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 2
Ⅱ. 經濟的注文量(EOQ) 模型……………………………… 3
1. EOQ 모형의 가정 …………………………………………… 3
2. EOQ와 비용과의 관계 …………………………………… 4
Ⅲ. 經濟的生産量(EPQ) 模型 ……………………………… 5
1. EPQ 모형의 가정 ………………………………………… 6
2. EPQ와 비용간의 관계 …………………………………… 6
3. EOQ와 EPQ의 개념적 차이 ……………………………… 7
Ⅳ. EOQ와 EPQ의 數値的 例 ……………………………… 7
1. EOQ의 수치적 예 ………………………………………… 8
2. EPQ의 수치적 예 …………………………………………… 9
3. EOQ와 EPQ의 수치 비교…………………………………10
Ⅴ. 결 론 ……………………………………………………………… 10
Ⅱ. 經濟的注文量(EOQ) 模型……………………………… 3
1. EOQ 모형의 가정 …………………………………………… 3
2. EOQ와 비용과의 관계 …………………………………… 4
Ⅲ. 經濟的生産量(EPQ) 模型 ……………………………… 5
1. EPQ 모형의 가정 ………………………………………… 6
2. EPQ와 비용간의 관계 …………………………………… 6
3. EOQ와 EPQ의 개념적 차이 ……………………………… 7
Ⅳ. EOQ와 EPQ의 數値的 例 ……………………………… 7
1. EOQ의 수치적 예 ………………………………………… 8
2. EPQ의 수치적 예 …………………………………………… 9
3. EOQ와 EPQ의 수치 비교…………………………………10
Ⅴ. 결 론 ……………………………………………………………… 10
본문내용
(연간 단위 재고비용)
D = 1,000 (연간 수요량)
{ C}_{O } = {C}_{S}=30 (주문당 소요비용)
일 때,
EOQ = SQRT { {2 { C}_{O } D} over { { C}_{h } } }
이므로,
SQRT { { 2 CDOT 30 CDOT 1000} over { 2} } Image 173
이다.
이 값은 연간비용(ATC)을 최소화하는 1회 주문량(Q) 즉 경제적 주문량 이므로 이를 통해 연간비용을 구할 수 있다.
ATC = { { C}_{O }D } over {Q } + { { C}_{h }Q } over {2 }
이므로
{ 2 CDOT 173} over {2 } + { 30 CDOT 1000} over {173 } Image 346
이다.
2. EPQ의 수치적 예
{ C}_{h } = 2 (연간 단위 재고비용)
D = 1,000 (연간 수요량)
{ C}_{O } = { C }_{S}=30 (생산당 소요비용)
일 때,
EPQ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연간생산능력(P)을 알아야 한다.
연간생산능력에 따라 EPQ의 값이 달라지는데 연간수요량(D)보다 연간생산능력이 커질수록 EPQ가 작아지는데 이것을 數値的으로 증명하기 위해 P의 값을 5000, 10000, 무한대( )의 세 경우를 설정해 본다.
(1) 연간생산능력(P)가 5000인 경우
EPQ= SQRT { { 2 CDOT 30 CDOT 1000} over {2 } } SQRT { { 5000} over {5000-1000 } }= 173.205 1.25 Image 217
ATC= { 30 CDOT 1000} over {217 } + { 2 CDOT 217} over {2 } LEFT ( { 5000-1000} over { 5000} RIGHT ) Image 312
이다.
(2) 연간생산능력(P)가 10000인 경우
EPQ= SQRT { { 2 { C}_{O }D } over { { C}_{h } } } SQRT { { P} over {P-D } }
이므로,
SQRT { { 2 CDOT 30 CDOT 1000} over {2 } } SQRT { { 10000} over { 10000-1000} } = 173.205 1.054 Image 183
ATC(연간총생산비용)= { { C}_{O }D } over {Q } + { { C}_{h } Q} over {2 } LEFT ( { P-D} over { P} RIGHT )
이므로
ATC= { 30 CDOT 1000} over {183 }+ { 2 CDOT 183} over {2 } LEFT ( { 10000-1000} over { 10000} RIGHT ) Image 329
이다.
(3) 연간생산능력(P)가 무한대( )인 경우
EPQ= SQRT { { 2 CDOT 30 CDOT 1000} over {2 } } SQRT { { INF } over { INF -1000 } }= 173.205 1.111 Image 173
ATC= { 30 CDOT 1000} over {173 } + { 2 CDOT 173} over {2 } LEFT ( { INF -1000} over { INF } RIGHT ) Image 346
3. EOQ와 EPQ의 수치 비교
위에서 보면 P(연간생산능력)가 D(연간수요량) 보다 커질수록 EPQ는 작아지며, P가 무한대일 경우에는 일시에 전량이 도착한다는 EOQ의 가정과 일치하므로 EPQ=EOQ 가 된다. 수요율 D가 생산율 P에 가까워 짐에따라 EPQ는 점점 커지며, 이들이 같게 되면 (D=P) EPQ는 무한대가 된다. 이것은 계속해서 생산을 해야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Ⅴ. 결 론
기업이 제품을 생산하여 소비자에게 용이하게 공급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재고는 확보하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이 재고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비용이 많이 들게 된다. 기업은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이윤을 얻으려 하기 때문에 재고를 적절히 관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재고는 많아도 문제지만 없어도 문제가 되기 때문에 어떠한 방법으로 재고을 유지할 것인가를 고민하여야 한다. 그래서 우리는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재고관리모형의 가장 간단한 방법인 경제적 주문량(EOQ)와 경제적 생산량(EPQ)를 알아보았다.
경제적 주문량(EOQ)은 연간 재고유지비용과 주문비용의 합을 최소화하는 1회 주문량을 구하는 것으로 이때의 주문량의 크기를 경제적 롯트 크기라고도 한다. 이 모형에서는 수량할인은 없다고 가정하고 있으므로 품목의 단위원가는 주문의 크기에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만약 유지비용이 단위원가의 퍼센트로 구분되면, 단위원가는 유지비용의 일부로 총비용에 포함되게 한다. 경제적 생산량(EPQ)은 EOQ모형에서는 주문량이 한 번에 모두 도착하는 것을 전제로 하였다. 그러나 기업이 자체 공장에서 어떤 품목을 생산하면서 동시에 소비하는 경우에는 재고는 한 번에 확보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생산기간 동안 점진적으로 쌓이게 된다. 이러한 경우 비용을 최소화하는 주문량이다. 이와 같이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여 적절하게 재고를 유지하고 관리하여 재고에 들어가는 비용을 최소화하여 소비자에게도 원활하게 제품을 제공하고 기업도 손해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재고관리기법은 근년에 들어 실용적인 면에서 혁명적인 변화를 보이고 있는데, 컴퓨터의 도움을 전제로 한 MRP시스템과 일본적 기법의 대표인 JIT시스템은 재고관리에 관한 고정관념까지 완전히 바꾸려 하고 있는 지배적 기법으로 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시대의 흐름에 발맞추어 우리나라도 우리나라 경제 실정에 맞는 재고관리 시스템이 활발하게 연구되어야 겠다.
참고문헌
문상원,.최덕원, 2004 『물류관리』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P76∼85)
이순룡, 1998,『제품 서비스 생산관리론』, 서울 : 법문사(P603∼617).
정충영, 1993,『생산관리론』, 서울 : 무역경영사(P347∼371)
곽수일, 1995,『현대생산관리』, 서울 : 박영사(P308∼323).
이상범, 2000,『현대 생산·운영관리』 서울 : 명경사(P326∼347).
이병찬외3인,1999 『생산운영관리론』 서울 : 형설출판사 (P315∼335)
D = 1,000 (연간 수요량)
{ C}_{O } = {C}_{S}=30 (주문당 소요비용)
일 때,
EOQ = SQRT { {2 { C}_{O } D} over { { C}_{h } } }
이므로,
SQRT { { 2 CDOT 30 CDOT 1000} over { 2} } Image 173
이다.
이 값은 연간비용(ATC)을 최소화하는 1회 주문량(Q) 즉 경제적 주문량 이므로 이를 통해 연간비용을 구할 수 있다.
ATC = { { C}_{O }D } over {Q } + { { C}_{h }Q } over {2 }
이므로
{ 2 CDOT 173} over {2 } + { 30 CDOT 1000} over {173 } Image 346
이다.
2. EPQ의 수치적 예
{ C}_{h } = 2 (연간 단위 재고비용)
D = 1,000 (연간 수요량)
{ C}_{O } = { C }_{S}=30 (생산당 소요비용)
일 때,
EPQ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연간생산능력(P)을 알아야 한다.
연간생산능력에 따라 EPQ의 값이 달라지는데 연간수요량(D)보다 연간생산능력이 커질수록 EPQ가 작아지는데 이것을 數値的으로 증명하기 위해 P의 값을 5000, 10000, 무한대( )의 세 경우를 설정해 본다.
(1) 연간생산능력(P)가 5000인 경우
EPQ= SQRT { { 2 CDOT 30 CDOT 1000} over {2 } } SQRT { { 5000} over {5000-1000 } }= 173.205 1.25 Image 217
ATC= { 30 CDOT 1000} over {217 } + { 2 CDOT 217} over {2 } LEFT ( { 5000-1000} over { 5000} RIGHT ) Image 312
이다.
(2) 연간생산능력(P)가 10000인 경우
EPQ= SQRT { { 2 { C}_{O }D } over { { C}_{h } } } SQRT { { P} over {P-D } }
이므로,
SQRT { { 2 CDOT 30 CDOT 1000} over {2 } } SQRT { { 10000} over { 10000-1000} } = 173.205 1.054 Image 183
ATC(연간총생산비용)= { { C}_{O }D } over {Q } + { { C}_{h } Q} over {2 } LEFT ( { P-D} over { P} RIGHT )
이므로
ATC= { 30 CDOT 1000} over {183 }+ { 2 CDOT 183} over {2 } LEFT ( { 10000-1000} over { 10000} RIGHT ) Image 329
이다.
(3) 연간생산능력(P)가 무한대( )인 경우
EPQ= SQRT { { 2 CDOT 30 CDOT 1000} over {2 } } SQRT { { INF } over { INF -1000 } }= 173.205 1.111 Image 173
ATC= { 30 CDOT 1000} over {173 } + { 2 CDOT 173} over {2 } LEFT ( { INF -1000} over { INF } RIGHT ) Image 346
3. EOQ와 EPQ의 수치 비교
위에서 보면 P(연간생산능력)가 D(연간수요량) 보다 커질수록 EPQ는 작아지며, P가 무한대일 경우에는 일시에 전량이 도착한다는 EOQ의 가정과 일치하므로 EPQ=EOQ 가 된다. 수요율 D가 생산율 P에 가까워 짐에따라 EPQ는 점점 커지며, 이들이 같게 되면 (D=P) EPQ는 무한대가 된다. 이것은 계속해서 생산을 해야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Ⅴ. 결 론
기업이 제품을 생산하여 소비자에게 용이하게 공급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재고는 확보하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이 재고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비용이 많이 들게 된다. 기업은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이윤을 얻으려 하기 때문에 재고를 적절히 관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재고는 많아도 문제지만 없어도 문제가 되기 때문에 어떠한 방법으로 재고을 유지할 것인가를 고민하여야 한다. 그래서 우리는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재고관리모형의 가장 간단한 방법인 경제적 주문량(EOQ)와 경제적 생산량(EPQ)를 알아보았다.
경제적 주문량(EOQ)은 연간 재고유지비용과 주문비용의 합을 최소화하는 1회 주문량을 구하는 것으로 이때의 주문량의 크기를 경제적 롯트 크기라고도 한다. 이 모형에서는 수량할인은 없다고 가정하고 있으므로 품목의 단위원가는 주문의 크기에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만약 유지비용이 단위원가의 퍼센트로 구분되면, 단위원가는 유지비용의 일부로 총비용에 포함되게 한다. 경제적 생산량(EPQ)은 EOQ모형에서는 주문량이 한 번에 모두 도착하는 것을 전제로 하였다. 그러나 기업이 자체 공장에서 어떤 품목을 생산하면서 동시에 소비하는 경우에는 재고는 한 번에 확보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생산기간 동안 점진적으로 쌓이게 된다. 이러한 경우 비용을 최소화하는 주문량이다. 이와 같이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여 적절하게 재고를 유지하고 관리하여 재고에 들어가는 비용을 최소화하여 소비자에게도 원활하게 제품을 제공하고 기업도 손해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재고관리기법은 근년에 들어 실용적인 면에서 혁명적인 변화를 보이고 있는데, 컴퓨터의 도움을 전제로 한 MRP시스템과 일본적 기법의 대표인 JIT시스템은 재고관리에 관한 고정관념까지 완전히 바꾸려 하고 있는 지배적 기법으로 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시대의 흐름에 발맞추어 우리나라도 우리나라 경제 실정에 맞는 재고관리 시스템이 활발하게 연구되어야 겠다.
참고문헌
문상원,.최덕원, 2004 『물류관리』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P76∼85)
이순룡, 1998,『제품 서비스 생산관리론』, 서울 : 법문사(P603∼617).
정충영, 1993,『생산관리론』, 서울 : 무역경영사(P347∼371)
곽수일, 1995,『현대생산관리』, 서울 : 박영사(P308∼323).
이상범, 2000,『현대 생산·운영관리』 서울 : 명경사(P326∼347).
이병찬외3인,1999 『생산운영관리론』 서울 : 형설출판사 (P315∼335)
키워드
추천자료
[재무]합리모형과 점증모형
정책 의제 설정 모형 [발표자료]
복식학급(복식통합교육)의 정의, 복식학급(복식통합교육)의 편제와 장단점, 복식학급(복식통...
[과학탐구]과학탐구(과학적 탐구)의 개념, 과학탐구(과학적 탐구)의 성격, 과학탐구(과학적 ...
[협력학습]협력학습의 국어과 교육(국어교육)과 영어과 교육(영어교육), 협력학습의 수학과 ...
발명교육(발명지도)의 필요성, 발명교육(발명지도)의 목표, 발명교육(발명지도)의 방해요소, ...
[스포츠교육]스포츠교육(스포츠지도)의 정의, 스포츠교육(스포츠지도)의 의의, 스포츠교육(스...
[의사결정의 제모형] 합리모형과 점증모형의 비교와 민주, 혼합주사, 최적, Allison의 모형
정책결정모형) 합리모형, 만족모형, 점증모형, 혼합주사모형, 최적모형, 쓰레기통모형
[원격교육][대학교육][수업모형][전통교육과 비교]원격교육의 개념, 원격교육의 특성, 원격교...
5학년 <(사회)과 교수-학습 과정안 {★세안}> 2. 근대 사회로 가는 길 2-(2) 외세의 침략과 ...
공업경영학 -최적 일회 주문량[EOQ]
지역사회 실천모형 중 웨일과 켐블(Weil-Gamble) 실천모형을 알아보고 실천모형 사례를 제시...
사회복지행정의 이론(고전모형, 인간관계모형, 구조주의모형, 체계모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