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儒家(유가)와 法家(법가)에서 禮(예)의 역할은 어떻게 달라지는가?
2. 만약 성악설을 지지하게 되면 자유와 자율성이 부정 될 수 있다. 그 이유는 무엇인가?
3. 맹자라면 미국의 이라크 침공을 어떻게 생각할까?
4. 도가의 무위가 은둔이 아니라 적극적 사회 변혁의 이론이라고 할 수 있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
5. 불교의 공은 현실을 부정하는 논리인가?
6. 수양의 방법으로서의 퇴계의 경과 율곡의 성은 어떠한 차이를 가지는가?
2. 만약 성악설을 지지하게 되면 자유와 자율성이 부정 될 수 있다. 그 이유는 무엇인가?
3. 맹자라면 미국의 이라크 침공을 어떻게 생각할까?
4. 도가의 무위가 은둔이 아니라 적극적 사회 변혁의 이론이라고 할 수 있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
5. 불교의 공은 현실을 부정하는 논리인가?
6. 수양의 방법으로서의 퇴계의 경과 율곡의 성은 어떠한 차이를 가지는가?
본문내용
은 기의 국한성, 곧 기국 때문이라고 보았다. 그러나 서로 다른 특성 속에 본체로서의 이가 내재하고 있다는 의미에서 보면, 인간이나 사물은 모두 동일하다(理痛)고 주장하였다.
이통기국의 이기론은 이와 기의 양자가 서로 의존하여 보완 관계를 유지하면서 조화됨을 강조하는 것이라 하겠다.
다시 말해 이황의 경은 기질의 성을 억제시키고 본연의 성만 존재하게 하는 것이다. 이는 지극히 비현실적이고 이상적인 이론이라 할 수 있겠다. 이는 서양 크리스트교의 하느님과 같은 존재이며 기가 존재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 존재이다. 즉 이치상관의 관계, 이가 앞서고 기는 뒷서게 된다.
주리론 기질의 성을 완전히 제거해서 본연의 성을 받아 들어라. 이는 계급적 성향을 나타낸다. 사회적 계급은 당연히 인정되는 것이다. 기라는 것은 이가 없으면 맘대로 움직인다. 여기서 이란 사회 지도층들이고 기는 백성들이다. 반드시 지배계급이 통제해야만 바르게 돌아갈 수 있다.
율곡의 성철학은 육체적 욕구를 줄여 나가는 것이라 했다. 마음이 하고자 하는 바에 따르더라도 인간으로써 지켜야 할 것은 지켜라 하였다. 성과 경의 경부를 투철히 하면 하고자 하는 데로 해도 옳을 길로 나아갈 것이다. (浩然之氣) 즉, 성인(成人)의 경지에 이를 수 있다.
기는 동일 하지만 들어오는 현상에 의해 새로운 개체가 만들어 진다. 인간은 인간의 형상을 받아 들었기 때문에 인간이 된 것이다. 이와 기는 서로 떨어지지 않으면서 섞이지도 않는다. 주기론 경험론
수양론은 이기론에 의해서 확립된 인간관을 현실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방법이다. 따라서 수양의 문제는 리와 기 가운데서 무엇을 더 근원적, 일차적 존재로 보는가에 따라서 그 방법과 목적이 다르게 나타난다. 만약 근원적인 존재가 본연의 천리라면 수양의 목적도 본연의 천리의 회복이 된다. 만약 근원적 존재가 본연의 기라고 한다면 수양의 목적도 본연의 기의 회복이 될 것이다.
퇴계는 리와 기 가운데서 리의 일차성을 인정한다. 따라서 수양의 목적은 본연의 리, 즉 천리를 회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연의 천리 회복의 방법이 경공부이다.
리와 인의 본체는 우주와 인간의 본질인데 이러한 본질을 체찰, 체험하는 공부가 경공부이다. 내와 외, 주관과 객관, 우주와 인간의 본질을 통일적으로 체험하는 공부방법이다.
참된 앎, 실천, 학문, 사색의 근본은 심의 주재성, 곧 경이 없으면 불가능하며 무의미하다. 퇴계학의 근본정신은 정신적 주재성의 회복이라 하겠으며, 이러한 주재성과 주체성의 확보가 이루어져야만 위기지학, 즉 인간의 완성을 추구하는 올바른 학문의 길을 걸을 수 있다.
그욕적 엄숙주의, 교조주의
율곡에서의 리와 기의 관계는 리와 기 가운데서 어느 것도 일차성을 인정할 수 없는 상함적 내속 관계에 있다. 즉 리는 기에 의존하고, 기는 리에 의존함으로써 천지 만물이 모두 리기의 혼연일체라는 관점을 인정하고, 이러한 관점 아래서 그의 기발리승일도설(기발리승일도설411)이 정형화된다. 따라서 기의 검속을 통한 성실한 인간상의 구현이 율곡의 수양론의 최종 목적이다.
이통기국의 이기론은 이와 기의 양자가 서로 의존하여 보완 관계를 유지하면서 조화됨을 강조하는 것이라 하겠다.
다시 말해 이황의 경은 기질의 성을 억제시키고 본연의 성만 존재하게 하는 것이다. 이는 지극히 비현실적이고 이상적인 이론이라 할 수 있겠다. 이는 서양 크리스트교의 하느님과 같은 존재이며 기가 존재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 존재이다. 즉 이치상관의 관계, 이가 앞서고 기는 뒷서게 된다.
주리론 기질의 성을 완전히 제거해서 본연의 성을 받아 들어라. 이는 계급적 성향을 나타낸다. 사회적 계급은 당연히 인정되는 것이다. 기라는 것은 이가 없으면 맘대로 움직인다. 여기서 이란 사회 지도층들이고 기는 백성들이다. 반드시 지배계급이 통제해야만 바르게 돌아갈 수 있다.
율곡의 성철학은 육체적 욕구를 줄여 나가는 것이라 했다. 마음이 하고자 하는 바에 따르더라도 인간으로써 지켜야 할 것은 지켜라 하였다. 성과 경의 경부를 투철히 하면 하고자 하는 데로 해도 옳을 길로 나아갈 것이다. (浩然之氣) 즉, 성인(成人)의 경지에 이를 수 있다.
기는 동일 하지만 들어오는 현상에 의해 새로운 개체가 만들어 진다. 인간은 인간의 형상을 받아 들었기 때문에 인간이 된 것이다. 이와 기는 서로 떨어지지 않으면서 섞이지도 않는다. 주기론 경험론
수양론은 이기론에 의해서 확립된 인간관을 현실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방법이다. 따라서 수양의 문제는 리와 기 가운데서 무엇을 더 근원적, 일차적 존재로 보는가에 따라서 그 방법과 목적이 다르게 나타난다. 만약 근원적인 존재가 본연의 천리라면 수양의 목적도 본연의 천리의 회복이 된다. 만약 근원적 존재가 본연의 기라고 한다면 수양의 목적도 본연의 기의 회복이 될 것이다.
퇴계는 리와 기 가운데서 리의 일차성을 인정한다. 따라서 수양의 목적은 본연의 리, 즉 천리를 회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연의 천리 회복의 방법이 경공부이다.
리와 인의 본체는 우주와 인간의 본질인데 이러한 본질을 체찰, 체험하는 공부가 경공부이다. 내와 외, 주관과 객관, 우주와 인간의 본질을 통일적으로 체험하는 공부방법이다.
참된 앎, 실천, 학문, 사색의 근본은 심의 주재성, 곧 경이 없으면 불가능하며 무의미하다. 퇴계학의 근본정신은 정신적 주재성의 회복이라 하겠으며, 이러한 주재성과 주체성의 확보가 이루어져야만 위기지학, 즉 인간의 완성을 추구하는 올바른 학문의 길을 걸을 수 있다.
그욕적 엄숙주의, 교조주의
율곡에서의 리와 기의 관계는 리와 기 가운데서 어느 것도 일차성을 인정할 수 없는 상함적 내속 관계에 있다. 즉 리는 기에 의존하고, 기는 리에 의존함으로써 천지 만물이 모두 리기의 혼연일체라는 관점을 인정하고, 이러한 관점 아래서 그의 기발리승일도설(기발리승일도설411)이 정형화된다. 따라서 기의 검속을 통한 성실한 인간상의 구현이 율곡의 수양론의 최종 목적이다.
추천자료
노자의 도와 정치사상
유가, 묵가, 도가, 법가 등의 제자백가 사상에 대한 고찰
[동양철학개론] 도가 묵가 유가 법가 불교의 사상
중국의 최초의 사상부터 근대 사상까지의 정리(천명사상, 공자, 유가, 묵가, 도가, 법가, 불...
제자백가 정리(유가 묵가 도가 명가 법가)
도가 입장에서 유가비판하기
[제자백가사상]제자백가사상 유가(유가사상), 제자백가사상 도가(도가사상), 제자백가사상 묵...
[제자백가][제자백가사상][제자][백가]제자백가사상 중 유가(유가사상)와 도가(도가사상), 제...
유가 도가 사상의 특징과 차이점 (나의견해포함)
[유가][윤리학][사상][인의][대비][변질][국가개념][제자백가][묵가][도가]유가의 윤리학, 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