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정(鼎)이란?
2.< 사모무대방정 >
3.< 월왕구천검(越王勾踐劍) >
4.※ 월왕구천
※ 와신상담(臥薪嘗膽)
※ 서시(西施)와 범려(范黎)
※ 중국의명검 ※
※ 한국의명검 ※
2.< 사모무대방정 >
3.< 월왕구천검(越王勾踐劍) >
4.※ 월왕구천
※ 와신상담(臥薪嘗膽)
※ 서시(西施)와 범려(范黎)
※ 중국의명검 ※
※ 한국의명검 ※
본문내용
로 한쌍의 검.
정사에서도 실제 유비는 전투에서 쌍칼을 썼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실존 했던 것으로 추정
(5)조조의 의천검
청공검과 쌍을 이루던 대검으로 암흑까지도 잘라버린다는 명검입니다.
(6)조운의 청공검
원래 조조가 가지고 있었던 검이 였습니다만, 조조가 자신이 좋아하던
하후은에게 하사
그러던 하후은이 조운에게 뺏긴 검으로 쇠가 두부처럼 잘려져 나간다는 명검
청홍이라고도 함.
(7)간장막야
춘추전국시대 월나라의 장인인 간장과 그 부인인 막야가 만든 검.
하도 유명한 검이라서 고사성어에도 있는 사자성어.
《순자(荀子)》<성악편>에는 중국 역대의 명검에 끼워 이렇게 말하고 있다.
"제나라 환공의 총(蔥),강태공(姜泰公)의 궐(闕) 주문왕의 녹, 초장왕의 홀, 오왕 합려의 간장과 막야, 거궐과 벽려는 모두 옛날의 명검이다. 그러나 명검일지라도 숫돌에 갈지 않는다면 보통의 무딘 칼일 뿐이다.
그러므로 그 명검도 사람의 노력이 없으면 자를 수 없다. 이렇듯 순자 역시 '간장막야'를 고대 명검의 하나로 손꼽고 있다.
(8)월왕구천의 검.
월왕구천이 애용했다던 이 검은 현재까지도 실존하는 검으로 최근에
중국에서 공개가 이루어졌다
(9)구야자의 어장을
뺀 나머지 명검들 거궐,담로,어장,순균,승상
구야자가 일찍이 월나라 왕 윤상(允常)을 위해 만들었다는 5자루의 보검 담로(湛盧), 어장(魚腸), 순균(純鈞), 거궐(巨闕), 승사(勝邪)
여기서는 어장검이 그래도 가장 유명.
(10)간장과 막야가 만든 또다른 명검 용연,공포,태아
초나라 왕의 부탁을 받고, 곧 자산(茨山; 지금의 안휘성 경현 북쪽)에서 철을 채취하여, 야련(冶煉)과 주조(鑄造)를 시작해 만든 세 자루의 보검인
용연(龍淵), 공포(工布), 태아(泰(太)阿).
(11)여포의 방천화극
한국의명검
(1).김유신의 사인검
사인검은 조선조에 와서는 예식용 검의 한 부분으로 굳혀졌다.
EX)조선조의 사인검
사인검은 조선조 중기에 왕들이 장식용 또는 호신용으로 지녔던 검이지만 주로
전쟁터를 나가는 총책임자에게 준 검이다.
여기서 사인이라 12지간 중에 호랑이를 뜻하는 인, 즉 네 마리의 호랑이를 뜻한다.
인해와 인달, 이날,인시에 열처리한 것으로 60년만에 한 자루를 제작하는 진귀한 검인 것이다.
사인검의 표면에는 사인검을 설명하는 한자27자가 순금으로 새겨져 있다.
이 글은 사인검의 용맹 스러움과, 사인검이 갖고 있는 영험한 신비를 알려주고
있다.
칼집은 어피(철갑상어)로 되어 있고, 손잡이는 동으로 되어 있으며, 순금으로 사인검이라상감되어 있다. 길이 94Cm, 중량 1.4Kg
60년에 한번씩 만드는 다는 게 원래 정설이였지만...
몇년 만에 대량으로 자주 만들었다고 하네요.
(2).칠 성 검
칠성검은 조선조 중기에서 후기쪽에 가까운 검으로 궁궐 무관들이 주로 패용하고 있던 검이었다.
표면에 7개의 별자리가 있는데, 6번째 별에는 특별한 생김새의 별을 새겼다. 오늘날에는 이러한
칠성검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한 검을 제작 판매한다.
길이 94cm 중량 1.4kg
(선조가 이억기 장군에게 수여했다)
(3).용광검(龍光劍)
단군고기에 나오는 해모수가 찬 전설의 칼.
(4).사진검
조선의 왕들이 호신용, 장식용, 위압용으로 가지고 다니던 칼입니다.
(5).연개소문의 9자루의 명검
연개소문의 9자루의 명검에 대해서는 그냥 과장이다.
연개소문은 약간 방자한 성격으로, 항상 말을 탈 때에는 병졸을 밟고 올라가
타고, 칼은 9자루나 가지고 다녔다고 한다.
이렇게 칼은 9자루나 가지고 다녔던 것, 그리고 전쟁에서는 한번도 지지
않았던 점에 의거해 그가 가지고 다닌 9자루의 검이 명검이라고 불리게
된 것이다.
정사에서도 실제 유비는 전투에서 쌍칼을 썼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실존 했던 것으로 추정
(5)조조의 의천검
청공검과 쌍을 이루던 대검으로 암흑까지도 잘라버린다는 명검입니다.
(6)조운의 청공검
원래 조조가 가지고 있었던 검이 였습니다만, 조조가 자신이 좋아하던
하후은에게 하사
그러던 하후은이 조운에게 뺏긴 검으로 쇠가 두부처럼 잘려져 나간다는 명검
청홍이라고도 함.
(7)간장막야
춘추전국시대 월나라의 장인인 간장과 그 부인인 막야가 만든 검.
하도 유명한 검이라서 고사성어에도 있는 사자성어.
《순자(荀子)》<성악편>에는 중국 역대의 명검에 끼워 이렇게 말하고 있다.
"제나라 환공의 총(蔥),강태공(姜泰公)의 궐(闕) 주문왕의 녹, 초장왕의 홀, 오왕 합려의 간장과 막야, 거궐과 벽려는 모두 옛날의 명검이다. 그러나 명검일지라도 숫돌에 갈지 않는다면 보통의 무딘 칼일 뿐이다.
그러므로 그 명검도 사람의 노력이 없으면 자를 수 없다. 이렇듯 순자 역시 '간장막야'를 고대 명검의 하나로 손꼽고 있다.
(8)월왕구천의 검.
월왕구천이 애용했다던 이 검은 현재까지도 실존하는 검으로 최근에
중국에서 공개가 이루어졌다
(9)구야자의 어장을
뺀 나머지 명검들 거궐,담로,어장,순균,승상
구야자가 일찍이 월나라 왕 윤상(允常)을 위해 만들었다는 5자루의 보검 담로(湛盧), 어장(魚腸), 순균(純鈞), 거궐(巨闕), 승사(勝邪)
여기서는 어장검이 그래도 가장 유명.
(10)간장과 막야가 만든 또다른 명검 용연,공포,태아
초나라 왕의 부탁을 받고, 곧 자산(茨山; 지금의 안휘성 경현 북쪽)에서 철을 채취하여, 야련(冶煉)과 주조(鑄造)를 시작해 만든 세 자루의 보검인
용연(龍淵), 공포(工布), 태아(泰(太)阿).
(11)여포의 방천화극
한국의명검
(1).김유신의 사인검
사인검은 조선조에 와서는 예식용 검의 한 부분으로 굳혀졌다.
EX)조선조의 사인검
사인검은 조선조 중기에 왕들이 장식용 또는 호신용으로 지녔던 검이지만 주로
전쟁터를 나가는 총책임자에게 준 검이다.
여기서 사인이라 12지간 중에 호랑이를 뜻하는 인, 즉 네 마리의 호랑이를 뜻한다.
인해와 인달, 이날,인시에 열처리한 것으로 60년만에 한 자루를 제작하는 진귀한 검인 것이다.
사인검의 표면에는 사인검을 설명하는 한자27자가 순금으로 새겨져 있다.
이 글은 사인검의 용맹 스러움과, 사인검이 갖고 있는 영험한 신비를 알려주고
있다.
칼집은 어피(철갑상어)로 되어 있고, 손잡이는 동으로 되어 있으며, 순금으로 사인검이라상감되어 있다. 길이 94Cm, 중량 1.4Kg
60년에 한번씩 만드는 다는 게 원래 정설이였지만...
몇년 만에 대량으로 자주 만들었다고 하네요.
(2).칠 성 검
칠성검은 조선조 중기에서 후기쪽에 가까운 검으로 궁궐 무관들이 주로 패용하고 있던 검이었다.
표면에 7개의 별자리가 있는데, 6번째 별에는 특별한 생김새의 별을 새겼다. 오늘날에는 이러한
칠성검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한 검을 제작 판매한다.
길이 94cm 중량 1.4kg
(선조가 이억기 장군에게 수여했다)
(3).용광검(龍光劍)
단군고기에 나오는 해모수가 찬 전설의 칼.
(4).사진검
조선의 왕들이 호신용, 장식용, 위압용으로 가지고 다니던 칼입니다.
(5).연개소문의 9자루의 명검
연개소문의 9자루의 명검에 대해서는 그냥 과장이다.
연개소문은 약간 방자한 성격으로, 항상 말을 탈 때에는 병졸을 밟고 올라가
타고, 칼은 9자루나 가지고 다녔다고 한다.
이렇게 칼은 9자루나 가지고 다녔던 것, 그리고 전쟁에서는 한번도 지지
않았던 점에 의거해 그가 가지고 다닌 9자루의 검이 명검이라고 불리게
된 것이다.
추천자료
중국 현대문학 ; 소설과 시
중국의명절
중국고대사 - 최초의 통일왕조 진의 역사
중국신화에 등장하는 신의 형태와 지위 및 역할의 변화
중국 예악 사상 (능정감, 완원, 이여진, 유정섭, 여사서, 여성문제)
문화 마케팅으로 본 동아시아의 열풍
중국의 지리와 사상, 정치, 경제부분으로 나누어 언급 후 정치, 경제 부분에서는 현재를 진단...
기독교문화와음악
문화형태학적 서술 토인비(1889~1957)의 문명사관
중국의 오페라 - 경극
중국 소수민족에 대해서
중국 여신 ‘여와’의 다양한 신격 변화 연구
[기초어휘][기본어휘][한국어][일본어][영어][중국어]한국어의 기초어휘(기본어휘)와 영어의 ...
다문화가족의 문제점과 사회복지대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