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태석의 <父子有親>을 중심으로 - 역설을 통한 강렬한 교훈- 父 子 有 親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부자유친의 진정한 의미를 알기 위하여.

Ⅱ. 비정상적인 아버지와 아들의 관계를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는...
1. 父子無親
2. 나약한 존재 세자의 비극적인 죽음의 의미
오태석이 궁극적으로 하고자 하는 이야기는 무엇인가.

본문내용

있는 장관들이나 총재가 자리에서 물러나는 것은 다 이러한 희생제물이 된 것이리라.
중요한 것은 이러한 세자의 희생이 아버지에 영조에 의해 강제적으로 행하여 졌다는 것이다. '이 작품 어디에도 아버지로서 친자식을 죽여야 하는 영조의 인간적 고뇌나 그로 인해 주저하며 결정을 미루는 등의 태도는 나타나지 않는다'
오세곤, 「오태석의 '현실 인식'과 '미래 지향'」, 『한국 극작가론』, 평민사, p12.
이것은 영조의 잔인함을 더욱 부각시키며 그들의 관계에 한 톨의 애정도 남아있지 않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부정적인 아버지로서의 영조와 나약한 존재, 희생양으로서의 존재 세자의 관계를 다룬 이야기에 대해 평론가 한상철은 '단지 영조와 사도 세자의 부자이야기를 다루었다기 보다는 이를 통해 현대 사회의 갖가지 상황에서, 한 사람이 다른 약한 사람을 밀어내 버리는 풍토를 고발해오고 있다.'
http://www.kcaf.or.kr/hyper/hyper-cgi/drama_fullsrch.php?ID=B01444
연극평론가 한상철의 공연평
고 보았다. 그러나 이 희곡의 내용 자체에 집중해 볼 때 '부자유친'의 주제를 역설적으로 드러냄으로써 결과적으로 그것을 더욱 강하게 나타내고 있는 듯 하다.
오태석이 궁극적으로 하고자 하는 이야기는 무엇인가.
오태석의 <부자유친>은 그의 다른 어느 작품보다도 난해하다. 그러나 이 작품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그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는 매우 단순하면서도 명확해 보인다. 신화 속에서 부정적인 아버지의 전형적인 성격을 가진 인물인 영조와 그를 비판하고 거부하는 아들 사도세자의 관계와 세자가 끝내 아버지의 손에 비참한 죽음을 맞는 이 작품의 내용 어디를 보아도 정상적인 부자지간의 모습을 찾아볼 수가 없다. 오태석이 이러한 내용의 작품에 <부자유친>이라는 제목을 붙인 것은 이 희곡의 주제를 역설을 통하여 현대 가족들에게 결핍되어 있는 '가족내의 끈과 질서인 부, 그리고 부자의 관계'
김방옥, 「오태석론」,『한국 희곡작가 연구』, 태학사, 1997, p393.
의 중요성을 더욱 강하게 드러내고자함이다.
오태석이 연출한 연극 <부자유친>에 대한 공연평들은 공통적으로 파격적이고 충격적인 무대구성에 대한 언급이 빠지지 않는다. 공연을 직접 보지는 못했으나 여러 문헌을 통해 접해본 연극에 대한 평을 토대로 볼 때 오태석이 아닌 다른 연출가가 이 연극을 연출했다면 전혀 다른 색깔의 작품이 되지 않았을까 할 정도로 그의 연출은 독특한 것 같다. 그는 독특한 무대 구성을 통하여 중심적인 주제에서 더욱 발전된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배우와 인형들을 뒤섞어 놓는 다거나 희곡 속에서 단순한 나래이터 역할을 하는 '혜경궁 홍씨를 인형으로 대치시키고 나래이션을 녹음으로 처리'
김성희, 『연극의 사회학, 희곡의 해석학』, 문예마당, 1995, p131
하는 것은 '점점 상실되어 가고 있는 인간성의 문제를 좀더 현대화하여' '인간이 점점 꼭두각시화 되어 가는 현대 사회의 허구적 삶'
김종숙, 「오태석의 연극미학」, 『오태석의 연극세계』, 현대미학사, 1995, p57.
과 인간소외 현상을 신랄하게 비판 하고자 하는 그의 연출의도의 표출이라 하겠다.
<부자유친>은 그 내용의 난해함과 등장인물들의 비사실적 성격으로 인해 '산만한 채 남아 있고 완성도는 다소 부족하다.'
김방옥, 앞의 책, p394.
는 평을 받기도 하지만 천천히 잘 들여다보면 확고하고 명확한 오태석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을 것이다. 오태석이 궁극적으로 말하고자 한 것은 가정내의 질서 정립과 더불어 나아가 인간소외현상이 대두되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각성을 일으켜 사람과 사람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을 일깨워주고자 함일 것이다.
★참고 문헌★
김길수 외, 『한국 극작가론』, 평민사, 1998.
김방옥, 『한국 희곡작가 연구』, 태학사, 1997.
김성희, 『연극의 사회학, 희곡의 해석학』, 문예마당, 1995.
명인서, 최준호 엮음, 『오태석의 연극세계』, 현대미학사, 1995.
오태석. 『오태석 희곡집』2, 평민사, 1999.
정상균, 『비극론』, 월인, 2001.
_____, 『한국고대서사문학사』, 태학사, 1998.
URL: http://www.kcaf.or.kr/hyper/hyper-cgi/drama_fullsrch.php?ID=B01444
(연극평론가 한상철의 공연평)
http://100.empas.com/entry.html/?i=743210&Ad=burgerking
(엠파스 백과사전)

키워드

  • 가격1,7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4.12.08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76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