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벽)을 쌓았다.
·함안문암산성
종목 : 시도기념물 182호
수량 : 62,441㎡(2필)
지정일 : 1997. 12. 31.
소재지 : 경남 함안군 산인면 모곡리 산11, 송정리 산25
소유자, 관리자 : 함안군수
경상남도 함안군에 있는 이 산성은 해발 197m의 자구산 장원봉과 북서쪽으로 이어진 해발 167m의 산 정상에 각각 남아 있는데, 문암 큰 성과 작은 성으로 부른다. 전체 둘레는 1100m 이고 동남쪽의 일부를 제외하고는 모두 양호한 상태로 남아 있으며, 성 폭은 대개 3m 정도로 추정한다. 큰 성은 장원봉의 8부능선 부분에 거의 둥근모양의 타원형으로 돌아가며 쌓았고, 성벽은 바깥을 돌로 쌓고 안쪽은 흙과 잡석으로 밋밋하게 만들었다.
·함안성점산성
종목 : 시도기념물 180호
수량 : 71,366㎡
지정일 : 1997. 12. 31.
소재지 : 경남 함안군 함안면 북촌리 산75외 3필
소유자, 관리자 : 함안군
경상남도 함안군 함안면 북촌리에 있는 이 산성은 계곡을 둘러싸며 주위의 산 능선을 따라 일정하지 않은 모양으로 쌓은 산성이다. 성의 둘레가 약 1.7㎞에 달하는 대규모의 산성이고, 남서쪽 성벽은 바깥만 돌로 쌓고 안쪽은 흙과 잡석으로 채우는 방식으로 쌓았다.
만든 연대를 알 수 있는 기록이나 유물을 발견하진 못했지만 만든 방식이 근처의 성산산성, 문안산성과 동일하다. 그리고 성 안에서 발견되는 일부 토기와 기와조각 등으로 미루어 보아 이것은 통일신라시대까지는 거슬러 올라갈 수 있을 것으로 추정한다.
·지세포성
종목 : 시도기념물 203호
수량 : 일원
지정일 : 1998. 11. 13.
소재지 : 경남 거제시 일운면 지세포리 235-4
소유자 : 거제시
지세포 앞 선창마을 뒷편에 위치한 석성으로 된 이 성은 동쪽은 대부분 잘 보존되어 있고 그 외의 부분은 전답의 축대 및 가옥의 담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성곽의 구조나 형태는 역시 동서남북 사방에 성문을 두고 그 사이사이에 성루를 두었던 것 같으며 현재 성내 바닷가에는 마을이 들어섰고 그 외는 전답이며 성외 역시 전답과 임야로 되어 있다. 조선 인종 때에 남방 침입을 우려하여 영남 6부의 2만 5천명을 동원하여 선창성을 쌓고 그 성아래 진을 두고 수군만호를 두어 진방케 하였다. 그 당시 만호 강지욱(姜志昱)이 임진난이 일어나 일본의 가등청장군과 교전하여 성이 함락되었고 그 후 옥포성 밖으로 갔다가 효종 2년 신묘년에 다시 이곳으로 돌아 왔다. 성 입구에 수군 만호의 비석이 현재에도 남아 있다.
·구조나성
종목 : 시도기념물 204호
수량 : 8,235㎡
지정일 : 1998. 11. 13.
소재지 : 경남 거제시 일운면 구조나리 산55
소유자 : 거제시
구조라 앞산 능선에 있는 이 성은 성내는 모두 전답이며 성의 가운데 우물이 있고 동서남북 사방에 성문을 두어 성문과 성문 중간에는 성루를 두었으며 성아래 구조라 마을이 있다. 이 성은 조선시대 왜적을 막기 위하여 전방의 보루로 축조된 것이다. 지세포성의 전초 기지 역할을 하였고 선조 37년에 옥포 진지로 옮겼다가 다시 이곳으로 옮겼다. 조선왕조실록을 비롯한 지리지 등 각종 문헌에는 구조라성이나 영에 대한 기사를 종합한 것이 중심이었기 때문에 내용 중에는 구조라성과는 관계없는 것들도 보이지만 이를 종합하여 살펴보면 구조라성은 조선조 성종 21년(1603년) 현재의 옥포 북쪽 조라를 신조라(新助羅)라 했던 것이 신자는 빠지고 조라라 한다. 문헌상의 내용도 이 시기를 참고하여 이해하지 않으면 혼돈이 일어날 수도 있다. 따라서 이 성은 전기한 축조 수법이나 문헌상의 내용이 조선 전기에 축조된 것으로 일정하게 나타나 있어서 양자 중 어느 자료를 사용해도 축성시기 추정에는 대차가 없을 것이다.
·구영등성
종목 : 시도기념물 205호
수량 : 일원
지정일 : 1998. 11. 13.
소재지 : 경남 거제시 장목면 구영리 1249외
소유자 : 거제시
경상남도 거제시 장목면 해안에 있는 구영마을 남쪽 야산 기슭에 평면 원추형태로 쌓은 성이며, 성벽의 안팎에는 경작지와 민가가 자리잡고 있다. 거제도의 가장 북쪽으로 진해, 웅천 등 육지와 가장 인접하며 주변에 영등왜성, 구율포성 등 성곽 유적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지금 성벽은 대부분 훼손되고 기단부만 남아 있는 상태지만 구조와 쌓은 수법은 어느 정도 확인이 가능하다. 남북 양쪽에 반원형으로 된 옹성(성문을 보호하기 위하여 성문 밖으로 쌓은 작은 성)을 쌓았는데 그 출입문이 한쪽 옆에 있다. 성의 바깥벽은 큰 돌로 쌓고 안쪽 벽은 돌을 지면에 겹쳐 쌓은 뒤 크고 작은 돌을 차곡차곡 쌓았다.
성을 쌓은 시기는 성종 21년(1490)이며 중종, 선조 때에는 잦은 왜구의 침입을 받아 크게 훼손을 당하기도 하였다. 그 뒤 인조 1년(1623)에 지금의 영등으로 진영을 이동하고 이곳은 구영등으로 남게 되었다. 문헌에 성 둘레는 1,068척이라고 기록하고 있다.
·전송대산성
종목 : 시도기념물 244호
수량 : 178,181㎡
지정일 : 2002. 10. 24.
소재지 : 경남 진주시 대곡면 대곡리 산34-2외
소유자 : 국유(산림청)외
진주시 대곡면 대곡리에 위치한 죽방산(일명 송대산, 해발 312m) 정상부에 2개의 봉우리를 감싸고 있는 성이다. 이 산성은 남강의 중류에 인접하여 솟아 있는데, 산성에서 아래의 강변이 훤히 조망된다. 따라서 산성의 설치 목적이 강을 이용한 통로의 확보 혹은 차단과 관련된 관망용이었음을 알 수가 있다. 성은 석축 또는 토석 혼축으로 축조되었던 것 같으며, 성벽은 대부분 붕괴되었으나 하단부 혹은 기단의 석축의 흔적은 군데군데 남아 있다. 성과 관련된 시설로는 문터 2개소, 건물터 다수, 우물 등이 남아 있다. 한편 성안에 있는 대형 건물터 주변에서 다수의 기와 조각이 발견된 점으로 보아 이 건물은 지붕을 기와로 덮은 것으로 추정된다. 이 성은 언제 처음 쌓았는지는 분명하지 않으나 성안에서 출토되는 기와 등의 유물로 보아, 조선시대에 주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이며 조선시대 관방사 연구에 중요한 학술적 자료이다.
참고싸이트 : www.ocp.go.kr (문화재청)
www.naver.com
·함안문암산성
종목 : 시도기념물 182호
수량 : 62,441㎡(2필)
지정일 : 1997. 12. 31.
소재지 : 경남 함안군 산인면 모곡리 산11, 송정리 산25
소유자, 관리자 : 함안군수
경상남도 함안군에 있는 이 산성은 해발 197m의 자구산 장원봉과 북서쪽으로 이어진 해발 167m의 산 정상에 각각 남아 있는데, 문암 큰 성과 작은 성으로 부른다. 전체 둘레는 1100m 이고 동남쪽의 일부를 제외하고는 모두 양호한 상태로 남아 있으며, 성 폭은 대개 3m 정도로 추정한다. 큰 성은 장원봉의 8부능선 부분에 거의 둥근모양의 타원형으로 돌아가며 쌓았고, 성벽은 바깥을 돌로 쌓고 안쪽은 흙과 잡석으로 밋밋하게 만들었다.
·함안성점산성
종목 : 시도기념물 180호
수량 : 71,366㎡
지정일 : 1997. 12. 31.
소재지 : 경남 함안군 함안면 북촌리 산75외 3필
소유자, 관리자 : 함안군
경상남도 함안군 함안면 북촌리에 있는 이 산성은 계곡을 둘러싸며 주위의 산 능선을 따라 일정하지 않은 모양으로 쌓은 산성이다. 성의 둘레가 약 1.7㎞에 달하는 대규모의 산성이고, 남서쪽 성벽은 바깥만 돌로 쌓고 안쪽은 흙과 잡석으로 채우는 방식으로 쌓았다.
만든 연대를 알 수 있는 기록이나 유물을 발견하진 못했지만 만든 방식이 근처의 성산산성, 문안산성과 동일하다. 그리고 성 안에서 발견되는 일부 토기와 기와조각 등으로 미루어 보아 이것은 통일신라시대까지는 거슬러 올라갈 수 있을 것으로 추정한다.
·지세포성
종목 : 시도기념물 203호
수량 : 일원
지정일 : 1998. 11. 13.
소재지 : 경남 거제시 일운면 지세포리 235-4
소유자 : 거제시
지세포 앞 선창마을 뒷편에 위치한 석성으로 된 이 성은 동쪽은 대부분 잘 보존되어 있고 그 외의 부분은 전답의 축대 및 가옥의 담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성곽의 구조나 형태는 역시 동서남북 사방에 성문을 두고 그 사이사이에 성루를 두었던 것 같으며 현재 성내 바닷가에는 마을이 들어섰고 그 외는 전답이며 성외 역시 전답과 임야로 되어 있다. 조선 인종 때에 남방 침입을 우려하여 영남 6부의 2만 5천명을 동원하여 선창성을 쌓고 그 성아래 진을 두고 수군만호를 두어 진방케 하였다. 그 당시 만호 강지욱(姜志昱)이 임진난이 일어나 일본의 가등청장군과 교전하여 성이 함락되었고 그 후 옥포성 밖으로 갔다가 효종 2년 신묘년에 다시 이곳으로 돌아 왔다. 성 입구에 수군 만호의 비석이 현재에도 남아 있다.
·구조나성
종목 : 시도기념물 204호
수량 : 8,235㎡
지정일 : 1998. 11. 13.
소재지 : 경남 거제시 일운면 구조나리 산55
소유자 : 거제시
구조라 앞산 능선에 있는 이 성은 성내는 모두 전답이며 성의 가운데 우물이 있고 동서남북 사방에 성문을 두어 성문과 성문 중간에는 성루를 두었으며 성아래 구조라 마을이 있다. 이 성은 조선시대 왜적을 막기 위하여 전방의 보루로 축조된 것이다. 지세포성의 전초 기지 역할을 하였고 선조 37년에 옥포 진지로 옮겼다가 다시 이곳으로 옮겼다. 조선왕조실록을 비롯한 지리지 등 각종 문헌에는 구조라성이나 영에 대한 기사를 종합한 것이 중심이었기 때문에 내용 중에는 구조라성과는 관계없는 것들도 보이지만 이를 종합하여 살펴보면 구조라성은 조선조 성종 21년(1603년) 현재의 옥포 북쪽 조라를 신조라(新助羅)라 했던 것이 신자는 빠지고 조라라 한다. 문헌상의 내용도 이 시기를 참고하여 이해하지 않으면 혼돈이 일어날 수도 있다. 따라서 이 성은 전기한 축조 수법이나 문헌상의 내용이 조선 전기에 축조된 것으로 일정하게 나타나 있어서 양자 중 어느 자료를 사용해도 축성시기 추정에는 대차가 없을 것이다.
·구영등성
종목 : 시도기념물 205호
수량 : 일원
지정일 : 1998. 11. 13.
소재지 : 경남 거제시 장목면 구영리 1249외
소유자 : 거제시
경상남도 거제시 장목면 해안에 있는 구영마을 남쪽 야산 기슭에 평면 원추형태로 쌓은 성이며, 성벽의 안팎에는 경작지와 민가가 자리잡고 있다. 거제도의 가장 북쪽으로 진해, 웅천 등 육지와 가장 인접하며 주변에 영등왜성, 구율포성 등 성곽 유적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지금 성벽은 대부분 훼손되고 기단부만 남아 있는 상태지만 구조와 쌓은 수법은 어느 정도 확인이 가능하다. 남북 양쪽에 반원형으로 된 옹성(성문을 보호하기 위하여 성문 밖으로 쌓은 작은 성)을 쌓았는데 그 출입문이 한쪽 옆에 있다. 성의 바깥벽은 큰 돌로 쌓고 안쪽 벽은 돌을 지면에 겹쳐 쌓은 뒤 크고 작은 돌을 차곡차곡 쌓았다.
성을 쌓은 시기는 성종 21년(1490)이며 중종, 선조 때에는 잦은 왜구의 침입을 받아 크게 훼손을 당하기도 하였다. 그 뒤 인조 1년(1623)에 지금의 영등으로 진영을 이동하고 이곳은 구영등으로 남게 되었다. 문헌에 성 둘레는 1,068척이라고 기록하고 있다.
·전송대산성
종목 : 시도기념물 244호
수량 : 178,181㎡
지정일 : 2002. 10. 24.
소재지 : 경남 진주시 대곡면 대곡리 산34-2외
소유자 : 국유(산림청)외
진주시 대곡면 대곡리에 위치한 죽방산(일명 송대산, 해발 312m) 정상부에 2개의 봉우리를 감싸고 있는 성이다. 이 산성은 남강의 중류에 인접하여 솟아 있는데, 산성에서 아래의 강변이 훤히 조망된다. 따라서 산성의 설치 목적이 강을 이용한 통로의 확보 혹은 차단과 관련된 관망용이었음을 알 수가 있다. 성은 석축 또는 토석 혼축으로 축조되었던 것 같으며, 성벽은 대부분 붕괴되었으나 하단부 혹은 기단의 석축의 흔적은 군데군데 남아 있다. 성과 관련된 시설로는 문터 2개소, 건물터 다수, 우물 등이 남아 있다. 한편 성안에 있는 대형 건물터 주변에서 다수의 기와 조각이 발견된 점으로 보아 이 건물은 지붕을 기와로 덮은 것으로 추정된다. 이 성은 언제 처음 쌓았는지는 분명하지 않으나 성안에서 출토되는 기와 등의 유물로 보아, 조선시대에 주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이며 조선시대 관방사 연구에 중요한 학술적 자료이다.
참고싸이트 : www.ocp.go.kr (문화재청)
www.naver.com
키워드
추천자료
사회학 연구
남해안답사
수출성과에 의한 중소기업군별 수출관련변수 차이 비교
[풍물놀이][풍물굿][농악][굿]풍물놀이(풍물굿)의 정의와 명칭, 풍물놀이(풍물굿)의 특징, 풍...
화왕산 억새축제 조사 발표 a+
행정 사례 연구 12월 학급
김해지역의 문화재
음악과(음악수업, 음악교육)의 특징과 목적, 음악과(음악수업, 음악교육)의 동향과 교육중점,...
[A+레포트]우리나라 요트산업의 현황과 전망 및 활성화 방안
[사회복지현장 실습보고서] 경남 창원소재 성산노인종합복지관 현장 실습 보고서 (기관소개, ...
[울산기업][울산][기업][울산기업 연혁][울산기업 언론협조][울산기업 동향]울산기업의 연혁,...
자원봉사센터-기능, 목적, 사업현황, 발전방향 (실제 사원봉사센터 방문 보고서 포함 - 경남 ...
[울산기업][울산기업 현대그룹][울산기업 성장과정][울산기업 위상][울산기업 역사]울산기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