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한무제의 탄생
2.한의 전성기
(1) 내정
(2) 유학의 관학화
(3) 재정 재건정책
㉠염철의 전매제(B.C 119년 실시)
㉡균수평준법(B.C 110년 실시)
2)외정
(1)대흉노정책
(2)월과의 관계
2.한의 전성기
(1) 내정
(2) 유학의 관학화
(3) 재정 재건정책
㉠염철의 전매제(B.C 119년 실시)
㉡균수평준법(B.C 110년 실시)
2)외정
(1)대흉노정책
(2)월과의 관계
본문내용
하였다. 그리고 무제는 자주 남월에 사자를 보내어 왕의 입조를 요구하였으나 조호 이하의 제왕은 병 등을 핑계로 입조하지 않았다. 입조하면 한의 제후왕과 동렬로 취급받고 내번화되어 남월국의 주체성이 상실되는 것이 두려웠기 때문이다. 그러나 조호의 손자 조흥의 대가 되자 모친이 중국인이었기 때문에 한의 요청을 승낙하여 입조하기로 하였다. 남월의 대족이었던 승상 여가는 왕의 입조에 반대하여 원정 원년(B.C 113)에 왕과 그 모친 및 한의 사자를 죽이고 흥의 배다른 형으로 월나라 사람인 건덕을 옹립하여 한에 반항하였다. 소위 여가의 난이다. 그래서 무제는 다음해 가을 노박덕, 양복 등에게 대군을 주어 대규모의 남월 정벌을 감행하였다. 각각 별도로 도읍 번우를 공략하여 여가를 살해하고 남월을 멸망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