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관에서의 혼돈과 정리를 통해서본 우리의 현대 정치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의 인물과 맞지 않아 사실성이 결여되는 모순성이 보인다. 극에서 늙은 주인이 극 후반부에 가서 연민을 불러 일으킬 정도의 인간적인 모습으로 그려진 것은 1960년 3월의 정.부통령 선거에서 경찰까지 동원하여 불법을 자행하여 독재 정권을 유지한 것과는 맞지 않으며 극에서 처럼 늙은 주인이 자진해서 사람들에게 자유를 준 것은 1960년 4월 혁명으로 인해 대학생을 중심으로 온 국민이 자유당 정부를 무너뜨리고 이승만을 하야시켰다는 역사적인 사실과는 맞지 않는다. 또한 바악이라는 인물이 나중에 자기 방식의 미술관에서의 혼돈과 정리가 잘못 되었음을 깨닫고 선우가 그린 그림으로 사람들을 통치하는 모습은 사실 유신 헌법까지 만들어 국민의 자유를 억압하고 독재 정치를 해온 박정희 정권과는 맞지 않는다. 또한 박정희 정권이 장면을 중심으로 한 내각 책임제를 무너뜨린 것이지 극에서 처럼 이승만 정권에 혁명을 일으킨 것은 아니다. 이러한 사실성의 결여에도 불구하고 작가는 작품 [미술관에서의 혼돈과 정리]를 통해서 우리의 현대사를 반영하고 비판하고자 하였다. 즉 오랫 동안 억압된 사회 현실, 자유를 성숙하게 받아 들이지 못했던 국민, 그것을 기회로 정권을 획득한 독재 정권의 모습 등은 바로 우리의 모습이었던 것이다.
작가는 이 작품을 통해서 궁극에 가서는 자유의 소중함 그리고 성숙하게 자유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어리석은 대중, 독재 정치의 모습등을 통해서 우리의 현대사를 풍자, 비판하고 결국에 가서는 우리 스스로가 우리의 현대사에 책임 의식을 갖고 함께 아파하고 깨달아서 보다 성숙된 사회와 정치가 실현되기를 희망하고자 했다.

추천자료

  • 가격1,2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4.12.04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70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