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서론
§ 본론
(1) 러시아 정교
(2) 한국 불교
§ 결론
§ 본론
(1) 러시아 정교
(2) 한국 불교
§ 결론
본문내용
미래를 위하려면 현제를 함부로 할 수 없는 것이다. 이러한 철저한 인과 관계의 사상이 바로 불교의 연기법이며 이것은 ‘화엄경’을 그 총체로 한다.
그러면 러시아 정교회의 세계관은 어떠한가? 러시아 정교신앙은 겸손과 자비, 자기 비하, 자기 희생을 바탕으로한 공동체 우선주의를 그 근본으로 둔다. 종교적 모체였던 비잔틴 제국이 쇠퇴하면서 ‘모스크바 제 3로마론’이라는 민족주의 적인이데올로기가 발생하였고 이러한 사상을 바탕으로 한 황제 교황주의의 발전은 러시아 정교를 믿는 러시아 인들을 러시아란 공동체 안에서 하나로 묶는 구심점이 되었다. 이처럼 러시아 정교회는 다분히 민족주의 적인 성향을 지녔으며 공동체를 우선시하는 종교로써 개인적인 해탈, 즉 깨달음을 근본으로 하는 한국의 불교의 세계관과 큰 차이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 결론
이렇듯 예상외로 러시아 정교회와 한국의 불교는 여러 가지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며 근본적 세계관에서는 또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고 생각된다. 러시아 정교는 러시아인들의 인식과 문화를 결정하는 핵심 종교이다. 이러한 러시아 정교에 대한 이해는 우리에게 다른 모습의 나라로 다가오고 있는 러시아를 만나는데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일 일 것이다. 불교에서 말하듯 모든 일은 원인이 있고 그에 따른 결과가 있다. 러시아 정교회가 러시아 인에게 끼친 영향과 그 사상을 이해함으로써 러시아의 미래를 볼 수 있을 것이고 이로써 우리가 러시아의 관계속에서 이를 이용하고 상호 협력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될 것이라 확신한다.
『이것이 있으므로 저것이 있고
이것이 생기므로 저것이 생긴다.
이것이 없으면 저것도 없고
이것이 사라지면 저것도 사라진다.』
[잡아함경]
§ 참고문헌 & 웹 사이트
http://segero.hufs.ac.kr
http://cafe.empas.com/jinguja
http://worldnet.kbs.co.kr
http://lord.kehc.org/essay/chistory/russia.htm
http://www.epascal.co.kr/
http://www.korthodox.org/index.html
http://www.russia.co.kr/Doc/religion.asp
http://www.buddhism.or.kr/
허승철, 이항재, 이득재 [러시아 문화의 이해] 대한교과서 (1998)
이이화 [역사속의 한국불교] 역사비평사 (2002)
고익진 [불교의 체계적 이해] 새터 (1994)
그러면 러시아 정교회의 세계관은 어떠한가? 러시아 정교신앙은 겸손과 자비, 자기 비하, 자기 희생을 바탕으로한 공동체 우선주의를 그 근본으로 둔다. 종교적 모체였던 비잔틴 제국이 쇠퇴하면서 ‘모스크바 제 3로마론’이라는 민족주의 적인이데올로기가 발생하였고 이러한 사상을 바탕으로 한 황제 교황주의의 발전은 러시아 정교를 믿는 러시아 인들을 러시아란 공동체 안에서 하나로 묶는 구심점이 되었다. 이처럼 러시아 정교회는 다분히 민족주의 적인 성향을 지녔으며 공동체를 우선시하는 종교로써 개인적인 해탈, 즉 깨달음을 근본으로 하는 한국의 불교의 세계관과 큰 차이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 결론
이렇듯 예상외로 러시아 정교회와 한국의 불교는 여러 가지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며 근본적 세계관에서는 또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고 생각된다. 러시아 정교는 러시아인들의 인식과 문화를 결정하는 핵심 종교이다. 이러한 러시아 정교에 대한 이해는 우리에게 다른 모습의 나라로 다가오고 있는 러시아를 만나는데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일 일 것이다. 불교에서 말하듯 모든 일은 원인이 있고 그에 따른 결과가 있다. 러시아 정교회가 러시아 인에게 끼친 영향과 그 사상을 이해함으로써 러시아의 미래를 볼 수 있을 것이고 이로써 우리가 러시아의 관계속에서 이를 이용하고 상호 협력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될 것이라 확신한다.
『이것이 있으므로 저것이 있고
이것이 생기므로 저것이 생긴다.
이것이 없으면 저것도 없고
이것이 사라지면 저것도 사라진다.』
[잡아함경]
§ 참고문헌 & 웹 사이트
http://segero.hufs.ac.kr
http://cafe.empas.com/jinguja
http://worldnet.kbs.co.kr
http://lord.kehc.org/essay/chistory/russia.htm
http://www.epascal.co.kr/
http://www.korthodox.org/index.html
http://www.russia.co.kr/Doc/religion.asp
http://www.buddhism.or.kr/
허승철, 이항재, 이득재 [러시아 문화의 이해] 대한교과서 (1998)
이이화 [역사속의 한국불교] 역사비평사 (2002)
고익진 [불교의 체계적 이해] 새터 (1994)
키워드
추천자료
문명의 충돌
지리학개론 제4장 종교부분 요약
문명의 충돌을 읽고
슬라브주의와 서구주의
기독교란 무엇인가?
발칸분쟁
[비잔틴제국][비잔틴미술][비잔틴제국 문화][비잔틴미술 근원][비잔틴미술 장식미술][비잔틴]...
[세계의역사E]오스만제국의 탄지마트(Tanzimat) 관련 자료를 인터넷을 활용하여 3건을 선정하...
2016년 1학기 세계의역사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7년 1학기 세계의역사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7년 1학기 세계의역사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7년 1학기 세계의역사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세계선교역사] 동양과 서양의 새로운 시작
2018년 1학기 세계의역사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