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 론
♢고유가 시대의 개막
본론
♢기존 고유가 시대 분석
-1,2차 석유 파동 분석
♢현재 고유가의 원인 분석
♢고유가 시대의 한국 경제의 문제점
결론
♢고유가에 대한 한국 경제가 취해야 할 대책
♢고유가 시대의 개막
본론
♢기존 고유가 시대 분석
-1,2차 석유 파동 분석
♢현재 고유가의 원인 분석
♢고유가 시대의 한국 경제의 문제점
결론
♢고유가에 대한 한국 경제가 취해야 할 대책
본문내용
이다. 미국, 영국, 독일 등도 모두 1.0 미만이다. 적은 에너지를 사용하고도 높은 GDP를 올리고 있다는 분석이다.
그리고 석유가 직접적으로 소비되고 에너지가 낭비되는 단적인 예가 이번해 등록대수 1000만대를 넘어선 승용차이다. 한 시민단체가 조사한 결과 서울 시내에서 나홀로 차량만 무려 80%를 넘었다고 한다. 우리나라의 기름 소비가 적은 경차는 전체 중 7.2%수준(2003년 기준)인데 비하여, 일본(17.8%), 이탈리아(28.8%), 프랑스(39%)이다. 자동차 1대당 일일 주행거리를 비교해 보아도 마찬가지다.
또한, 수출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경제는 고유가에 가장 취약할 수 밖에 없다. 한국무역협회가 국제에너지기구(IEA) 자료 등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유가가 5달러 오르면 우리나라 무역수지는 55억 달러 감소할 것이라 한다. 같은 조건일 때 중국은 43억달러 감소하고, 인도는 35억달러, 태국은 22억달러, 필리핀 8억달러이다.
결정적으로 유가상승은 어느 한 분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한국경제에 전반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결국 온 경제를 마비 시킨다.
▣ 결 론
지금까지 과거의 1, 2차 석유파동, 이번 고유가의 원인, 그리고 고유가시대에 한국경제의 문제점을 알아 보았다. 이러한 고유가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첫째, 에너지 절약형 산업구조로 전환해야 할 것이다. 단지 공정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것으로는 한계가 있으므로 산업구조 자체를 고부가화 하는 것이 해결책이다. 둘째, 에너지 효율성 제고를 위해 시스템의 혁신이 필요하다. 에너지 가격정책을 물가안정 중심에서 시장기능 작동을 통한 합리적 소비유도로 전환시킬 필요가 있다. 대중교통의 편의성을 높이고, 경자동차에 대한 세제혜택 및 우대조치를 강화 시켜야 한다. 셋째, 적극적으로 해외 및 대체 에너지를 확보해야만 한다. 해외유전의 공동개발에 적극적으로 참여 하고, 국가차원의 신에너지 개발 프로젝트를 강화시켜야 한다. 넷째, 기업은 고유가를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 오일달러 유입으로 내수 붐이 일고 있는 중동 산유국 시장을 공략하는 것도 한 방법이 되겠다. 이와 같은 방법과 기타의 여러 방법으로 우리는 한국경제에 치명타를 입힐 수 있는 고유가를 슬기롭게 대처해야 할 것이다.
참 고 자 료
● 매일경제신문
● 연구논문(고유가 시대 국내산업 대응)[삼성경제연구소](김정호 수석연구원)
● WWW.SERI.OR.GO
● 네이버 검색자료
그리고 석유가 직접적으로 소비되고 에너지가 낭비되는 단적인 예가 이번해 등록대수 1000만대를 넘어선 승용차이다. 한 시민단체가 조사한 결과 서울 시내에서 나홀로 차량만 무려 80%를 넘었다고 한다. 우리나라의 기름 소비가 적은 경차는 전체 중 7.2%수준(2003년 기준)인데 비하여, 일본(17.8%), 이탈리아(28.8%), 프랑스(39%)이다. 자동차 1대당 일일 주행거리를 비교해 보아도 마찬가지다.
또한, 수출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경제는 고유가에 가장 취약할 수 밖에 없다. 한국무역협회가 국제에너지기구(IEA) 자료 등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유가가 5달러 오르면 우리나라 무역수지는 55억 달러 감소할 것이라 한다. 같은 조건일 때 중국은 43억달러 감소하고, 인도는 35억달러, 태국은 22억달러, 필리핀 8억달러이다.
결정적으로 유가상승은 어느 한 분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한국경제에 전반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결국 온 경제를 마비 시킨다.
▣ 결 론
지금까지 과거의 1, 2차 석유파동, 이번 고유가의 원인, 그리고 고유가시대에 한국경제의 문제점을 알아 보았다. 이러한 고유가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첫째, 에너지 절약형 산업구조로 전환해야 할 것이다. 단지 공정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것으로는 한계가 있으므로 산업구조 자체를 고부가화 하는 것이 해결책이다. 둘째, 에너지 효율성 제고를 위해 시스템의 혁신이 필요하다. 에너지 가격정책을 물가안정 중심에서 시장기능 작동을 통한 합리적 소비유도로 전환시킬 필요가 있다. 대중교통의 편의성을 높이고, 경자동차에 대한 세제혜택 및 우대조치를 강화 시켜야 한다. 셋째, 적극적으로 해외 및 대체 에너지를 확보해야만 한다. 해외유전의 공동개발에 적극적으로 참여 하고, 국가차원의 신에너지 개발 프로젝트를 강화시켜야 한다. 넷째, 기업은 고유가를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 오일달러 유입으로 내수 붐이 일고 있는 중동 산유국 시장을 공략하는 것도 한 방법이 되겠다. 이와 같은 방법과 기타의 여러 방법으로 우리는 한국경제에 치명타를 입힐 수 있는 고유가를 슬기롭게 대처해야 할 것이다.
참 고 자 료
● 매일경제신문
● 연구논문(고유가 시대 국내산업 대응)[삼성경제연구소](김정호 수석연구원)
● WWW.SERI.OR.GO
● 네이버 검색자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