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유에 대한 정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분유에 대한 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분유의 정의
2.분유의 역사
3.분유의 분류
4.분유의 성분 및 규격
5.분유의 가공공정
6.분유상품
7.분유 외 건조 유제품
8.분유의 산업현황

본문내용

거하여 만든다. 탈염의 수준은 보통 25%, 50% 및 90%이다.
건조제품의 회분함량은 7%를 초과하지 않는다. 탈염유청은 침전, 여과 및 투석
등과 같은 물리적인 분리기술로 제조된다. 산도는 안전하고 적당한 pH조정제의
첨가로 조정될 수 있다.
(4) 유당분말
☞ 유당은 농축 과정 중에 유청으로부터 제거된다. 우유속의 당류로서 부드러운
단맛을 지닌 백색에서 크리미한 백색의 결정이다. 무수물 또는 한 분자의
물을 함유한 형태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존재한다.
9. 분유의 산업현황
※ 2004년 현재 혼합분유 수입 1만5천여ton 들여와...지난해보다 85%증가
- 올 들어 혼합분유 수입량이 급증하면서 국내 우유 수급 상황이 또 악화될 우려가 높다는
지적이다. 농림부의 축산물 수입검역실적에 따르면 올 1~5월 수입된 혼합분유는 1만5천137
톤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에 수입한 1만252톤을 넘어선 데다 지난해 같은 기간의
8천175톤에 비해서도 85%나 많은 양이다. 관계전문가들은 현재의 추세대로라면 올 혼합
분유의 수입량은 3만톤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혼합분유 수입량이 급증한 것은 정부가 우유 수급 불균형을 해결하기 위해 추진한 폐업 및
기준원유량 감축 등으로 원유 생산량이 준 데 따라 낙농진흥회의 잉여원유 재고량이 크게
감소됐기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유가공업체의 한 관계자는 『올해의 경우 국내산 탈지분유 값이 수입산 혼합분유(1㎏당
3천850원 정도)보다 400원 가량 비싼 데다 워낙 경기가 좋지 않아 원가절감 차원에서
불가피하게 수입에 나선 측면이 없지 않다』고 말했다. 여기에 유업체가 올 하반기에 분유
부족 사태를 우려한 나머지 원료 확보에 나선 것도 혼합분유 급증의 한 원인으로 분석됐다.
혼합분유 수입량이 늘면서 지난해 12월 말 7천877톤까지 줄었던 국내 분유 재고량은 지난
5월 20일 기준 9,182톤으로 17%가량 다시 증가했다. 이와 관련, 낙농가들은 아직도 우유
수급 불균형 현상이 가라않지 않은 만큼 혼합분유 수입을 자제해줄 것을 유업체에 촉구하고 나섰다.
이승호 한국낙농육우협회 회장은 『혼합분유의 수입이 허용돼 있다고는 하지만 국내 분유
값이 다소 올랐다고 해서 낙농 현실을 외면한 채 기업 이익만을 위해 분유를 수입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면서 『앞으로 유가공업체 등에 분유 수입 자제를 촉구하는 공문을
보내는 등 다각적인 대응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남양, 일동, 미드존슨사 등 1천억 프리미엄 시장 쟁탈전
- 급격한 출산율 감소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분유 업체들이 프리미엄 제품을 통해 돌파구를
찾고 있다. 프리미엄 제품은 기술력과 100% 유기농 재료 사용 등 원료부터 차별화 시킨
고급 제품들로 「아기들에게 최고의 제품을 주겠다」는 부모들의 호응을 얻은 데다 해외
시장으로 진출하면서 해마다 1520%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현재 분유 시장에는 남양유업, 매일유업, 일동후디스, 파스퇴르 등 국내 기업에 이어
미드존슨사, 한국애보트 등 다국적 기업까지 가세, 각축전을 벌이고 있다.
지난해 조제분유 전체 시장은 2천500억원 규모. 이중 앱솔루트 명작, 임페리얼드림XO,
트루맘뉴클래스, 씨밀락, 산양분유 등 프리미엄제품들이 전체 조제 분유 시장의 40%가 넘는
1천억원대를 차지하고 있다.
국내의 한정된 시장 대신 외국 시장으로 판매 영역을 확대하는 수출 또한 본격화될 전망이다.
남양유업은 지난해 11월 중국 국영기업인 베이징무역공사와 연간 국내 조제분유 판매액의
15%에 해당하는 3천400만 달러의 정식 분유 수출계약을 체결한 데 이어 최근에는 베트남,
싱가포르 등 동남아 시장을 중심으로 프리미엄 분유 수출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국내 시장의 점유율을 높이기 위한 마케팅도 치열하다. 병원, 산후조리원에 대한 마케팅은
물론 홈페이지를 통한 출산 육아관련 정보 제공에 이어 회원제로 임신과 육아에 관한
교실을 운영하면서 고객과 기업의 커뮤니티를 강화하고 있다.
남양유업과 남양산업(현 일동후디스 전신)이 독점하던 이유식 시장은 1980년대 말 매일유업이
맘마밀로 시장에 뛰어들고, 남양산업이 일동제약에 인수 돼 일동후디스로 재탄생 하면서
지각 변동이 일어났다.
1996년 하반기부터 시장규모에 정체를 보이기 시작한 이유식 시장 역시 남양유업의 스텝
그래뉼생, 명품유기농, 일동후디스의 후디스 아기밀, 파스퇴르의 유기농장100 등 고가
프리미엄 제품들이 연이어 출시되면서 판매량이 소폭 상승해 1천억원 규모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특히 이유식 시장은 화학비료, 농약, 성장 호르몬 등을 전혀 넣지 않은 천연원료만을 사용한
유기농 이유식이 각광을 받고 있어 친환경농산물을 원료로 하는 유아식 제품 개발이 늘어날 전망이다.
일동후디스는 국내 최초로 면역 성분과 두뇌 개발 성분을 처방하여 국제식품규격(CODEX)
유아식 영양성분 규격에 맞게 만든 최고가의 후디스 아기밀을 발매, 프리미엄 이유식 시장에불을 지폈다.
분유이유식 업체들은 『웰빙 바람은 아기들에게도 예외가 아니어서 프리미엄 제품의 판매
증가와 선전은 계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분유의 현재 시장형태를 전체적으로 보면 모유성분과 비슷한 분유를 많이 생산하고 판매
하고있으며 그만큼 소비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정확히 밝혀지지 않은 모유성분과
조제분유의 경우 모유의 성분을 비슷하게 하더라도 흡수율에서 차이가나 모유에 비할것이
못된다고 합니다 분유가 모유의 능력을 따라 올려면 더 많은 연구가 필요 할 것입니다.
※참고문헌
우유와 유제품의 과학 김영교 김영주 김현욱 선진문화사(2000.01.25)
http://foodi.iin.co.kr/한국 식품정보원(분유)
http://www.konkuk.ac.kr/~heuk/jdfarm/milkstory/mil34.htm
http://www.yahoo.co.kr 백과사전
http://www.dairy.co.kr/kawoo3.html 주식회사 가우통상
http://www.choeunfood.com/ 조은식품공업사
R.C.Vasavada, Pathogen Bacteria in Milk - A Review 논문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4.12.02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67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