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OQ 모형과 EPQ 모형의 개념적 차이 설명 및 수치비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EOQ 모형과 EPQ 모형의 개념적 차이 설명 및 수치비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재고관리의 기본목표와 기본모형
1. 재고관리의 기본 목표
2. 재고관리의 기본 모형

Ⅲ. 용어의 정의

Ⅳ. EOQ 와 EPQ의 개념 비교

Ⅴ. EOQ 와 EPQ의 수치적 비교

Ⅵ. 맺음말

본문내용

절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일찍이 1915년 F. W. Harris에 의해 고안된 고전적인 재고관리 모델은 다음과 같은 가정하에서 출발한다.
① 발주비용은 발주량의 크기와 관계없이 매 주문마다 일정하다.
② 재고유지비는 발주량의 크기와 정비례하여 발생한다.
③ 구입단가는 발주량의 크기와 관계없이 일정하다.
④ 수요율과 조달기간이 일정한 확정적 모델이다.
⑤ 단일품목을 대상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가정 아래 발주비용과 재고유지비의 합계가 최소가 되는 경제적 발주량(EOQ)을 구하는 것이, 본 모델의 목적이다. 왜냐하면 발주비용의 경우 발주량이 적으면 주문횟수가 늘게되어 발주비용이 증가하는데 반하여 재고유지비는 발주량이 커지면 평균재고량도 증가될 뿐아니라, 그 비용도 증가하므로 결국 이들 비용의 합계가 최소가 되는 발주량이 가장 경제적이라는 논리가 되는데, 이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상기의 경제적 발주량은 기업외부로부터 조달하는 물품의 발주량 크기를 경제적으로 결정하는 문제인 반면 기업자체 내에서 필요한 자재를 자가제작 또는 제품을 생산, 조달하는 경우에 생산량의 크기를 경제적인 수준으로 결정하는 문제이다. 다시 말해 경제적 생산량(Economic Production Quantity : EPQ)를 결정하는 문제를 다루는 것이다.
보통 EOQ와 EPQ를 함께 설명하는 것은 이들이 많은 공통점이 있기 때문이지만, EOQ의 경우 재고의 입고가 순간적으로 행해지는데 반해서 EPQ의 경우는 점차적으로 행해진다는 점과 경제적인 생산량을 결정하는 비용요소에서 보건대, EPQ모델에서는 발주비용 대신에 준비비를 고려하고있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EPQ모델도 EOQ와 마찬가지로 어떠한 가정하에서 이루어지는데, 그 가정은 다음과 같다.
① 준비비는 생산량의 크기와 관계없이 롯트마다 일정하다.
② 재고유지비는 생산량의 크기에 정비례하여 발생한다.
③ 생산단가는 생산량의 크기와 관계없이 일정하다.
④ 수요율과 생산율이 일정한 확정적 모델이다. 단, 생산율은 수요율보다 크다.
⑤ 생산율은 생산기간 t1중에 점진적으로 생산입고된다. 출고는 t1, t2기간에 계속된다.
EPQ모델에서의 생산율과 수요율에 의한 가정을 나타내면 아래와 그림과 같다.
위의 그림에서 생산량 P는 1일 생산량이고, 수요율 D는 1일 소비량이라 하면, 하루 동안의 재고는 P-D가된다. 생산기간 t1동안의 재고는 t1(P-D)로서 이 기간중 최대재고량(Imax)이 되며, 이때의 평균재고량는 t1(P-D)가 되는 것이다.
Ⅳ. EOQ 와 EPQ의 수치적 비교
1. EOQ모형
Ch=2, C0=30, D=1,000 일때,
이므로
≒ 173
이 값은 연간비용 (ATC)을 최소화하는 1회 주문량(Q) 즉, 경제적 주문량 또는 경제적 롯트 사이즈이므로 이를 통해 ATC를 구할수 있다.
이므로
이다.
2. EPQ모형
Ch=2, Cs=30, D=1,000이고 P=5,000 일때,
이므로
이므로
이때 생산주기는이다.
나. P=∽ 일때,
이므로
이므로
Ⅴ. 맺 음 말
상기와 같이 생산량 P가 수요량 D에 비해 커질수록 EPQ는 작아지며, 생산량 P가 무한대인 경우는 EOQ모형의 일시 전량도착의 가정과 일치하게 되므로 개념적으로 EPQ = EOQ가 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으며, 수요율 D가 생산율 P에 가까워짐에 따라 EPQ는 점점 커지며, 이들이 같게되면(D = P) EPQ는 무한대가 된다. 이것은 계속해서 생산을 해야힌다는 것을 의미한다.
※ 참 고 문 헌
- 문상원최덕원, 물류관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2년
- 이순용, 생산관리론, 법문사, 1994년
- 백종현, 생산계획 및 재고통제, 삼영사, 1993년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4.11.19
  • 저작시기2015.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40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