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구조주의적 마르크스주의
1. 이론적 배경
2. 마르크스의 재구성 역할로서의 알튀세르
3. 알튀세르와 이데올로기
4. 이데올로기 작동 기구
6. 이데올로기의 3가지 명제
8. 알튀세르가 문화 연구에 끼친 영향
9. 한계와 비판
1. 이론적 배경
2. 마르크스의 재구성 역할로서의 알튀세르
3. 알튀세르와 이데올로기
4. 이데올로기 작동 기구
6. 이데올로기의 3가지 명제
8. 알튀세르가 문화 연구에 끼친 영향
9. 한계와 비판
본문내용
인하고 자아에 대한 이미지만을 인식하고 주체를 형성해 나가는 것을 말한다.
개인 -------------------------------> 주체(이데올로기의 표적)
-복종: 이데올로기의 객체
-주인: 이데올로기의 주인처럼 행세
:-이데올로기가 호명하면 개인이 주체로 변형
-복종인 동시에 자발적 동의, 오인인 동시에 승인
-이데올로기라는 구조가 개인에게 전이되는 과정: 자본주의 사회에서 의식의 그물망 역할
구조 이데올로기 주체 주체가 재상산한 이데올로기 구조
'이데올로기를 통하지 않은 실천이란 없다'
:이데올로기가 생산되는 것은 사람들이 현실에 대한 허위 표상을 만들어 내기 때문이 아니라 이데올로기적 기구들에 의해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발생하는 것이다.
8. 알튀세르가 문화 연구에 끼친 영향
1990년대 이후, 문화연구의 흐름에 본격적인 이데올로기 개념을 대두시킴
:기존의 경제적 생산 양식만으로 문화를 규정하는 결정론적인 방식에서 벗어나 상부구조로서의 문화의 독립적 위치를 인정하는 데 새로운 계기를 마련해 줌으로써 비판적 문화론자들의 관심을 이끌었다. 그에 더해, 사람들의 일상 안에서 실천과 사회와의 관계를 통해 사고, 행위, 이해하며 끊임없이 재생산되는 동적인 과정으로 사회를 이해했다.
9. 한계와 비판
-이데올로기에 의한 이데올로기 내의 실천말고 다른 실천은 없다고 주장하여 이데올로기 안에 몸담고 살아가는 개인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못하며, 완벽한 주체 형성이 불가능하다.
-타협적 다원주의, 마르크스주의의 절충에 불과: 다양한 심급들이 중층적으로 작용하고 최종심급에서는 여전히 경제적인 것이 종속
개인 -------------------------------> 주체(이데올로기의 표적)
-복종: 이데올로기의 객체
-주인: 이데올로기의 주인처럼 행세
:-이데올로기가 호명하면 개인이 주체로 변형
-복종인 동시에 자발적 동의, 오인인 동시에 승인
-이데올로기라는 구조가 개인에게 전이되는 과정: 자본주의 사회에서 의식의 그물망 역할
구조 이데올로기 주체 주체가 재상산한 이데올로기 구조
'이데올로기를 통하지 않은 실천이란 없다'
:이데올로기가 생산되는 것은 사람들이 현실에 대한 허위 표상을 만들어 내기 때문이 아니라 이데올로기적 기구들에 의해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발생하는 것이다.
8. 알튀세르가 문화 연구에 끼친 영향
1990년대 이후, 문화연구의 흐름에 본격적인 이데올로기 개념을 대두시킴
:기존의 경제적 생산 양식만으로 문화를 규정하는 결정론적인 방식에서 벗어나 상부구조로서의 문화의 독립적 위치를 인정하는 데 새로운 계기를 마련해 줌으로써 비판적 문화론자들의 관심을 이끌었다. 그에 더해, 사람들의 일상 안에서 실천과 사회와의 관계를 통해 사고, 행위, 이해하며 끊임없이 재생산되는 동적인 과정으로 사회를 이해했다.
9. 한계와 비판
-이데올로기에 의한 이데올로기 내의 실천말고 다른 실천은 없다고 주장하여 이데올로기 안에 몸담고 살아가는 개인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못하며, 완벽한 주체 형성이 불가능하다.
-타협적 다원주의, 마르크스주의의 절충에 불과: 다양한 심급들이 중층적으로 작용하고 최종심급에서는 여전히 경제적인 것이 종속
소개글