주의, 신장 간장애 환자에서 약물 축적에 대한 CNS 독성을 고려할 것
@ BHXA bisolvon inj. bromhexine Hcl
용) 경구 : 성인 1-2 tid
주사 : 성인 1-2 bid IM, IV
효) 용담, 거담제로서 기도점액선의 분비물증가를 촉진시킴
점액성 객담의 섬유질 결합을 파괴, 점도를 저하시킴
급만성기관지염, 폐결핵, 진폐증, 수술 후 기관지확장증 등에 의해 거담이 곤란할 때 사용함
부)구역, 식욕부진, 위복부불쾌감, 복통, 두통, 발진, 호흡곤란, 일시적오한, 기관지경련, 혈관부종, 아나필락시스
주) 위궤양환자, 중증신장애 환자
상호작용) W-EMV, W-AX, W-CRXV : 폐조직에서의 항생물질의 작용증가
간호사정
#1
주관적 자료 : "오른쪽 가슴이 아파요" "숨쉬기가 힘들어요"
객관적 자료 : ① 찡그린 얼굴표정을 함. ② 호흡수, 맥박수 증가
간호진단 : 흉막강내 공기유출과 관련된 통증
간호목표 : 흉곽내 압력이 회복되어 통증이 완화될 것이다.
간호계획 : ①활력징후를 측정한다.
- 스트레스나 통증으로 맥박과 호흡이 증가하고 혈압이 하강할수 있다.
② 반좌위를 취해준다.
- 좌우는 폐확장을 크게하며 황격박에 대한 복부장기의 압력을 감소시킴.
③ 진통제를 투여한다.
간호수행 : ① ②
③RN에 의해 진통제(DCFA)투여함을 관찰함.
평가 : 통증이 경감되었다고 말함.
#2
주관적자료 : "잠이오지 않아요" "수술하고 나면 괜찮아 지나요?"
객관적자료 : - 보호자가 옆에 없으면 간호사실에 와서 수술에 대해 물어본다.
- 걱정이 된다고 말한다.
- 병실주위를 왔다 갔다 한다.
간호진단 : 수술과 관련된 불안
간호목표 : 불안이 감소되었다고 말한다.
간호계획 : ① 불안의 정도를 사정한다
② 환자와 신뢰관계를 형성하도록 조용하고 정서적으로 편안한 환경을 제공한다.
- 함께 있어준다.
③ 적절한 정보를 제공한다.
- 적절한 정보는 불안을 예견할 수 있고 예방할 수 있으므로 효과적이다.
간호수행 : ① ② ③
평가 : 지난 밤에 잠을 잘 잤다고 말함.
#3
주관적 자료 : "아파 죽겠어요"
객관적 자료 : - 체온상승(38℃)
- 발한
- 호흡수 증가(28회)
- 전혀 움직이려 하지 않음
간호진단 :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육적 기도청결
간호목표 : 기도 개방성이 증가할 것이다.
간호계획 : ① 호흡양상을 사정한다.
② 객담의 양 및 색을 관찰한다.
③ 심호흡과 효과적인 기침을 유도한다.(시범을 보인다)
④ 높은 반좌위를 취하도록 한다.
- 폐확장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⑤ 적절한 수분을 공급한다.
간호수행 :① ② ③ ④
평가 : 스스로 심호흡과 효과적인 기침을 하여 기도 개방성을 유지함.
#4
주관적 자료 : "어깨가 아파서 죽겠어요"
객관적자료 : - 전신허약감, 몸이 나른해 있다.
- 체온상승(38℃)
- 백혈구 수 증가
간호진단 : 배액관 삽입과 관련된 잠재성 감염
간호목표 : 감염증상이 없을 것이다.
간호계획 : ① ice bag을 대준다. -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② 임상검사 결과를 확인한다.
③ 흉부배액관을 통한 배액의 양과 색을 관찰한다.
④ 필요시 항생제를 투여하고 효과 및 부작용을 관찰한다.
⑤ 배액관 관리시 철저한 무균법을 지킨다.
⑥ 피부간호를 실시한다.
간호수행 :① ②
③ CTD : 10cc→20cc→140cc check 관찰
④ ⑤ ⑥ : nurse 와 doctor 에 의해 시행됨을 관찰
평가 : 체온이 정상으로 되고. 임상검사결과 normal checked
결론 : 상기 환자는 8월25일 CTD remove, no pneumothorax
8월26일 D/C c medication
퇴원처방
ACF 2T (200MG) BMPC # 2
P-MP1 2T (200MG) BMPC # 2
ABX 2T (60MG) BMPC # 2
W-BF 2T (500MG) BMPC # 2
부) ①쇽, ②과민증, 발진, 두드러기, 소양증, 발적, ③급성신장애, ④과립구, RBC, Hb, Hct감소, 호산구 증다, 혈소판수 변화
⑤GOT, GPT, ALT 상승
⑥위막성 대장염, 설사, 연변, 구여ㄱ, 구토, 복부팽만감, Vit-k 결핍증
주) Vit-k 결핍을 초래한 가능성이 있는 환자
알레르기를 일으키기 쉬운 환자
과민반응 예측을 위해 사전에 피부반응 검사 실시
@ DCFA valentac inj dicldfenac sod.
용) 상용량 : 1일 1 IM 중증 :1 bid IM
효) phenylacetic acid 계 NSAID
propinic acid 유도체와 유사한 약리작용 및 용도를 가짐.
급만성 통증을 수반하는 여러 질환에 대한 진통효과
Tmax : 10-20분(IM)
대사 : 간 배설 : 신장(65%) 담즙(35%)
부) 1-10% :두통, 편기증, 소양증, 발진 - 체액 저류
복부경련, 복통, 변비, 설사, 고창, 소화불량, 도심, 소화성 궤양, 출혈
간기능 효소 수치 상승, 이명
주) 다른 NSAID와의 병용피함
(상호작용)
COMD와 병용시 출혈경향 증가
아스피린 병용시 NSAIDs의 작용저하
C-MTX와 병용시 혈액학적 독성 증가
FSM과 병용시 리듐혈중농도 상승 및 독성 발현
부신피질 호르몬제와 병용시 상호부작용 증가
@ N-PTDA pethidine inj. pethidine(meperidine)Hcl
용) 성인 : 50-150ml q 3-4 hrs IM, IV, SC
마취전 50-100ml IM, SC
효) morphine 과 유사한 작용을 나타내는 합성마약임
CNS의 평활근으로 구성된 기관에 가장 강력히 작용함
주요치료 효과는 진통, 진정작용에 기인함
심한두통, 수술전 투요, 마취보조제, 산과의 진통목적으로 사용
작용발현 : IM. SC 10분 최대효과(IM) : 0.5-1hr
지속시간 : IM, SC, 2-4 hrs
부) 호흡억제, 호흡정지, shock 순환억제, 심박동증지, 어지러움, 진정, 오심, 구토, 발한, 악몽, 경련, 실신
주) 심리적, 신체적의존성 및 내성이 생기므로 주의 할 것
CNS억제제와 병용시
두 개압의 상승시, IV 천천히 할 것, 천식등 호흡장애 환자
분만전 투약시 특히 주의, 신장 간장애 환자에서 약물 축적에 대한 CNS 독성을 고려할 것
@ BHXA bisolvon inj. bromhexine Hcl
용) 경구 : 성인 1-2 tid
주사 : 성인 1-2 bid IM, IV
효) 용담, 거담제로서 기도점액선의 분비물증가를 촉진시킴
점액성 객담의 섬유질 결합을 파괴, 점도를 저하시킴
급만성기관지염, 폐결핵, 진폐증, 수술 후 기관지확장증 등에 의해 거담이 곤란할 때 사용함
부)구역, 식욕부진, 위복부불쾌감, 복통, 두통, 발진, 호흡곤란, 일시적오한, 기관지경련, 혈관부종, 아나필락시스
주) 위궤양환자, 중증신장애 환자
상호작용) W-EMV, W-AX, W-CRXV : 폐조직에서의 항생물질의 작용증가
간호사정
#1
주관적 자료 : "오른쪽 가슴이 아파요" "숨쉬기가 힘들어요"
객관적 자료 : ① 찡그린 얼굴표정을 함. ② 호흡수, 맥박수 증가
간호진단 : 흉막강내 공기유출과 관련된 통증
간호목표 : 흉곽내 압력이 회복되어 통증이 완화될 것이다.
간호계획 : ①활력징후를 측정한다.
- 스트레스나 통증으로 맥박과 호흡이 증가하고 혈압이 하강할수 있다.
② 반좌위를 취해준다.
- 좌우는 폐확장을 크게하며 황격박에 대한 복부장기의 압력을 감소시킴.
③ 진통제를 투여한다.
간호수행 : ① ②
③RN에 의해 진통제(DCFA)투여함을 관찰함.
평가 : 통증이 경감되었다고 말함.
#2
주관적자료 : "잠이오지 않아요" "수술하고 나면 괜찮아 지나요?"
객관적자료 : - 보호자가 옆에 없으면 간호사실에 와서 수술에 대해 물어본다.
- 걱정이 된다고 말한다.
- 병실주위를 왔다 갔다 한다.
간호진단 : 수술과 관련된 불안
간호목표 : 불안이 감소되었다고 말한다.
간호계획 : ① 불안의 정도를 사정한다
② 환자와 신뢰관계를 형성하도록 조용하고 정서적으로 편안한 환경을 제공한다.
- 함께 있어준다.
③ 적절한 정보를 제공한다.
- 적절한 정보는 불안을 예견할 수 있고 예방할 수 있으므로 효과적이다.
간호수행 : ① ② ③
평가 : 지난 밤에 잠을 잘 잤다고 말함.
#3
주관적 자료 : "아파 죽겠어요"
객관적 자료 : - 체온상승(38℃)
- 발한
- 호흡수 증가(28회)
- 전혀 움직이려 하지 않음
간호진단 :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육적 기도청결
간호목표 : 기도 개방성이 증가할 것이다.
간호계획 : ① 호흡양상을 사정한다.
② 객담의 양 및 색을 관찰한다.
③ 심호흡과 효과적인 기침을 유도한다.(시범을 보인다)
④ 높은 반좌위를 취하도록 한다.
- 폐확장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⑤ 적절한 수분을 공급한다.
간호수행 :① ② ③ ④
평가 : 스스로 심호흡과 효과적인 기침을 하여 기도 개방성을 유지함.
#4
주관적 자료 : "어깨가 아파서 죽겠어요"
객관적자료 : - 전신허약감, 몸이 나른해 있다.
- 체온상승(38℃)
- 백혈구 수 증가
간호진단 : 배액관 삽입과 관련된 잠재성 감염
간호목표 : 감염증상이 없을 것이다.
간호계획 : ① ice bag을 대준다. -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② 임상검사 결과를 확인한다.
③ 흉부배액관을 통한 배액의 양과 색을 관찰한다.
④ 필요시 항생제를 투여하고 효과 및 부작용을 관찰한다.
⑤ 배액관 관리시 철저한 무균법을 지킨다.
⑥ 피부간호를 실시한다.
간호수행 :① ②
③ CTD : 10cc→20cc→140cc check 관찰
④ ⑤ ⑥ : nurse 와 doctor 에 의해 시행됨을 관찰
평가 : 체온이 정상으로 되고. 임상검사결과 normal checked
결론 : 상기 환자는 8월25일 CTD remove, no pneumothorax
8월26일 D/C c medication
퇴원처방
ACF 2T (200MG) BMPC # 2
P-MP1 2T (200MG) BMPC # 2
ABX 2T (60MG) BMPC # 2
W-BF 2T (500MG) BMPC # 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