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전통 색상 -인사동중심으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크의 조화, 일상복의 하얀 백의 민족상징의 옷.
그래서 사뭇 진지한 자세로 자료수집에 임하게 되었다. 사진을 찍기 위해 가게마다 일일이 꼼꼼하게 살피고 원하는 자료가 있으면 촬영금지인 가게에서도 양해를 구하고 들어가서 사진을 찍었다.
이제까지의 전통 색에 관한 자료들을 살펴봐서도 알 수 있듯이 오방색은 단순히 다섯 가지 색상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광범위한 색상군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간색과 잡색에 이르는 다양한 색상으로 전개되었으며 생활전반에 걸쳐 다양한 색상이 활용되었다.
하지만 일반인들뿐만 아니라 디자이너들도 전통 색을 통념적으로 이해한 나머지 한국의 색이라고 하면 오방색만을 떠올린다. 이로 인해 담색조의 다양한 전통색상들이 충분히 활용되지 못하는 것은 물론이고 전통색상들에 대한 여러 가지 편견과 오해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는 디자이너들의 전통색상에 대한 인식 부족에서 비롯된 것이며, 보다 근본적으로는 지금의 색채학 교육에서 한국의 전통적 색상 체계에 관한 내용이 전혀 포함되어 있지 않거나 부분적으로만 다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여겨진다. 전통의 색 체계와 개념이 지금의 산업사회에 그대로 적용될 수는 없지만 각 나라의 고유한 색상을 복원하고 활용하는 일이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된 지금, 인식과 노력의 부족으로 엄연히 존재했던 전통의 색상마저도 일깨우지 못하는 실수를 범해서는 안될 것이다.
전통 색상에 관한 연구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색상의 재현과 표준화 작업인데, 과거에 사용했던 염료나 물감들이 대부분 지금은 사용되지 않는 것들이고 문헌상으로만 전해지는 색상의 명칭들이 많기 때문에 염료의 연구를 통해 그 색상을 재현하고 정확히 어떤 색상이라고 수치화 혹은 표준화하는 작업이 필요한 것이다. 이에 전통 색을 활용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연구가 이뤄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전통 색채를 활용하는 각 분야의 디자인 작업에 있어서 피상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오방색에 국한된 편협한 색채 활용이 이루어져서는 안될 것이며 이를 위해 각 개인과 디자인계 전반의 더 깊은 관심과 이해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자료를 정리하느라 많은 사진과 글을 보며 우리나라 전통 색상의 멋에 많이 감탄했다. 정말이지 이처럼 아름답고 소중한 한국의 전통 색상, 이정도면 지킬만한 가치가 충분하고도 남는듯하다.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인 것이다. 우리의 전통을 잘 살려 한국을 더 빛내고 선진화 시켜야 할 것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05.22
  • 저작시기200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67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