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상대기준평가(상대평가)
(1) 개념
(2) 장점
(3) 단점
2.절대기준평가(절대평가)
(1) 개념
(2) 장점
(3) 단점
3. 절대평가와 상대평가의 비교
4. 진단평가
5. 형성평가
6. 총괄평가
7. 진단평가, 총괄평가, 형성평가의 비교
8. 주관식 평가와 객관식 평가의 비교
(1) 개념
(2) 장점
(3) 단점
2.절대기준평가(절대평가)
(1) 개념
(2) 장점
(3) 단점
3. 절대평가와 상대평가의 비교
4. 진단평가
5. 형성평가
6. 총괄평가
7. 진단평가, 총괄평가, 형성평가의 비교
8. 주관식 평가와 객관식 평가의 비교
본문내용
집단성과를 비교할 수 있는 정보 제공
학습지도의 장기적 질 관리에 도움
7. 진단평가, 형성평가, 총괄평가의 비교
진단평가
형성평가
총괄평가
기능
배치:
선행기능의 보유 지속 유무 결정
학습전 성취수준의 결정
교수방법의 대안에 관련된 특서에 따른 학생의 분류
학습단위에 관련된 학생의 진보상태를 교사와 학생에게 피드백
학습단위의 구조에 따라 오류를 확인함으로써 교정 교수 방법의 대안을 제시
학습단위, 학기, 학년말에 하생 성적의 판정 및 자격 부여
시간
학습시초 : 학습시초, 학기, 학년의 시초에 배치를 위하여
교수도중 : 정상수업으로는 학생이 계속해서 도움을 못 받을 때
교수 도중에
학습단위, 학기, 학년의 끝에
평가
에서 강조점
지적, 정의적, 심리운동적 행동
신체적, 환경적, 심리적 요인
지적 행동
일반적으로 지적 행동
교과에 따라 심리운동적 행동, 정의적 행동
검사
도구 형태
사전검사를 위한 형성 및 총괄평가의 도구
표준화학력검사
표준화진단검사
교사제작의 평가도구
학습목적에 맞게 특별히 고안된 형성평가 도구
총괄평가 도구
진단평가
형성평가
총괄평가
교육
목표
의
표집
방법
각 선행기능 행동의 구체적 표본
비중을 둔
교과목표의 표본
특별한 교수형태에 관계있다 고 생각되는 학생변인의 표본
신체적, 정서적, 환경적 행동의 표본
학습단위의 위계에 포함된 모든 관련 있는 과제의 구체적 표본
비중을 둔 교과목표의 표본
문항난이도
선행기능 및 능력의 진단: 대부분 쉬운 문항, 65% 이상의 난이도
미리 구체화할 수 없음
평균난이도가 35-70%이고 대단히 쉬운 문항, 대단히 어려운 문항도 포함
채점
규준지향 및 목표지향 겸용
목표지향
일반적으로 규준지향이나 목표지향도 사용
점수의 보고방법
하위기능별 개인 프로파일
학습위계에 포함된 각 과제에 대한 급락의 개인점수의 유형
목표에 비추어 본 총점 혹은 하위점수
8. 주관식평가와 객관식평가의 비교
구분
주관식평가
객관식평가
반응의 자유도
넓음
좁음
반응의 특색
문항이 요구하는 관련지식 뿐만 아니라 구상력, 표현력 등이 내포됨
문항이 요구하는 관련지식만 내포됨
반응의 강조점
종합적 전체적 이해가 요구됨
정확한 지식이 요구됨
문항표집
일반적으로 부족
충분히 할 수 있음
채점의 객관도
비교적 낮음
비교적 높음
추측요인의 작용
비교적 적음
비교적 많음
출제 소요시간
적음
많음
채점 소요시간
많음
적음
학습지도의 장기적 질 관리에 도움
7. 진단평가, 형성평가, 총괄평가의 비교
진단평가
형성평가
총괄평가
기능
배치:
선행기능의 보유 지속 유무 결정
학습전 성취수준의 결정
교수방법의 대안에 관련된 특서에 따른 학생의 분류
학습단위에 관련된 학생의 진보상태를 교사와 학생에게 피드백
학습단위의 구조에 따라 오류를 확인함으로써 교정 교수 방법의 대안을 제시
학습단위, 학기, 학년말에 하생 성적의 판정 및 자격 부여
시간
학습시초 : 학습시초, 학기, 학년의 시초에 배치를 위하여
교수도중 : 정상수업으로는 학생이 계속해서 도움을 못 받을 때
교수 도중에
학습단위, 학기, 학년의 끝에
평가
에서 강조점
지적, 정의적, 심리운동적 행동
신체적, 환경적, 심리적 요인
지적 행동
일반적으로 지적 행동
교과에 따라 심리운동적 행동, 정의적 행동
검사
도구 형태
사전검사를 위한 형성 및 총괄평가의 도구
표준화학력검사
표준화진단검사
교사제작의 평가도구
학습목적에 맞게 특별히 고안된 형성평가 도구
총괄평가 도구
진단평가
형성평가
총괄평가
교육
목표
의
표집
방법
각 선행기능 행동의 구체적 표본
비중을 둔
교과목표의 표본
특별한 교수형태에 관계있다 고 생각되는 학생변인의 표본
신체적, 정서적, 환경적 행동의 표본
학습단위의 위계에 포함된 모든 관련 있는 과제의 구체적 표본
비중을 둔 교과목표의 표본
문항난이도
선행기능 및 능력의 진단: 대부분 쉬운 문항, 65% 이상의 난이도
미리 구체화할 수 없음
평균난이도가 35-70%이고 대단히 쉬운 문항, 대단히 어려운 문항도 포함
채점
규준지향 및 목표지향 겸용
목표지향
일반적으로 규준지향이나 목표지향도 사용
점수의 보고방법
하위기능별 개인 프로파일
학습위계에 포함된 각 과제에 대한 급락의 개인점수의 유형
목표에 비추어 본 총점 혹은 하위점수
8. 주관식평가와 객관식평가의 비교
구분
주관식평가
객관식평가
반응의 자유도
넓음
좁음
반응의 특색
문항이 요구하는 관련지식 뿐만 아니라 구상력, 표현력 등이 내포됨
문항이 요구하는 관련지식만 내포됨
반응의 강조점
종합적 전체적 이해가 요구됨
정확한 지식이 요구됨
문항표집
일반적으로 부족
충분히 할 수 있음
채점의 객관도
비교적 낮음
비교적 높음
추측요인의 작용
비교적 적음
비교적 많음
출제 소요시간
적음
많음
채점 소요시간
많음
적음
추천자료
[미술교과평가]미술과교육평가(미술교육평가)의 개념과 역할, 미술과교육평가(미술교육평가)...
[교육평가][교과평가]국어교과교육평가(국어과교육평가), 영어교과교육평가(영어과교육평가),...
[과학과교육평가]과학교육평가(과학과평가)의 원칙, 과학교육평가(과학과평가)의 목적과 기능...
[교육평가]국어과평가(국어교육평가), 영어과평가(영어교육평가), 수학과평가(수학교육평가),...
[교육평가]교육평가의 정의, 교육평가의 기능, 교육평가의 모형, 교육평가의 제 형태(임의평...
[도덕교과평가][도덕과교육평가][도덕과]도덕과(도덕교육)의 의미, 도덕과(도덕교육)의 성격...
[미술교과 교육평가]미술과평가(미술교육평가)의 의미와 관점, 미술과평가(미술교육평가)의 ...
미술평가(미술과교육평가)의 의의와 관점, 미술평가(미술과교육평가)의 고려사항, 미술평가(...
[교육평가][교육평가 이론][교육평가 개선방안][수행평가]교육평가의 정의, 교육평가의 목적...
[한문과교육평가][한문교과교육평가]한문교육평가(한문과교육평가)의 계획과 한문교육평가(한...
체육과평가(체육교육평가) 기본방향과 평가영역, 체육과평가(체육교육평가) 오해와 편견, 체...
[학습평가][교육평가][과학][도덕][한문][실과][체육]과학과교육의 학습평가, 도덕과교육의 ...
[학습평가][교육평가][수학][국어][과학][도덕][실과][음악][체육]수학교육 학습평가, 국어교...
[학습평가][교육평가]국어과(국어교육)의 학습평가, 영어과(영어교육)의 학습평가, 수학과(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