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09000과 ISO14000 에 대하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IS09000과 ISO14000 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ISO 9000

Ⅱ. ISO 14000

Ⅲ.ISO인증의 문제점

본문내용

인정기구(QSAR)가 출범했다. 지역별로는 아태지역 인정기관 협력기구(PAC)와 유럽상호인정기구(EAC)가 생겨났고 지난해 초 제1차 IAF회의에서 국제 다자간 상호인정협정(MLA)이 조인되었다. 한국도 최근 PAC확인심사를 통과, 초는 9월부터 상호 인정국으로 부상한다.
두번째로 ISO인증의 경우 중소기업에서는 많은 돈을 들여 인증을 따고도 반납하거나 취소하는 사례가 IMF이후 잇따르고 있고 지난해 신규로 인증을 획득한 업체도 급격히 줄었는데 이는 대기업이 아니라 중소기업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부도난 중소기업들이 많은 것도 원인이 되고 특히 인증에 드는 비용이나 사후관리비용을 제대로 낼 수 없기 때문이다. 또 중소기업들은 인증 획득 시 공공기관 우선납품, 외국인 산업연수생 우선 배정, 기술신용보증기금 기술평가시 우대 등 법적으로 주어지는 혜택이 제대로 시행되지 않는 것도 한 몫 하고 있다고 입을 모았다. 인증획득이 없으면 유럽이나 미국등 대부분 국가 에서 수출을 포기해야 하므로 인증획득과 관리에 드는 비용을 지원할 것과 약속한 혜택이 잘 지켜져야 한다고 중소기업들은 주장하는 실태다. 또 한국인증의 경우 인증을 획득한 후 많은 마크를 제품에 부착시킬 수 있지만 과연 '다다익선'일까? 꼭 그렇지만은 않다. 비슷비슷한 인증이 한둘 이 아니기에 인증을 얻기 위한 비용만 날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결국 제 몸에 맞은 인증마크를 고를 일이다.
■참고자료
(주)공업저널취재부, 무한경쟁시대기업생존전략ISO인증과 한국인증
ISO 관련 인증컨설팅업체(주) ISOBANK홈페이지, http://www.isobank.com/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4.11.27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55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