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삼국시대의 불상
1) 고구려의 불상
2) 백제의 불상
3) 신라의 불상
2. 통일신라기의 불상
1) 통일신라의 불상
3. 통일신라 하대의 불상
- 새롭고 힘있는 부처의 출현-현실적인 개성미
1) 고구려의 불상
2) 백제의 불상
3) 신라의 불상
2. 통일신라기의 불상
1) 통일신라의 불상
3. 통일신라 하대의 불상
- 새롭고 힘있는 부처의 출현-현실적인 개성미
본문내용
불(865)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이러한 불상들이 보이는 미감은 통일기의 것과 매우 다른 것이다. 이제 부처님의 모습이란 알지 못할 미지의 세계에서 도래한 신성한 존재라기보다는 현세 속에 얼마든지 있을 수 있는 현실미가 강조되고, 어떤 보편적인 질서를 대변하는 이상적인 관념미를 떠나 개성미로 대치된다. 중앙 귀족은 인간의 신분이란 제도적 장치 속에서 부여받은 기득권이라 생각해 왔으나, 지방 호족은 자신의 역량으로 일으킨 부와 힘에서 나온 것이라는 속뜻을 지니게 된다. 이러한 개성적이고 도전적이며 현세적인 느낌의 불상은 후삼국시대, 고려시대 지방에서 조성된 불상들의 공통적 모습이 된다. 곧 그것은 8세기의 지배층이 보여 준 정제된 이데올로기의 세련된 형식미와는 다른 미감(美感)을 지니게 되는 것이다.
추천자료
삼국시대교육-교육철학
[A+ 레포트]삼국의 불교문화 비교 분석
삼국시대의 문학
삼국시대의 교육
[신라시대][신라시대 건축][골품제][신라시대 복식][신라시대 불교][신라시대 군사제도][포석...
[신라시대교육]신라시대교육(신라교육) 기관 국학과 화랑도, 신라시대교육(신라교육) 제도 독...
삼국시대의 예술
[한국의 관광입지와 관광산업] 우리나라의 관광입지조건과 관광산업 (삼국시대 관광, 고려시...
Chapter.6 신라의 삼국통일 : 신라삼국통일 과정.pptx
화장(化粧/Make Up)의 기원, 서양 화장, 한국 화장(상고시대,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한국문화의 이해_술의 기원, 술의 어원, 전통시대의 술(원시시대의 술, 삼국시대의 술, 고려...
화장(化粧)의 역사 (화장의 기원, 고대시대의 화장, 삼국시대의 화장, 고려시대의 화장, 조선...
한국역사에서의 교육철학 {삼국시대·고려시대·조선시대의 교육과 철학, 개화기 민족수난기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