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과 동양행정론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주역과 동양행정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전체 논문의 요약.
1. 동양행정 이란
2. 동양학의 학문적 근원
3. 동양과학과 서양과학의 차이점

Ⅱ. 동양행정론의 개념

Ⅲ. 동양학의 학문적 체계와 과학성
1. 동양학의 학문적 영역
2. 동양과학의 학문적 체계
3. 동양과학의 학문적 인식체계모형
4. 동양학의 학문적 성격
5. 동양과학(역학)과 서양과학의 비교고찰

Ⅳ. 현대사회에 연결 가능한 동양행정론의 주요 연구 분야들

Ⅴ. 결론

본문내용

러나 그렇다고 우리 것은 모두 버리고 서구적인 것은 무조건 받아드리는 것도 엄청난 문제이다. 즉 서구적인 것도 우리 것에 비해서 앞서고 바람직하며, 문화와 체질에 맞는가를 따져봐서 취사선택하는 현명한 판단이 중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리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주체적인 사고와 태도가 우선적으로 제일 필요하다. 그런데 주체적 자세와 사고는 저절로 생기는 것이 아니다. 주체적 사고와 태도를 갖기 위해서는 먼저 우리 것을 철저하게 제대로 알아야 한다. 모두가 사람은 동양인이고 한국인이지만, 모든 사고와 판단은 거의 서양적인 학문에 의한 판단과 사고가 지배하고 있다. 한마디로 육체적으로는 동양인이고 한국인이지만 의식적으로는 서구화된 서양인이다. 때문에 우리의 것을 제대로 알고 개발시키는 것이 우리 지식인들의 역할이다.
― 처음 논문을 읽기 시작하면서 한문도 많이 있고 해서 조금은 어렵다는 생각이 들었지만, 한 장 한 장 읽어나가면서 이 논문이 단순한 이론으로서 다가오는 것이 아니라 마음으로 조금씩 다가오고 느낄 수 있었다. 정말 서양의 것으로 만연한 이 시대에 지식인들마저도 서양의 것에 도취된다면 우리의 것은 영영 찾을 수 없게 될 것이다. 지금부터라도 동양의 것, 우리의 것의 소중함을 알고 이것을 조금 더 많은 사람들이 연구하고 학문을 체계적으로 발전 시켜서 우리의 것이 더 이상 미신으로만 여겨지는 것이 아니라 우리 고유의 과학적인 학문이 되어야 하는 필요성을 느꼈다. 나 또한 아직은 미약하지만 우리 것을 사랑하는 마음을 조금씩 키워나갈 것이다. 이런 소중함 깨달음을 기회를 주신 권일찬 교수님께 감사드린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4.11.23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48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