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Ⅱ. 본론
Ⅲ. 결론
본문내용
많은 다른 연출가나 배우들에 의해 무대에 올려졌던 연극 Hamlet들과는 여러 가지 면에서 다르다. 같은 희곡을 기본으로 하여 만들어진 연극임에도 불구하고 이 연극이 원작이나 다른 공연들과 다를 수 있었던 것은 그것을 만드는 이들이 하나의 희곡 작품을 원작 그대로 공연하지 않고, 그들 나름대로의 새로운 해석과 공연방식으로 원작을 새롭게 만들어 내려고 노력했기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이 작품은 어느 문학작품이든 누가 읽느냐에 따라, 언제 읽느냐에 따라 그 해석이 다양하듯이 하나의 희곡작품에 대한 해석도 누가 연출하고 연기하느냐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잘 보여주는 예라고 할 수 있다. 새로운 해석이나 공연방식에 대한 고민 없이 원작에만 충실한 연극은 그 작품이 쓰여진 시대나 공간에 살고 있지 않은 관객들에게는 공감이나 재미, 감동을 불러일으키기 어려울 것이다. 그런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연극을 보게 될 관객들의 흥미와 성향을 잘 고려하여 그들에게 맞추기 위해 새로운 요소들을 가미하고, 그러면서도 원작에 비교적 충실했던 이 연극은 그런 의미에서 높이 살 만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그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 연극을 우리사회와 우리시대에 잘 맞아떨어지는 완벽한 작품이라고 하기에는 부족하다는 아쉬움이 남는다. 왜냐하면 어떤 공연이든 원작의 묘미를 완전히 살리기는 어렵듯이 이 공연도 셰익스피어 원작을 완전히 소화해서 그것이 지닌 장점들을 공연 속에 모두 담아내지는 못했고, 현대적 요소와 한국적 요소의 가미를 통해 독자들에게 공감을 불러일으키고자 했으나 그 요소들이 원작과 충분히 어우러지지 못함으로써 원작과 새로 가미된 것들이 따로따로 분리되어 오히려 작품의 통일성이 약해졌고, 관객들에게 자신의 얘기를 듣는 듯한 공감을 자아내지는 못했기 때문이다.
공연을 다 보고 나서 남는 마지막 느낌은 이런 아쉬움 반, 그리고 눈으로만 읽었던 Hamlet을 눈으로 직접 보고 귀로 직접 들을 수 있었다는 것에서 오는 즐거움 반이었다. 그리고 그 즐거움은 공연의 큰 규모와 배우들의 호연, 충분한 볼거리와 들을거리를 통해 배가되었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이 공연의 작품성이나 완성도에 대해 운운하는 것은 좀 어려울 것 같지만 두 시간 동안 지루하지 않게 시간을 보낼 수 있었다는 점에서는 만족스러운 공연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겠다.
Works Cited
이윤택. 『연극작업-햄릿 읽기』. 밀양: 우리극 연구소, 2001.
그리고 이 작품은 어느 문학작품이든 누가 읽느냐에 따라, 언제 읽느냐에 따라 그 해석이 다양하듯이 하나의 희곡작품에 대한 해석도 누가 연출하고 연기하느냐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잘 보여주는 예라고 할 수 있다. 새로운 해석이나 공연방식에 대한 고민 없이 원작에만 충실한 연극은 그 작품이 쓰여진 시대나 공간에 살고 있지 않은 관객들에게는 공감이나 재미, 감동을 불러일으키기 어려울 것이다. 그런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연극을 보게 될 관객들의 흥미와 성향을 잘 고려하여 그들에게 맞추기 위해 새로운 요소들을 가미하고, 그러면서도 원작에 비교적 충실했던 이 연극은 그런 의미에서 높이 살 만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그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 연극을 우리사회와 우리시대에 잘 맞아떨어지는 완벽한 작품이라고 하기에는 부족하다는 아쉬움이 남는다. 왜냐하면 어떤 공연이든 원작의 묘미를 완전히 살리기는 어렵듯이 이 공연도 셰익스피어 원작을 완전히 소화해서 그것이 지닌 장점들을 공연 속에 모두 담아내지는 못했고, 현대적 요소와 한국적 요소의 가미를 통해 독자들에게 공감을 불러일으키고자 했으나 그 요소들이 원작과 충분히 어우러지지 못함으로써 원작과 새로 가미된 것들이 따로따로 분리되어 오히려 작품의 통일성이 약해졌고, 관객들에게 자신의 얘기를 듣는 듯한 공감을 자아내지는 못했기 때문이다.
공연을 다 보고 나서 남는 마지막 느낌은 이런 아쉬움 반, 그리고 눈으로만 읽었던 Hamlet을 눈으로 직접 보고 귀로 직접 들을 수 있었다는 것에서 오는 즐거움 반이었다. 그리고 그 즐거움은 공연의 큰 규모와 배우들의 호연, 충분한 볼거리와 들을거리를 통해 배가되었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이 공연의 작품성이나 완성도에 대해 운운하는 것은 좀 어려울 것 같지만 두 시간 동안 지루하지 않게 시간을 보낼 수 있었다는 점에서는 만족스러운 공연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겠다.
Works Cited
이윤택. 『연극작업-햄릿 읽기』. 밀양: 우리극 연구소, 2001.
추천자료
[문학교육원론]`바꾸어 쓰기`를 통한 희곡 교수-학습
[교육연극 유형][교육연극 역사][교육연극 이론][교육연극 사례][교육연극 방법]교육연극의 ...
[교육연극]교육연극활용 국어과 수업(국어과 교육), 교육연극활용 영어과 교육(영어과 교육),...
[교육연극][교육][연극]교육연극의 정의, 교육연극의 분류, 교육연극의 이론적 배경, 교육연...
[교육연극][연극]교육연극의 의미, 교육연극의 기대효과, 교육연극의 국어과 교육(국어교육),...
[연극놀이][영어연극][연극놀이 특징][영어연극 절차][영어연극 효과][영어연극 유의점][영어...
한국 전후문학(1950년대문학) 의의, 한국 전후문학(1950년대문학) 희곡, 한국 전후문학(1950...
[교육연극][교육연극 성취효과]교육연극의 개념, 교육연극의 종류, 교육연극의 배경과 교육연...
[교육연극][교육연극 실제][교육연극 성과]교육연극의 의미, 교육연극의 종류, 교육연극의 유...
[소설][리얼리즘][소설론][작가][로맨스][서사문학]소설과 리얼리즘, 소설과 소설론, 소설과 ...
[연극놀이][연극][놀이][연극놀이 정의][연극놀이 분류][연극놀이와 영어연극][역할연기]연극...
[연극놀이][연극][놀이][교수학습모형][영어연극][프로그램]연극놀이의 의미, 연극놀이의 성...
[연극놀이][연극놀이 의의][연극놀이 장점][연극놀이 체험][연극놀이 교육연극]연극놀이의 개...
the introduction of drama 제 5장 희곡의 유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