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반응비평의 중심 개념들에 대한 정의 (구조주의, 현상학, 주관 비평에 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본론

결론

본문내용

.
결론
독자반응비평에는 두 가지 두드러진 면이 있다. 하나는 독자에게 미치는 문학 작품의 효과, 따라서 독자 반응 분석에서의 도덕적, 철학적, 심리학적, 수사학적 강조이다.(작품이 어떻게 독자에게 <영향을 주는가?> 그리고 어떤 책략이나 방편이 그러한 효과의 산출에 작용하는가?) 둘째 면은 텍스트를 부차적인 위치로 떨어뜨리는 것이다. (독자는 가장 중요하다.) 그래서 독자반응비평은 텍스트의 권위를 공격한다. 여기서 주관주의가 들어온다. 텍스트가 독자의 마음 밖에서는 전혀 존재할 수 없다면, 그 텍스트는 그것의 권위를 잃는다. 객관적 시각으로부터 주관적 시각으로의 이동이 생긴다. 텍스트는 개인적인 독자가 그것이 의미한다고 말하는 것이나 독자들로 이루어진 해석의 공동체가 그것이 의미한다고 말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독자반응비평에 나타난 문제점이나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작품이 한 개인의 경험적 독서에 의하여 구체화될 때 과연 그 구체성에 타당성이 있을까 하는 점이다. 둘째, 독자의 의식이 개인적 또는 집단적인지, 또는 독립적인지 사회구조에 의한 것인지 판단 근거가 애매하다는 것이다. 셋째, 텍스트를 작가와 독자가 공동으로 창작할 때 작자의 심미적 체험이 경시되고 있다는 점이다. 넷째, 한 작가의 여러 작품을 여러 독자가 수용할 때, 독자의 기대 지평과 작자의 기대 지평은 큰 편차가 나기 쉽다는 것이다. 다섯째, 훌륭한 작품을 수용미학적 입장에서 어떻게 가려낼 수 있겠는가 하는 의문점이다. 여섯째, 자칫하면 해석의 홍수 속에 파묻힐 수 있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독자반응비평이 형식주의 등을 비난하지만, 방법론으로 볼 때 그 속성을 잊지 않았을까 하는 점이다.
주관주의의 위험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독자 반응 비평은 문학적 독단주의에 대한 개선책이 되어왔으며, 생존력 있는 문학적 해석의 풍부함, 복잡성, 다양성의 암시이다. 그리고 독자들이 다시는 언어의 의미에 도달하는 데에 완전히 무시되는 일이 없을 것이라고 예언해도 안전할 것 같다.
*참고문헌*
문학비평의 이론과 실재 이명재 저, 집문당, 1997
현대 영미 비평론 정정호 편저, 신아사 , 2000
문학 비평 입문 Wilfred L.Guerin 외 한신문화사 , 1994
문학비평의 이론과 실재 Wilfred L.Guerin 외 한신문화사 , 2000
현대 문학 비평론 김용권 외, 한신문화사, 1994
독자반응비평 차봉희 저, 고려원, 1993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11.23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47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