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분석 감상] 배수아의『푸른사과가 있는국도』분석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작가소개
☆ 줄거리
☆ 분석 및 해석
☆ 배수아 소설의 몇 가지 낯설고 불안한 매력

본문내용

의 낯섦의 한 요인이다.
배수아 소설에 나타나는 근원적인 이미지는 ‘공주(프린세스)’ 콤플렉스이다. 요컨대 어린 시절 ‘공주’로서 정체성이 부여되었다가 그 유년 시절이 깨어지고 나서 찾아온 권태의 시대를, 이미지­환상의 세계로 대응하는 세대의 감수성, 그것을 배수아 소설의 진정한 낯섦이다.
배수아의 주인공들은 이미 이 사회에 대해서 새롭게 기대할 만한 것도, 깨달을 만한 것도 가지고 있지 않다. 그것은 주인공들이 어른이 되기를 거부하고 ‘아이’(내지는 공주)의 단계에 머물러 있어서가 아니라, 현실의 속악한 세계를 어른이 되기 전에 이미 다 깨닫고 말았기 때문이다. 그들은 해체되어가는 가족으로부터 자라나 가족 속에서는 자신의 귀속할 공동체를 찾지 못한 채, 주위에 어울리는 친구들 혹은 이성간의 사랑 속에서 그 대안적 공동체를 찾고자 하지만, 갈가리 찢어놓기만 하는 현실의 힘은 그마저도 허용하지 않는다. 그 뒤 그들은 자본주의적 일상의 세계에 편입된다. 주인공들은 가족을 비롯해 어떠한 몸 기댈 곳도 갖지 못한 채 고립되고, 불안하고, 그것으로 인한 고통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들에게 이러한 불안한 삶을 선사한 최초의 동기는 무엇보다 가족의 해체에 있다.
주인공이 성장한 어느 시점에서 과거의 기억을 들추어내는 것이 배수아 소설의 가장 중요한 플롯이다. 그에 따라 자연스레 어린 시절에서부터 자라나기까지의 과정이 회상되고 있고, 그래서 배수아의 소설을 성장소설의 일종으로 본다. 그러나 배수아 소설에 결여되어 있는 것은 성장의 ‘결말’ 즉 ‘사회와의 성공적이고 완전한 절충’이 아니라 성장의 ‘과정’이다.

키워드

  • 가격1,4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4.11.23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48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