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정성과 폭력성의 조작적 정의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의 문화계발효과연구에서 기본적으로 측정되는 항목으로서 김용호(1991, 1998)의 연구를 참조하여 "한 주동안의 폭력에 관련될 가능성"은 ① 10건중의 1건, ② 100건중의 1건으로 측정하고 "살인, 강간, 강도 등의 심각한 폭력범죄가 전체 범죄 가운데 차지하는 비율"은 ① 15% ②25% 로 측정하였다.
(b)'심야위험도'는 심야에 혼자 걷는 것에 대해 위험하다고 지각하는 정도를 의미한다. 김원용과 강종근의 연구(1990)와 김용호의 연구(1991, 1998)를 고려하여 "심야에 집근처를 혼자 걷는것"과 " 시내중심가의 뒷골목을 혼자 걷는것"에 대해 위험지각 정도를 5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c) '피해두려움'은 개인이 폭력의 피해를 당할 두려움의 정도를 의미하며, 측정은 스팍스와 오글스의 연구(Spaks & Ogles, 1990)를 참조하여 범죄유형별로 피해를 당할 두려움의 정도를 0에서부터 10점까지 기록하도록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향후 1년동안 흉기나 폭력으로 살해될 가능성" "향후 1년동안 칼이나 총으로 위협을 당할 가능성" "향후 1년동안 자신이 알고 있는 사람으로부터 주먹으로 맞을 가능성" "향후 1년동안 귀하의 집이나 아파트가 불법침입을 당할 가능성" "향후 1년동안 늦은 밤 낯선 사람이 집근처를 서성이며 배회할 가능성"에 대해 측정하였다
__참고문헌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곽진희 TV 폭력의 맥락차원과 시청자의 폭력성 지각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15권 2호 7 ~ 41p. >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4.12.08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76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