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대리인이론 개념
Ⅱ. 본론
1. 대리인 이론의 특징
2. 대리인 문제 역선택과 도덕적 해이
3. 대리인문제의 종류
4. 대리인 문제의 양상
5. 대리인비용
6. 대리인문제의 해결
7. 대리인문제와 최적자본구조
Ⅲ. 결론
1. 대리인이론 개념
Ⅱ. 본론
1. 대리인 이론의 특징
2. 대리인 문제 역선택과 도덕적 해이
3. 대리인문제의 종류
4. 대리인 문제의 양상
5. 대리인비용
6. 대리인문제의 해결
7. 대리인문제와 최적자본구조
Ⅲ. 결론
본문내용
부여된 경영자는 행사 시점의 주가를 부양하기 위해 단기적 시각의 경영을 할 수 있습니다. 기업의 계속적인 성장을 위한 의사결정이 아닌, 자신의 임기 또는 스탁 옵션 행사 시점까지의 단기적 이익을 부풀리기 위해 성장 잠재력을 훼손할 수 있습니다. 스탁 옵션은 정보기술 기업에서 회사의 성장을 도모하기 위해 많이 도입했고 몇 차례 뉴스거리를 만들기도 했지만 논란이 많은 주제입니다. 대리인의 주주화가 정말 가능한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대리인문제의 또 다른 해결책은 감시입니다. 이사회를 통해 경영자의 전횡을 막아보겠다는 취지입니다. 객관성이 높은 외부 인사를 사외인사로 영입해서 이사회의 견제 기능을 강화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대기업 집단의 경우, 사실상 이사회 멤버가 '오너' 경영자의 의지에 좌우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사외이사 역시 본래의 취지에서 벗어나 경영자의 임의적 결정을 추인해주는 역할만 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마지막으로 기업 인수합병 위협은 대리인 문제를 줄이는 효과를 갖습니다. 주주가치 극대화를 위해 노력하지 않는 경영자는 기업의 가치를 떨어뜨려 적대적 인수합병의 위험에 노출됩니다.
7. 대리인문제와 최적자본구조
자기자본의 대리인비용은 내부주주의 지분이 클수록 커집니다. 자기자본비율이 커지면 함께커집니다. 내부주주의 전횡이 용이해지기 때문입니다. 부채의 대리인비용은 부채비율이 높을수록 커집니다. 그러므로 대리인문제는 자본구조결정에 영향을 줍니다.
최적자본구조는 자기자본의 대리인비용과 부채의 대리인비용을 합한 총대리인비용이 가장 적은 구조를 뜻합니다.
Ⅲ. 결론
대리인 이론은 여러 정책문제를 분석하는 데 유용합니다. 특히 대리인의 선정, 보상체계(산출기준 대 투입기준 보상체계, 직접적 유인과 간접적 유인)의 구축, 구조조정의 선택(내부공급 대 민간위탁) 등에 관한 정책문제에 유용합니다.
그러나 대리인 이론은 기본적으로 대리인을 합리적 이기적 존재로 가정하는 것이고 주인은 대리인을 불신하는 관점에서 나온 이론입니다. 그러나 불신과 신뢰의 양 관점에서 볼 때 신뢰보다 불신이 초래하는 비용이 훨씬 많다는 결론입니다.
최근 중시되고 있는 사회자본의 개념은 신뢰, 규범, 네트워크와 같은 요소를 강조합니다. 신뢰는 거래관계에서 발생하는 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다 거시적인 관점에서 신뢰할 수 있는 사회를 만들어나가는 것이 장기적으로 보면 더 타당하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대리인문제의 또 다른 해결책은 감시입니다. 이사회를 통해 경영자의 전횡을 막아보겠다는 취지입니다. 객관성이 높은 외부 인사를 사외인사로 영입해서 이사회의 견제 기능을 강화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대기업 집단의 경우, 사실상 이사회 멤버가 '오너' 경영자의 의지에 좌우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사외이사 역시 본래의 취지에서 벗어나 경영자의 임의적 결정을 추인해주는 역할만 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마지막으로 기업 인수합병 위협은 대리인 문제를 줄이는 효과를 갖습니다. 주주가치 극대화를 위해 노력하지 않는 경영자는 기업의 가치를 떨어뜨려 적대적 인수합병의 위험에 노출됩니다.
7. 대리인문제와 최적자본구조
자기자본의 대리인비용은 내부주주의 지분이 클수록 커집니다. 자기자본비율이 커지면 함께커집니다. 내부주주의 전횡이 용이해지기 때문입니다. 부채의 대리인비용은 부채비율이 높을수록 커집니다. 그러므로 대리인문제는 자본구조결정에 영향을 줍니다.
최적자본구조는 자기자본의 대리인비용과 부채의 대리인비용을 합한 총대리인비용이 가장 적은 구조를 뜻합니다.
Ⅲ. 결론
대리인 이론은 여러 정책문제를 분석하는 데 유용합니다. 특히 대리인의 선정, 보상체계(산출기준 대 투입기준 보상체계, 직접적 유인과 간접적 유인)의 구축, 구조조정의 선택(내부공급 대 민간위탁) 등에 관한 정책문제에 유용합니다.
그러나 대리인 이론은 기본적으로 대리인을 합리적 이기적 존재로 가정하는 것이고 주인은 대리인을 불신하는 관점에서 나온 이론입니다. 그러나 불신과 신뢰의 양 관점에서 볼 때 신뢰보다 불신이 초래하는 비용이 훨씬 많다는 결론입니다.
최근 중시되고 있는 사회자본의 개념은 신뢰, 규범, 네트워크와 같은 요소를 강조합니다. 신뢰는 거래관계에서 발생하는 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다 거시적인 관점에서 신뢰할 수 있는 사회를 만들어나가는 것이 장기적으로 보면 더 타당하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추천자료
변론준비절차에 대한 이론
상담자와 내담자의 상황에 따른 상담의 이론적 접근
[형법]죄형법정주의에 대한 이론과 관련판례의 정리
[민법총칙]부재자제도와 부재자 재산관리 이론과 판례
[교육심리학]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
[한국 예산제도][예산제도][예산]한국 예산제도의 이론적 고찰(예산제도의 의의와 발달과정, ...
[공기업][기업지배구조]공기업의 기업지배구조를 통해 본 기업지배구조의 개선 방안(기업지배...
대상청구권(이론과 사례)
[신공공관리론][신공공관리][신공공관리론 적용 사례][신공공관리모형]신공공관리론의 등장배...
신공공관리론A+완성) 신공공관리론의 주요 특징과 문제점을 설명하고, 동 이론이 어떤 방향으...
기업의 지배구조 및 기업지배구조의 구성요인 체계와 이론체계, 기업지배구조유형
민사특별이론 -사례연습
임금이론 - 동기유발제도의 정의와 기능, 개수제와 시간제, 토너먼트, CEO에 대한 보수, 이연...
공기업 거버넌스governance와 경영책임성 - 공기업 거버넌스 및 책임성과 독점의존이론, 경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