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랑과 그의 시에 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서론

2.김영랑과 그의 시에 대하여

3.김영랑 시의 특성

4.오늘날, 김영랑에 대한 평가

5.결론

본문내용

지는 비극적 황홀이 아니라, 슬픔을 슬퍼함으로 얻어지는 감각적 황홀"을 시적 지반으로 확보한 시인이라 하였다. 거기에 일군의 시문학파가 부는 진군나팔의 선두주자로서 영랑의 시적 관심이나 지향만이 그의 시적 역량의 거의 전부인 것처럼 시문학사의 지평에 떠오른 것이다. 그러나 그가 순수의 대기권에서만 호흡했다고 못 박는 고정관념적 평가가 긍ㆍ부간에 수정되지 않고 있음은 아직도 영랑의 시문학적 공간에 숙제를 남기는 일이 된다. 이미 앞에서 거론해 온 것처럼 영랑의 의기성은 당시 상황에 비추어 볼 때 대사회적 지사상으로, 정묘한 언어와 운율을 다듬고 고루던 순수시적 이상을 버리고 '저항'이라는 맵고 독한 시적 결의를 표면에 내세운 저항시편을 창작하였다. 이러한 작품들은 영랑의 인간적 조신과 그 맥락을 함께 함으로써 일제라는 소용돌이 가운데 어떻게든 자신을 바르게 세워두고자 한 의지와 실천의 마지막 몸부림이 아닐까.
5. 결 론
우리는 한 편의 문학에서 한 사람의 고결한 인격을 만날 수 있다고 해서 그것을 좋은 문학이라고 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이 세상에 대한 매우 특이하거나 탁월한 어떤 정신적 태도가 개진되어 있다고 해서, 혹은 남다른 견문이나 박식이 나타나 있다고 해서 그것이 좋은 문학이 되는 것은 아니다. 그것보다는 아무리 사소한 것일지라도 하나의 인간적 경험에 대한 싱싱한 묘사 한 대목이 문학으로서는 훨씬 가치 있다. 우리는 그러한 묘사를 통해서 딱 잘라 말하기는 어려우나 그러나 분명히 실감되는 어떤 윤택한 감정을 갖게 되는데, 이러한 감정은 우리 자신이 실제로 이 세계와 살아 있는 관계를 맺고 있다는 느낌에서 나오는 것일 것이다. 오늘날 사람들이 도움된다고 하는 인생과 사회에 대한 직접적인 발언만 우리의 삶에 도움을 주는 것이 아니다. 그것과는 관련이 없는 듯한 자연에 대한 상상도 우리의 감정을 풍요롭게 하며, 새로운 비유와 표현의 구사도 언어사용의 폭을 넓힘으로써 실제의 삶을 윤택하게 가꾸는 방법이 될 수 있다. 세계와 자연을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고 그것을 아름다운 언어와 절묘한 기법으로 표현하였다는 사실만으로도 김영랑의 시는 그 나름의 충분한 가치를 지니는 것이다.
참고자료
-김준오, <김영랑> 서강대학교 출판부, 1978
-김종철, <시와 역사적 상상력> 문학과 지성사, 1978
-이향아, <한국시 한국시인> 학문사, 1998
-이지엽, <광주, 전남 현대시문학 지도> 시와 사람, 2001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11.22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46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